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3일 1도 ~ 19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14/pimg_7731841432513536.jpg)
도라지 씨앗을 뿌려두었던 곳에서 싹이 나기 시작했다. 문제는 이 싹이 도라지인지 다른 풀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도라지씨앗을 한줄로 길게 심어놨으니, 싹이 튼 것들이 선을 이루어 난 것이라면 도라지일 것이요, 흩트러져 난다면 다른 풀일 가능성이 높다.
질서다. 줄을 이루어 나는 질서. 질서는 관리와 통제의 수단이다. 하지만 이 질서가 없다면 도라지는 풀과 뒤엉켜 생존투쟁을 벌여야하고, 살아남을지 장담을 할 수가 없다. 질서를 이룸으로써 생존을 위한 에너지를 줄이고, 성장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다. 물론 꼭 질서가 최선인 것은 아니다. 자유분방하게 흐트러져 온힘을 다해 자라나 자신의 생명력을 싹틔울 수도 있다. 자기 멋대로 사는 것도 한 방법이다. 살아남는다면 말이다.
코로나19로 일상이 뒤바뀌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질서가 유지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자가격리를 잘 지켜줌으로써 점차 사태는 진정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거리두기도 자가격리도 지키지않는, 즉 질서를 깨뜨리는 사람들 탓에 위태로움은 여전히 남아있다. 초기 자유분방함을 누렸던 유럽과 미국은 코로나19룰 헤쳐나가기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쏟아부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질서가 비록 관리와 통제라는 모습을 지닐지라도, 우리에겐 필요한 덕목이다. 물론 적절함이 관건일 것이다. 도라지싹인지의 여부는 조금만 기다리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질서를 지키는 도라지싹들을 위해 농부는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14/pimg_7731841432513543.jpg)
더덕 씨앗도 뿌렸다. 열매 속에 씨앗을 선별해놓지 않았던 탓에 열매를 으깨가며 씨앗을 뿌렸다. 씨앗이 얼마만큼 뿌려졌는지 구별이 안간다. 일단 심어놓고 보자, 라는 심산으로 뿌려놓은 것이다. 시간이 흘러보면 알 수 있겠지.
도라지는 싹을 틔우는 것 같은데, 비슷한 시기 심었던 상추는 아직 기별도 없다. 좀 더 지켜보다 싹이 트지 않는다면 새로 싹을 뿌릴 생각이다. 지난번에 뿌렸던 것은 묵힌 씨앗이었다. 몇일 전 토종 담배상추라는 씨앗을 얻었다. 상추가 나지 않는다면 토종상추씨앗을 뿌려볼 심산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14/pimg_7731841432513548.jpg)
날이 따듯해지니 벌레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나뭇잎이 온전치 않기에 자세히 들여다보니 벌레가 떠~억 하니 자리를 잡았다. 돌배나무에 유독 노랑쐐기나방고치가 많이 있었는데, 그중 몇개가 부화한듯하다. 눈에 보이는대로 없앤다고 없앴지만, 물리적 방제에는 한계가 있다. 꼼꼼하게 살펴봐야하는 예찰의 시기가 찾아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