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 2도~17도
집에는 매화나무가 두 그루 있다. 한 그루는 묘목을 사다 심은 것으로 올해 3년차다. 다른 한 그루는 나무를 정리한다기에 가지를 뚝뚝 잘라서 옮겨심은 것으로 10년은 될 성 싶다. 그런데 이 두 그루는 서로 성질이 달라 꽃이 피는 시기도, 열매가 달리는 시기도, 모양새도 빛깔도 다 다르다. 우리가 매화라고 또는 매실이라고 부르지만, 하나하나를 들여다보면 모두가 저마다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비슷한 또는 공통적인 요소들이 있기에 우리는 이들을 매화, 매실이라고 칭하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22/pimg_773184143252147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22/pimg_7731841432521479.jpg)
3년차 매화나무는 지난해 벌레피해를 심하게 입었다. 그래서 가지도 이상하게 뻗어나가고 무엇인가 정상적인 느낌을 주지않는다. 나무를 뽑아서 정리하는게 좋다는 말까지 들었을 정도다. 하지만 분명 피해를 극복하고 잘 자랄 수 있으리라는 믿음으로 올해도 그냥 놔두었다. 매화가 피고, 이제 그 자리에 매실이 열리기 시작했다. 지난해처럼 벌레 피해를 얼마나 입을지 걱정되지만, 올해는 좀 더 신경을 써서 관리를 해 줄 계획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22/pimg_773184143252148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22/pimg_7731841432521488.jpg)
옮겨심은 매화나무는 이제 땅에 적응을 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조금 늦는 모양새인지, 겨우 꽃 하나에 매실이 달렸다. 나무를 다 둘러보아도 딱 하나였다. 몇일 더 지켜보면 늘어날련지 잘 모르겠다. 뭐, 올해 매실을 맺지 못한다하더라도 꽃을 피우고 잘 자라나는 것을 보았으니, 큰 걱정은 없다. 올해 매실을 못 품었더라도, 죽지않고 잘 버텨낸다면 내년이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22/pimg_7731841432521494.jpg)
늦잠꾸러기 대추나무에도 순이 나기 시작했다. 4월 말이 다 되어서야 대추와 포도나무가 순을 내놓는다. 이제 하루 이틀 정도만 지나면 포도나무도 순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관리를 잘 해서 열매를 수확해 볼 수 있기를 소망해본다. 항상 6월이 문제였으니....
때에 맞춰 깨어나는 생명의 리듬. 그 리듬에 내 몸의 장단을 맞추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