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이란 농사를 업으로 하겠다는 선언입니다. 즉 농사로 밥 먹고 살겠다는 것이죠.

그런데 막상 농사를 지어보면, 농사로 돈을 번다는 것이 쉽지가 않습니다. 특히 자신의 땅이 없어 임대를 하고, 농기계도 임대하고, 하우스와 같은 시설농사를 짓겠다면 시설도 임대하고.... 임대비로만 평당 1,000원 가까이 쓰입니다. 물론 농사를 지으면서 들어가는 자재값이나 인건비는 제외하고 말이죠. 좋은 땅을 만들기 위해 특등급의 퇴비를 아낌없이 쓴다면 퇴비값만 해도 평당 1,000원 이상이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에 병해충 예방용 자재, 모종을 심거나 수확할 때 집중적으로 들어가게 되는 인건비 등을 따져보세요. 그런데 평균적으로 노지에서 농사를 지으면 총수입이 평당 1만원을 넘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우스에서는 평당 5만원에서 10만원 사이, 정말 특별나게 잘 키우고 마케팅해서 유통을 잘한다면 20만원까지도 가능한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어쨌든 지금 이렇게 계산해보는 것. 꼭 필요합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계속해 적자가 발생한다면, 더이상 지속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농가당 빚이 얼마다' 하는 이야기가 그냥 하는 말은 아닙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농사짓는 것이 웬만한 월급쟁이보다 더 낫다'는 말도 있으니까요. 이렇게 상반된 말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농사도 바로 경영을 잘 해야 한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입니다.

 

충주에서 블루베리 농사를 짓고 있는 진농원의 김진희 대표가 하는 말이 있습니다. "블루베리 값이 kg당 얼마 이하로 떨어지면 블루베리 농사를 접겠다!"

이 기준은 농사를 지으며 들어가는 투입비용과 노동력 등을 다 따져서 나온 것입니다. 애당초 블루베리는 FTA로 인해 국내경쟁력을 상실할 것으로 내다보고 폐업지원금 대상에 속한 작목입니다. 그럼에도 김 대표가 블루베리를 선택한 것은 농약을 덜 치고 친환경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는 것, 체험과 교육농장이 용이하다는 것, 가공을 통해 다양한 농식품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다는 것 등을 고려해서 입니다. 경영적으로 도전해볼만한 작목이라 생각한 것이죠. 하지만 그와함께 마지노선도 정해놓은 것입니다.

 

상주에서 우공의 딸기정원을 하고 있는 박홍희 대표 또한 마찬기지입니다. 귀농 전부터 경영적 이해타산을 계산해보고 도전해볼만하다고 해서 농업에 뛰어들었습니다. 6차산업이 용이하면서, 스마트팜의 활용이 가능한 작목과 장소를 선택해 상주에서 딸기농사를 짓기로 결정한 것이죠. 특히 스마트팜의 경우 투자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적정 기술 수준과 규모 등을 잘 따져보아야 합니다. 가장 최근의 스마트농업 포럼에서 나온 스마트팜 제작 비용은 평당 100만원을 넘어섭니다. 이런 수준의 스마트팜을 짓겠다면 1년에 최소 평당 20만원 이상의 수익을 창출해야 합니다. 그렇다해도 스마트팜 투자비용을 회수하는데만-감가상각을 제외하고서라도-5년 이상이 걸리죠. 그런데 평당 20만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농가는 전국에서 그렇게 많지가 않습니다. 그러니 무리한 투자는 절대 금물입니다.   

 

농사도 경영마인드가 필요합니다. 그냥 농사만 잘 지으면 된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1차 농산물의 가격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잘 지은 농산물도 가격이 폭락하면 예외일 수가 없습니다. 보다 안정적인 생계를 위해서는 2차, 3차 산업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물론 비싼 가격에라도 꼭 사가겠다는 사람들을 만들 수 있다면, 농사를 잘 짓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것도 다 따져보아야 합니다. 농사도 경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