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의 미래 - 헬레나와의 대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지음, 최요한 옮김 / 남해의봄날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오래된 미래>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다. 과거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볼 수 있을 때 쓰는 말일텐데, 이것이 복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속에서 과거의 문화나 정신들을 새롭게 살려내 희망찬 미래를 꿈꾸는 작업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할 수 있겠다. 


이 <오래된 미래>라는 말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가 1992년에 발간한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이 책은 서부 히말라야 고원의 작은 마을 라다크에 방언을 연구하기 위해 방문하였다가, 평화롭고 지혜롭던 그들의 삶이 인도 정부의 개방정책으로 파괴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후 헬레나는 평화롭고 건강한 공동체로서의 라다크 사회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와 대조되는 것은 세계화를 외치며 몸집을 키워가는 신자본주의로 사회가 분열되고 환경이 파괴되는 부작용에 신음하고 있다. 


헬레나는 라다크 복원운동을 통해 지금까지 계속해서 행복의 경제학을 전파하고, 로컬 경제를 주장하고 있다. 이책 <로컬의 미래>는 그의 주장을 대화 형식으로 싣고 있다. 그는 환경과 사회 파괴는 경제 규모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세계화가 아닌 지역화를 통해서만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지역화란


경제를 인간적인 규모로 되돌리자는 것


이다. 대도시 중심이 아닌 마을 단위 생활 형태가 우리의 삶을 행복으로 이끌 수 있다고 말한다. 세계화든 대도시든 중요한 것은 <규모>다. '규모의 경제'는 단일화를 가져오고, 힘의 집중을 불러온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자. 대규모 단일작물 농장과 소규모 다품종 유기농장의 생산성은 단위면적당으로 따지면 소규모 농장이 더 높다. 하지만 대규모 단일농장은 기계를 가지고 소수의 인원으로 움직일 수 있기에 1인당 생산량으로 따지면 훨씬 더 높게 된다. 즉 소수의 사람이 많은 이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다. 실제 유럽의 농장 3퍼센트가 유럽연합 전체농지의 50퍼센트 이상을 관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소규모 다품종은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기에 그만큼의 일자리 증가를 의미한다.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고 일자리도 증가하고, 여기에 더해 지역 중심의 유통이 이루어진다면 한쪽에선 배고파 죽는 곳이 생기고, 한쪽에선 남는 음식물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일은은 최소한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 정치체계가 무엇이든 말이다. 


대규모의 농사로 지어진 농산물은 어떻게든 팔려나가야 한다. 필요(수요)에 의한 것이 아니기에 새로운 욕구를 불러일으켜야 하고, 이것이 실패할 땐 버려지는 것이다.  


그렇기에 누군가의 필요를 알아채고 그것에 맞추어 생산할 수 있는 소규모의 경제 활동이 인간적인 규모의 경제이지 않을까. 화석연료를 펑펑 써가며 세상 반대편까지 농산물이 날아갈 이유가 없는 것이다. 다만 그 지역에서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들은 지역과 지역간의 나눔이 필요할 터. 그런 부분에서 지역화의 세계화는 필요하다. 대도시로 대도시로 몰려가는 사람들, 그로인해 치우쳐진 힘의 균형, 군중 속의 고독과 환경 파괴는 대규모가 가져다 준 상처다. 이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 <로컬의 미래>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