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의 총성은 박정희 유신체제의 끝을 알렸다. 역사적 사건이기에 문학작품의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방아쇠를 당긴 김재규를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사건은 다각도로 읽힐 수 있다. 몰룬 이 시선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달려있기도 하다.
10.26 사건을 다루는 방식은 다양할 것이다. 사건 당일만을 집중적으로 파헤칠 수도 있고, 그 사건의 직접적인 계기가 될 만한 기간만을 잘라서 다룰 수도 있다. 아니면 유신체제 이후부터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 극의 전개 또한 사건 당일로 시작해 과거로부터 다시 거슬러올라갈 수도 있고, 애당초 과거로부터 10.26에 다가갈 수도 있을 것이다. 아니면 10.26에서 거꾸로 시간을 거슬러 갈 수도 있겠다.
극의 전개는 10.26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다소 김재규의 시선이 중심에 서 있다. 10.26 이후 전두환의 발표가 김재규를 바라보는 관점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아직까지도 많은 평가가 이 발표의 영향 아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차지철과의 권력싸움에서 밀려나 권력의 2인자라 할 수 있는 중앙정보부장으로서의 위치가 흔들린다는 위기감이 그를 자극시켰다는 평 말이다.
하지만 영화는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라는 김재규의 재판 발언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이는 영화 속에서 김재규가 계속해 "우리가 혁명을 왜 했느냐?"는 질문을 내뱉음으로써 10.26이 꼭 우발적인 사건인 것만은 아니라고 말하는듯 보인다.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김재규의 시선으로 살짝 기울어져 전개되면서도, 꼭 그렇지 않은듯 전개된다. 이 부분이 영화의 매력일 수도 있겠고, 반대로 영화의 힘을 다소 떨어지게 만드는 부분일 수도 있겠다.
여기에 마치 [그것이 알고싶다]류의 '이아고'라는 정체가 영화를 미스테리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권력의 2인자라 자부하는 남산의 부장들 뒤에서 코웃음치며 진짜 2인자로 언제든 최고의 권력을 움켜쥘 수 있는 존재. 영화 속에서는 전두환이 '이아고'인 듯 묘사된다. 대중의 흥미를 끄는 음모론일지, 타당한 의문 제기일지 이아고의 정체는 밝혀지지 않는다.
누구나 아는 이야기이지만, 사건의 당사자가 아니고서는 진짜 속마음은 알 수 없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영화 [남산의 부장들]을 추천한다. 하지만 역사의 평가는 냉혹하다. 냉혹한 평가에 더할 게 없다고 생각한다면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