1. 좀비와 싸우는 새로운 방법, 이번엔 드리프트다. 카레이싱 욕구를 일으킨다. 그런데 연상호 감독의 세계관마저 드리프트로 날려버렸다. 


2. [반도] 영화 초반, 부산행 이후 4년이 지난 한반도 상황을 미국의 인터뷰 방송으로 짧고도 명확하게 설명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바이러스로 사람들이 좀비화되고, 한국을 탈출하던 사람들 중에도 감염자가 나타난다. 세계는 한국을 봉쇄하고 더이상의 난민을 허락하지 않는다.

지금의 코로나19를 대처하는 방법으로 봉쇄를 말하는 이들이 자연스레 떠오른다. 좀비의 전염과 코로나의 전염은 다르지만, 방역을 무시하는 사람들을 보고 있자면 마치 좀비를 연상시킨다. 선한 얼굴의 좀비!


3. 봉쇄된 나라. 생존자가 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곳. 하지만 그곳에선 세계에서 통용하고 있는 금이나 달러가 방치되어 있다. 만약 그곳에 들어가 금이나 달러를 가져올 수 있다면 일확천금이다. 영화 [반도] 사건의 시작은 이렇다. 작가의 재미있는 상상력이 빛나는 설정이다. 


4. 영화 [반도]의 빛나는 초반은 사건이 전개되면서 조금은 실망스러워진다. 좀비와의 싸움에서 내세울 수 있는건 자동차 추격과 드리프트뿐이다. 빛을 좋아하고 소리에 민감하다는 좀비의 특성을 활용한 싸움이 흥미를 끈다. 하지만 딱 여기까지다. 다른 한 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갈등이나 애증을 다루는 부분은 깊은 울림을 주지 못한다.   


5. 영화 속에선 좀비의 속도와 힘이 남성 성인이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여진다. 그렇다면 애당초 좀비 초기에 적극적으로 전염을 예방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의구심이 먼저 든다. 좀비의 사냥터 게임 속에서 살아남는 사람들을 보면 꼭 불가능한 일만은 아닌것처럼 보인다. 전염 초기가 중요하다.  


6.좀비의 에너지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사람의 피를 먹고서 사는 것인가. 그렇다면 영화 [반도] 속 한반도는 좀비왕국이 되었는데, 이들은 어떻게 에너지를 얻을까. 생태계에서 우위에 있는 종들의 숫자가 적은 것을 생각해보라. 그렇다면 좀비도 어느 정도 전염이 이루어지면 일반인들을 물어뜯는 행위가 줄어들어야 되는 것이 아닐까. 마치 집단면역처럼 말이다. 그렇지 않다면 좀비천국은 결국 좀비의 멸종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영화 [반도]를 보고 있자니, 감독의 좀비에 대한 세계관이 궁금해진다.      


7. 시도는 해봤어? 포기란 시도를 해보고 할만큼 다해봤을 때, 그때 내뱉을 말이다? 영화 [반도]속에서 강동원은 죄책감에 쌓여있다.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을 내버려두었다는 것, 누나와 조카를 살리지 못했다는 것이 그를 괴롭힌다. 그래서 그는 영화 종반 끝내 포기하지 않는 마음을 일으켜 생명을 구해낸다. 마치 이건 영화야! 라고 증명하듯. 

현실에선 어떨까. 현명한 사람이란 애당초 시도할 것과 포기할 것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이지 않을까. 그리고 시도가능하다고 판단했을 때 혹여 실패하더라도 후회하지 않는 것이다. 모든 것을 다 시도할 순 없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