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김누리 지음 / 해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8년 이천물류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해 40명이나 되는 인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12년이 지난 2020년, 올 여름에도 용인물류센터에서 화재가 나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모두가 사람의 잘못으로 발생한 사건이다. 특히 12년전 사고로 배운 것이 없이 똑같은 사고로 똑같이 사람을 잃었다. 


화재로 인해 많은 사람이 순식간에 목숨을 잃게 된 큰 원인중의 하나는 소위 샌드위치 패널이라는 단열재, 가연성의 우레탄 폼을 이용한 마감 자재다. 불에 잘 타는데다 유독성 연기를 내뿜어 치명적이다. 그런데 왜 물류창고에 이런 위험한(?) 단열재, 마감재를 쓰는 것일까. 비용때문이다. 물류창고를 짓는 비용을 낮추기 위한 선택인 것이다. 하지만 이 선택이 사람의 목숨을 위협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2008년 이천 화재가 분명 이것을 알려주었다. 그럼에도 목숨보다는 비용을 선택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선택을 한 사람들이 악당이어서 비용을 중시한 것일까. 아닐 것이다. 분명 이들도 누군가에게는 따듯한, 인정넘치는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약탈적' 자본주의에 물들어져/길들어져 있기에 아무런 고뇌없이 비용만을 고려한 선택을 했을 것이다. 우리는 언제부터 생명보다 효율, 또는 돈이라는 것을 더 중시하게 됐을까. 


자신이 속해있는 일상 속에 묻혀살고 있을 때는 그 일상의 문제점을 잘 파악할 수가 없다. 일상은 당연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럴 땐 외부의 시선으로, 또는 외부를 기준점으로 삼아 우리의 일상을 비교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김누리 교수의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는 독일을 준거로 삼아 대한민국의 현실을 바라보고 있다. 이렇게 바라보면 우리가 생각했던 당연한 일상이 왜 우리의 불행이 되고 있는지를 어느 정도 알게된다.


대한민국은 이번 코로나19를 대처하는 모습에서 보듯이 세계에 내놓을만한 자랑스러운 것들을 많이 갖고 있다. 더군다나 5천만 이상의 인구를 갖춘 나라에서 3만 달러 이상의 GDP를 올리는 7개 국가 중의 하나이다. 또한 촛불혁명이 보여주듯 정치적 민주주의는 세계로부터 탄사를 받을만큼 크게 발전했다. 


하지만 우리는 정치적 민주주의가 일상의 민주주의로 스며들지 못했다. 즉 정치적 현장에서는 민주주의를 달성했지만, 일상에서는 권위주의가 만연해있는 것이다. 게다가 경제, 문화 등에서는 아직도 민주주의가 요원하다. 소위 꼰대라고 말하는 권위주의적 행태가 만연해 있다. 또한 경쟁을 당연시하고, 오히려 찬양할 정도다. 경쟁 없이는 모든게 도태될거라는 엄포와, 경쟁을 이겨냈을 때 모든 것을 다 가질 수 있다는 승자독식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인다. 이런 가치관이 우리를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는 것을 모른채 말이다. 


우리는 언제부터 이런 마음가짐을 체화했을까. 그 원인을 쫓아가보면 분단이라는 조건이 상식을 벗어난 가치관을 수긍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됐음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불행을 당연시하지 않고 행복으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을 전쟁이 없는 평화적 상태, 나아가서는 통일에 두어야 할지 모른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가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할 것은 아도르노가 말한 "민주주의의 최대의 적은 약한 자아"라는 것을 잊지않은 강한 자아가 되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를 읽게되면 우리의 고통이 우리의 불행이 결코 자연스러운 일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가 발딛고 있는 이 땅에서의 행복을 꿈꾸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