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리 : 잊혀진 영웅들
감독 곽경택, 김태훈
출연 김명민, 최민호, 김성철, 김인권, 곽시양
개봉 2019. 09. 25.

 

 

 

 

영화 <장사리:잊혀진 영웅들>은 남북전쟁 당시 실제 있었던 전투를 소재로 한 영화이다. 인천상륙작전 하루 전에 실행된 이 전투는 역사적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이 영화는 제목에 나왔듯 잊혀진 영웅들에 대한 이야기이자 우리가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할 이야기인 셈이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을 드러내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가장 명확하면서도 즉각적인 것은 바로 다큐멘터리이다. 그런데 이처럼 영화로 다룬다는 것은 이 이야기를 드라마틱하게 다루겠다는 선언일 것이다. 그리고 15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간 상업영화이니만큼 많은 관객(370만명 정도가 손익분기점)을 모아야 할 극적 요소도 담아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영화 실미도(2003년, 1100만 관객)를 롤모델로 삼았을지 모르겠다. 감춰진 진실 또는 잊혀져간 사실을 극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시대의 관심을 끌어내는데 성공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시대가 감추거나 드러내려 하지 않는 사실을 통해 우리는 억압과 폭력의 실태를 들여다보고, 그것으로부터의 자유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불태울 수 있을 테니까. 바로 그 의지의 크기만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자, 그럼 <장사리:잊혀진 영웅들>은 잊혀진 사실 속에 감추어진 어떤 추악한 현실이 도사리고 있었을까. 장사리 전투는 한마디로 손자병법 36계중 6계인 성동격서(聲東擊西)라 할 수 있다.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한 교란 작전인 것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적의 시선을 이쪽으로 돌리도록 만드느냐에 있다. 그런데 이런 중요한 작전에 미군은 제외된다. 자신들의 전쟁도 아닌데다 이미 미군의 피해가 많은 탓도 크다. 아마 이 작전으로 사상자가 더 늘어난다면 자국내 여론도 결코 우호적이진 않으리라는 판단도 있었으리라. 그렇다면 남한은 어떤가. 영화속에서는 당시 지휘관이 이 작전에 참여하는 군인들을 총알받이로만 생각했다고 표현된다. 그래서 겨우 2주 정도밖에 훈련받지 않은 학도병을 주력부대로 내세우고, 이들의 귀환에 관심도 없을 뿐더러 적극적으로 나서지도 않는다. 항상 희생은 가장 약한 고리에서 발생한다. 북쪽도 마찬가지다. 남침을 해오며 점령한 곳에서 학생들을 강제로 징발해 총알받이로 사용한다. 전쟁이란 원래 참혹한 일이지만, 그 피해는 가장 약한 곳에서 가장 크게 발생한다는 것이 더욱 비극적이다.

 

 

이 장사리 작전을 현장에서 전투지휘했던 대대장 이명준 대위는 실제로 귀환 후 작전 실패(실제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했으니 결코 실패한 작전이라 할 수 없음에도)를 이유로 사형을 구형받지만 이후 진실이 밝혀지면서 명예를 회복한다. 이 사형 구형 또한 희생양이 필요했기 때문에 벌어진 슬픈 일이다. 영화에서는 끝부분 실제 사진을 보여주며 나레이션으로 요약한다.

 

 

잊혀져서는 안될 역사적 사실을 드러내고 우리가 기억하도록 만드는데는 <장사리:잊혀진 영웅들>이 어느 정도의 소임을 다한것 같다. 하지만 영화적 재미만을 따진다면 글쎄... 이제 정말 웬만한 전투장면으로는 관객의 눈높이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뛰어넘는 연출은 영화가 제작된 1998년 이후 20년이 지났건만 찾기가 쉽지않다. 드라마적 요소는? 사촌동생과 남북으로 갈려 총부리를 겨누는 극적 장면이 연출되지만, 이건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 비하면 약한 느낌이 든다. 영화의 재미로만 따진다면 그냥 무난한 정도일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