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해 [기생충]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을 때, 심사위원대상을 받은 작품. 프랑스, 세네갈 합작 영화. 사회 부조리와 억압 속에서 자신을 잃지 않으려는 아프리카 흑인 여성의 삶을 보여준다. 영화 중반부터 장르가 바뀌는듯한 전개로 극적 긴장감을 높인다.
2. 부자 오마르와의 결혼을 열흘 앞두고 있는 세네갈(?)의 아다. 그녀가 진짜 사랑하는 사람은 건설노동자 술레이만이다. 그는 몇개월째 체불된 임금 때문에 다른 동료들과 함께 스페인으로 밀입국을 시도한다. 아다는 술레이만으로부터 어떤 이별통보도 받지 못했다. 하지만 몇일 후 밀입국을 시도했던 배는 풍랑에 조난을 당하고, 배에 탔던 젊은 노동자들은 모두 살아남지 못했다. 슬픔에 쌓인 아다는 예정대로 결혼식을 치르는데, 결혼식 당일 신혼집에서 화재가 발생한다. 그런데 방화를 저지른 범인이 술레이만이라는 목격자들이 나타나는데...
3. 가부장적인 부모, 인권을 무시하는 공권력, 자본가들의 횡포, 돈과 결탁한 경찰... 흑인 여성 아다를 둘러싸고 있는 부조리와 억압들이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개도국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런 억압된 사회에 순응해야만 하는 것일까. 사회에 저항하는 운동 차원이 아닌, 독립된 개인으로서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삶을 살고자 하는 아다의 발걸음이 잘 그려져 있다.
4. 영화[애틀란틱스]의 제목은 대서양을 뜻한다. 영화에서도 자주 바다의 파도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바다는 휴양지에서 보는 에머랄드빛의 고요한 바다가 아니다. 세네갈의 젊은 노동자를 집어삼킨 바다다. 또한 유럽으로 갈 수 있는 희망을 품은 바다이기도 하다. 지켜보고 그 자리에서 즐기는 바다가 아니라, 건너가야만 하는 바다다. 그래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파도는 고난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고난을 넘어서면 희망이 있으리라. 아다가 품고자 하는 그 희망.
5. * 스포일러입니다.
영화 중반부에 마을의 젊은 여인들이 한밤중 체불 사업자의 집을 찾아가는 장면이 나온다. 검은 눈동자가 없는 좀비같은 모습으로 사업자에게 체불임금을 달라고 요구한다. 바다에서 죽은 노동자들의 망령이 스며든 것이다. 이 망령의 힘으로 노동자들은 체불임금을 돌려받고, 아다는 못다한 사랑을 이룬다. 망령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지만, 결국 저항없이는 억압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갑작스러운 망령의 등장이 황당무계한 전개로 보이지만, 영화에서 자연스레 녹아들면서 극의 긴장을 끌어올린다. 망령이 돌아다니지 않는 세상을 위해선 일어서서 앞으로 걸어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