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의 SF 스릴러이자 멜로영화. 인공지능로봇이 사람의 피부를 이식해 인간에 가까워지면서 사랑을 갈망 또는 배우기 위해 범죄도 서슴지 않는다는 내용. 논리나 과학적 상식에서 벗어나는 몇 가지 점을 애교로 봐준다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는 꽤나 흥미진진하다. 자본주의화되어가는 중국이 사랑과 돈, 결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 현재 생각하고 있는 사랑과 결혼에 대해서도 되돌아보게 만든다. 


2. 사람에 가까운 인공지능로봇을 만들어 자신의 만족을 채우려는 미친(?) 과학자. 인간의 대부분의 조건을 충족시키지만, 피부만은 인간처럼 만들기 어렵다. 하지만 로봇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인간의 피부를 박피해 붙이면 동화될 수 있는 단계까지 왔다. 물론 말도 안되는 설정이지만 넘어가보자. 이후엔 과학자가 인간의 피부와 똑같이 만들어주는 기계까지 만들어낸다.  


3. 과학자는 이 로봇에게 모든 미인의 특성을 심어주려한다. 순전히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다. 하지만 로봇은 인공지능을 통해 사람에 대해 배우면서(딥 러닝?) 오직 하나 사랑만은 알지 못한다. 로봇은 과학자에게 줄기차게 질문한다. 자신을 사랑하느냐고? 하지만 과학자에겐 사랑같은건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로봇은 사랑하고 있는 사람을 통해서 사랑을 배워보고자 한다. 현재 열애중인 남자의 연인을 납치하고, 자신이 그 연인으로 변장해 사랑을 체험하려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연히 소매치기가 등장하는 것 또한 그냥 넘겨보자. 


4. 과학자는 로봇에게 아이작 아시모프가 자신의 소설 <아이, 로봇>에서 제시한 로봇의 3원칙을 심어주었다. 제1원칙은 절대 인간을 해치지 말라. 제2원칙은 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면 인간의 말에 복종하라. 제3원칙은 1,2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면 자신을 지켜라. 그런데 [기계화피] 속 로봇은 제1원칙을 쉽게 무너뜨린다. 어찌보면 절대적 원칙임에도 말이다. 이것도 넘어가보자.


5. 그래서 로봇은 사랑을 알게됐을까. 도대체 사랑이란 무엇일까. [기계화피] 속에서는 사랑=습관 인것처럼 말하는듯하다. 상대방의 습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말이다. 어쨋든 로봇은 사랑하는 남자를 위해 남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이루어준다. 하지만 어쩌지. 과연 이런 만족이 사랑을 키워주고 지속시켜줄 수 있는 것일까. 


6. 영화 [기계화피]는 요즘 중국의 결혼에 대해서도 한마디 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결혼을 위해서는 번듯한 집도 있어야 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어야만 한다는 남자주인공의 생각을 반성하게 만든다. 오직 사랑만으로 결혼은 충분하다고 말이다. 요즘의 대한민국 젊은이들에게도 이런 말이 통할 수 있을까. 사랑과 결혼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7. 인간과 기계를 구별할 수 있는 또하나의 특성은 무엇일까. 영화 [기계화피]는 거짓말을 든다. 기계는 거짓말을 할 수 없다고. 그러고보니 거짓말이라는 것은 인간만의 특성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동물들도 속임수를 쓰기는 한다. 하지만 거짓말과 속임수는 차이가 있다. 거짓말은 속이려는 의도 이외에도 들킬 것을 알면서도 행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아니면 거짓말임을 밝히듯 하는 거짓말도 있다. 인간은 왜 거짓말을 할까. 흥미를 끄는 질문이다. 


8. 영화 [기계화피]는 몇 가지 논리적이지 못한 설정을 웃어 넘겨줄 수 있다면, 또 영화 후반부 CG의 어색함을 눈감아 줄 수 있다면, 꽤나 흥미진진한 이야기이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도대체 설명할 수 없는 그 무엇이기에. 백인백색의 정의를 갖고 있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