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래 군의 열두 달 - 그리고 이곳 지곳의 스케치, 대안신서 2
알도 레오폴드 지음, 송명규 옮김 / 따님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코로나19로 인해 온 세계가 두려움에 휩싸여 있다. 바이러스 전파 확대를 막고, 진정시키기 위한 싸움이 격렬해지고 있는 모양새다. 코로나19를 바라보는 시선 또한 여러가지이다. 신뢰가 무너진 사회의 민낯을 보고 있다는 관점도 등장했다. 일련의 사태를 개인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노골적으로 또는 은밀하게 이용하는 사람들 또한 적지않다. 개인적 문제가 아닌 집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상호간의 믿음과 윤리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생명체란 스스로 건강을 지키고 관리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만약 이런 방어체계가 없다면 생명체가 스스로의 생명을 지켜내지 못할 것이다. 인간은 이런 스스로의 자기 회복 능력 체계를 넘어 의학과 방역 시스템 등을 통해 인류 전체의 자기 회복 능력을 키워왔다. 인간의 이런 능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코로나19를 극복해내는 것이 먼저이겠지만, 한편으로 어떻게 이런 사태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고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메르스와 사스, 신종플루, 조류독감 등등 각종 전염병의 창궐을 모른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전염병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내는 것은 쉽지않다. 다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건대, 생명체가 갖고 있는 자기복제와 자기 회복 사이의 균형이 깨져서 발생했을 것으로 추측해본다. 이 균형이 깨진 원인 중의 하나는 인간이 야생과 밀접한 접촉을 자주 갖게 된 것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발전이나 개발이란 이름으로 야생의 서식지가 줄어들었다는 직접적인 원인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서식지 변경으로 인한 간접적인 원인으로 살펴볼 수 있을듯하다. 즉 뭇생명이 살아갈 건강한 땅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알도 레오폴드는 '근대 환경 윤리의 아버지'라 불린다. 그는 약 100년 전 토지윤리에 대해 이야기했다. [모래 군의 열두달]이라는 책이 발간될 즈음 세상은 여성에게, 흑인에게 참정권이 주어지고, 인권의 대상이 확대되고 있었다. 그는 이런 윤리의 확대가 인간을 넘어 뭇생명의 어머니인 토지에게로까지 이르리라고 내다봤다.하지만 현실은 아직도 요원하다. 그의 말마따나 땅이 없어진다고 해서 우리는 그것을 슬퍼하지 않기 때문이다. 흙은 우리의 삶과 너무나 멀어져 있기 때문이다. 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친밀하지 않은 대상의 죽음은 우리에게 슬픔을 자아내지 못한다. 흙은 우리의 일상과 멀어지면서 슬픔의 대상에서 지워졌다. 하지만 생명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흙이 전제되어져야만 한다. 건강한 흙이란 다양한 미생물이 살아있는 흙이며, 이 흙을 토대로 뭇생명들이 균형을 유지하며 온생명을 다할 수 있다. 레오폴드는 인류가 인권을 확대해 온 것처럼, 토지의 권리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생태계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고, 생태계의 모태인 흙의 건강함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켜주었으면 좋겠다. 그동한 흙은 우리와 너무 멀리 떨어져있었고, 흙의 소중함은 잊혀진지 오래이다. 지구온난화를 최대한 저지하고, 생태계의 균형을 위한 흙의 건강성을 되찾기 위한 각성의 계기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알도 레오폴드의 [모래 군의 열두달]은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과 함께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의 아름다움과 건강성을 유려한 필체로 이야기하고 있다. [월든]은 월든 호숫가 옆 숲에 오두막을 짓고 2년 2개월간 살아온 이야기이다. [모래 군의 열두달]은 위스콘신 강 주위 농장과 오두막을 사고 수년 간 주말농장 비슷하게 꾸려오며 생활해온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 중 레오폴드의 다음 주장을 귀담아 들어본다.
바람직한 토지 이용을 오직 경제적 문제로만 생각하지 말라. 낱낱의 물음을 경제적으로 무엇이 유리한가 하는 관점뿐만 아니라 윤리적, 심미적으로 무엇이 옳은가의 관점에서도 검토하라. 생명 공동체의 통합성과 안정성 그리고 아름다움의 보전에 이바지한다면, 그것은 옳다. 그렇지 않다면 그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