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을 하겠다고 결심하고 시골에 내려왔다 하더라도 그 출발점이 꼭 농사일 필요는 없다. 앞에서도 이야기했듯 탐색기와 인턴기를 거치면 좋은데, 일정 수입을 얻으면서 탐색기를 거치는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영농조합법인이나 각 농업관련단체의 실무자가 되는 것이다. 농촌에선 말 그대로 각지각계에서 일손이 부족하다. 최저생계비 정도라지만 농사와 관련된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직접 현장에서 뛰어보면서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일자리는 마음만 먹으면 찾을 수 있다.

 

 

흙사랑영농조합법인 사무장이 법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충북 괴산군 감물면의 흙사랑영농조합법인의 사무장은 "언제든 농사를 짓고자 하는 이들이 실무를 경험하며 일을 배워볼 수 있는 자리가 있다"며 귀농자를 환영한다. 영농조합법인의 실무자란 회계부터 시작해, 농산물가공작업반, 물류, 교육, 회의, 행사, 재배현황점검, 작목반별 작목배정 등등 다양한 일을 하는 사람이다. 이런 일을 하다보면 조합원들과의 교류가 필수적이다. 이렇게 지역 농민들과 소통하다보면 자신이 원하는 좋은 땅이나 집, 집터 등을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시골에서 부동산중개업소를 이용하다보면 동네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보다 높은 가격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지역 농민들과의 직거래는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또 한해 농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농부들과의 교류를 통해 농사법도 배울 수 있다. 생산부터 유통까지를 전부 꿰어볼 수 있는 식견도 생긴다. 무엇보다도 당장 시골에 내려와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익을 얻으면서 노하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좋다.

 

 

충북 제천의 덕산마을에서는 공동작업을 하는 농장이 있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사회적 농업과 같은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충북 제천의 덕산마을에는 농업회사법인 청년마을이 있다. 이 청년마을을 통해서 귀농이나 귀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덕산마을에 내려와 농사를 지을 수도 있고, 귀촌 형식으로 자신의 재능을 펼치면서 이곳에 정착할 수 있다. 귀농하는 이들은 공동농장과 개인에게 주어진 농장에서 일을 하고 기본적 생계비를 받고, 영상이나 요리 등등 자신의 특화된 기술을 제공하고 기본 소득을 받는 경우도 있다. 다만 공동체마을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현재 우리 경제의 핵심인 자본주의 성격에 맞추어, 자신이 땀 흘린만큼 자신이 소득을 얻는 것 보다는, 같이 일하고 필요한 만큼 가져가는 방식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런 철학에 동의하고 함께 가고자 하는 이들은 귀농 초기 정착의 어려움을 주위 동지들과 함께 헤쳐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무튼 귀농의 첫걸음이 꼭 농사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농사와 관련된 일로 생계비를 벌면서 농사를 차근차근 배울 수도 있고, 귀농의 터전을 마련할 수도 있다.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귀농의 첫 출발점을 찾아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