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일 13도~29도 흐리다 밤에 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59.jpg)
시골에선 길가에 아무렇게나 자라는 개복숭아를 볼 수 있다. 그냥 따먹기에는 달콤하지 않지만 청이나 술을 담기에는 괜찮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61.jpg)
아직 다 익진 않았지만 어느 정도 익은 것만 반 바구니 정도 땄다. 꼭 매실을 닮았다. 청을 담글 땐 덜 익은 상태로 따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열매가 익는 정도에 따라 성분이 달라진다는 것을 생각하면 자신에게 필요한 것에 맞추어 익는 정도를 선택하면 될듯 싶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7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7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78.jpg)
먼저 수확한 개복숭아는 박박 씻어준다. 잔털이 많아 이것을 없애고 꼭지도 따준다. 씻다보니 꽁무니에서 진액이 흘러나온다. 설탕으로 담그면 이 진액들이 스며나와 설탕에 녹는 것일테다. 벌레먹거나 상한 것은 제외하고 좋은 것만 골랐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93.jpg)
열 소독한 병에 개복숭아와 설탕을 1 : 0.8 정도 비율로 섞어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9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95.jpg)
보통 1:1로 섞는 경우가 많은데 달콤한 과일류는 설탕을 조금 적게 넣어도 괜찮다. 풀 종류처럼 당 성분이 없는 것들은 1 : 1로 섞어주어야 진액일 잘 빠져나온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1/pimg_7731841432561696.jpg)
날이 초여름 날씨인지라 하루만 지나도 설탕이 다 녹아내렸다. 녹지않고 가라앉은 설탕은 잘 저어준다. 지난해 담근 개복숭아청은 주위 사람들에게 조금씩 나누어주었다. 선물하는 재미가 꽤 괜찮다. 올해는 아직 집 뒤의 개복숭아를 담그지 않은 상태다. 완전히 익을 때까지 기다려서 이번에 담근 것과 비교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