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라마 [모두의 거짓말]은 종영됐고, [유령을 잡아라]도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모두의 거짓말]은 기업체의 환경오염이 소재로, [유령을 잡아라]는 조현병자의 범죄를 소재로 삼고 있다. 두 드라마의 소재와 이야기 전개 방식은 전혀 다르지만, 이야기를 끌고가는 한 가지 공통되는 모티브가 있다. 바로 침묵하는 다수이다.

 

2. 방관자 효과(제노비스 신드롬)라는 말이 있다. 1964년 미국의 뉴욕주 퀸스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살인사건이 벌어졌다. 도와달라는 소리가 아파트 전체에 울려퍼졌지만 아무도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 누군가가 신고했을 것이라는 생각에, 또는 신고 후 벌어질 귀찮음이나 피해 등을 생각하며 주저했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것이 불특정 다수가 있을 때는 특정한 한 명을 지정해 도움을 요청하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위 사건의 경우엔 그런 도움 요청도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 방관자 효과를 보여주는 영화도 한 편 있다. 바로 목격자다.

 

 

3. [모두의 거짓말]에서는 기업체의 폐수 방류로 마을 사람들이 암에 걸리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피해자도, 이 폐수 방류에 동참했던 자들도 모두 침묵했다. 그 중 누군가 한 명이라도 이 사건에 목소리를 냈다면, 이런 처참한 일들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일을 행한 사람들에게 그에 마땅한 벌도 가해졌을 것이다.

[유령을 잡아라] 에서는 조현병의 노숙자가 한 소녀를 위협했을 때 주위 사람들 중 한 명이라도 저지했다면, 소녀의 죽음을 막았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모두 모른척 했다. 연쇄살인범 유령은 침묵한 이들을 죽음으로 앙갚음했다.

 

 

4. 왜 사람들은 침묵할까. '방관자 효과'와 함께 생각해 볼 것은 선각자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다.

데릭 시버스(Derek Sivers)의 TED강연 '어떻게 운동은 시작되는가'(How to Start a Movement)는 리더십에 대한 것이기도 하지만, 선각자가 되기를 어려워하는 이유도 설명이 된다. (1) 많은 사람이 모인 곳에서 한 사람이 일어나 갑자기 춤을 춘다. (2) 대부분의 사람들은 '웬 미친놈?` 이라 생각한다. (3)하지만 누군가 일어나서 그 사람과 같이 춤을 춘다. 즉 동조자가 나타난다 (4) 처음 춤을 춘 사람들은 선각자가 된다. 하지만 아무도 따라 하지 않게되면 결국 미친 사람이 된다.

 

 

5. 방관자 효과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 한 사람을 지정하는 것도 어찌보면 동조자를 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촛불'이라는 경험을 했다. 한 개의 촛불은 꺼지기 쉽다. 하지만 촛불 한 개가 두 개가 되고, 그것이 점차 수를 늘리기 시작하면 그 촛불을 꺼지지 않는다. 한 개의 촛불이 켜질 때, 우리가 그 옆에서 함께 촛불을 들어야 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