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이란 책을 팔고 사는 가게를 말한다. 하지만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대부분의 유통은 온라인으로 넘어가고 있다. 서점이라고 다르겠는가. 문을 닫는 서점들이 많다. 2007년 3247곳이던 동네서점은 2017년 2050곳으로 10년 사이 1/3이 줄어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기류 속에서도 새롭게 서점을 열거나, 긴 역사를 자랑하며 꿋꿋하게 버텨내는 곳도 있다. 물론 이런 서점들은 이제 책만 사고 파는 거래의 장소가 아니다.

 

 

서림, 서원 등등 서점의 이름도 다양하다. 책의 숲, 책의 정원...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염원이 담겨진 이름들일 것이다. 이제 서점은 치유지, 예술터, 교육관, 낭송의 장소 등 다양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이 동네에서 살고 싶은 이유로 서점이 꼽힐 수 있을 정도의 문화적 교류의 중심이 되는 곳도 있다. 이번 <백투더 북스> 4편은 전국의 이색적인 동네서점들을 찾아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부산의 보수동 헌책방 거리, 서울 혜화동 동양서림, 속초 동아서점 등 오랜 시간을 버텨온 곳의 변천사와 진주의 진주서점, 부산의 인디고 서원 등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냈다. 서점의 다층적 역할과 매력을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의 발길이 더 많이 서점으로 향하도록 해 줄듯 싶다.

 

 

특히 개인적으로 눈여겨 본 점은 대전의 <도시여행자>서점이었다. 젠트리피케이션(높아진 임대료로 기존의 소규모 상인들이 떠나는 현상)으로 인해 운영의 어려움을 맞이한 곳이다. 아직 앞으로의 구체적 계획을 말하진 않았지만, 소유에서 공유의 개념으로 서점을 운영하는 사례가 될듯 싶다. 서점의 월세 또는 건물의 매입을 다수의 대중이 공동출자나 펀드 형식을 통해 공공의 자산 형식으로 해결하고, 서점 운영자는 콘텐츠 기획자로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것이다.

 

 

모든 서점이 이렇게 운영될 이유나 필요는 없겠지만, 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을 사람들로 북적이게 만들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이런 서점이 전국 면단위 마을에 들어섰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사람들로 북적이게 될 이 서점을 중심으로 자연스레 작은 병원, 작은 이발관 등이 들어서 옆에 함께 있을 수 있다면 '소멸'이라는 단어는 사라지지 않을까. 시골의 작은 서점이 문화와 교육, 치유의 역할을 해내 줄 수 있다면, 아이 울음소리 하나 들리지 않던 곳에도 아이들의 웃음 소리가 담장을 넘어 들려올 성 싶다. 너무 세상을 간단히, 어설프게 바라보는 것 같지만, 동네서점이 시골 부흥의 '넛지'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지 않겠는가.

 

 

나는 '이 서점 때문에 이 동네에 살아'라는 소리가 나올 수 있는 매력적인 동네서점들이 많이 들어서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