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의 배신 - 길들이기, 정착생활, 국가의 기원에 관한 대항서사
제임스 C. 스콧 지음, 전경훈 옮김 / 책과함께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사는 힘들다. 아무리 기계화가 되고 자동화가 이루어져도 일일히 사람 손이 가야하는 작업이 있다. 게다가 반복되는 동작이 이어지다보면 온몸이 쑤신다. 외부환경통제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병해충과 끊임없이 싸워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이렇게 힘든 농사를 왜 짓는걸까.

 

농사를 짓지 않으면 사람은 굶어죽는다. 지금 당장 농사를 그만둔다고 생각해보라. 야생의 열매와 풀, 동물을 사냥하는 것으로 현재의 인구를 먹여살릴 수는 없다. 누군가는 농사를 지어야 한다. 하지만 아주 아주 먼 옛날, 인구는 적고 식량은 풍부했던 시절로 돌아가보자. 불과 1만년 정도만 돌이켜보아도 된다. 농사를 지을 이유를 찾기가 힘들다. 수렵 채집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인간은 수렵채집보다 훨씬 힘이 드는 농사의 길을 선택한 것일까.

 

사회진화론적 관점으로 살펴보면 농사의 시작은 기후변화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수렵 채집만으로도 풍족했던 생활이 기후변화로 식량이 줄어들어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농사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엔 함정이 있어보인다. 농사 초창기 농경중심의 문화와 함께 여전히 수렵채집 부족이 공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농경집단보다도 수렵채집집단이 풍부한 영양과 건강상태로 보다 많은 자유를 만끽하며 살았다.

 

그럼 왜 어떤 집단은 농경을 선택하게 되고, 뒤이어 수렵채집집단마저 농경집단으로 점차 변화하게 된 것일까. [농경의 배신]은 이 점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유로 <강압>이라는 것을 말한다. 농사는 너무나 힘든 일이기에 자발적 능동적 선택행위라기 보다는 강압에 의한 선택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노동력의 대부분은 노예나 노예와 다를바 없는 상태의 사람들로 충당됐다. 곡물 중심의 농사는 세금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통일된 체계와 보관, 관리가 쉬워 세금의 단위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세금은 국가를 탄생시켰다. 국가란 바로 세금을 거두어 사용하는 집단인 것이다. 강압과 노예, 세금제도, 국가의 탄생은 전쟁의 씨앗이기도 하다. 누가 더 많은 인력을 확보하는가가 국력이기 때문이다.

 

농사는 생존을 위한 필연적 선택이기보다는 <강압>으로 성장했다. 그리고 농사를 기반으로 한 경제는 국가집단과 노예제와 깊은 연관이 있다. 현대문명은 국가와 세금없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것은 어쩔 수 없는 결과인 것일까. [농경의 배신]은 농사의 시작과 성장의 원인을 밝히는 작업을 통해 국가의 의미에 대해 묻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