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상욱의 과학공부 - 철학하는 과학자, 시를 품은 물리학
김상욱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7월
평점 :
사람이라는게 참 신기해서 그냥 살면 될 것을, 굳이 삶의 의미를 찾거나 삶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애를 쓴다. 그런 삶의 의미와 삶의 설명은 종교와 철학이 주된 역할을 해오고 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과학도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아예 대놓고 과학철학이라는 분야를 통해 과학과 철학을 융합하기도 하지만 꼭 철학이 아니더라도 과학이 설명해주는 현상을 통해 삶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 수도 있다. 영화 <양자물리학>에서처럼 삶의 모토를 양자물리학의 법칙으로 삼기도 하면서 말이다. 영화 속 주인공은 '생각이 현실을 만든다' '상황은 항상 변한다'를 입에 달고 산다.
하지만 과학이 세상 모든 것을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다.
과학의 방법은 만능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과학은 명제의 참, 거짓을 땨지는 데 유용하지만 가치를 판단하는 데 종종 무용지물이다. 꽃이 왜 아름다운지를 설명하는 것은 과학의 능력 밖이다. ... 학문의 역사에서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인문학의 몫이었다. .,.,. 가치를 판단하는 객관적 기준이란 없기 때문이다. 정의, 사랑, 인권, 아름다움 같은 것을 정의하거나 왜 중요한지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인간은 이것들 없이 살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적 사고는 현대인의 삶에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학적 사고의 핵심은 간단하다. 모든 것을 의심하고, 객관적이고 물질적인 증거에만 의존하여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특히나 요즘같이 거짓이 판을 치는 시대, 가짜 정보가 힘을 얻는 시대에서는 과학적 사고가 꼭 필요하다.
과학적 방법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정확하고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둘째 단계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는 것이다. 셋째 단계는 다시 관찰과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언론이든 SNS든 넘쳐나는 정보, 상반된 정보들을 판단할 때 우리는 과학적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우리가 무엇이 진실인지를 판단하고 가늠하는 이유 또한 명확하다.
과학은 신화와 동요를 고발하고, 권력을 거부한다. 결국 과학은 자유로운 인간의 모습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은 이제 과학을 통해 그 길을 넓혀가고 있다. 우리가 과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 책은 과학이 어렵고 접근하기 두려운 법칙이 아니라, 자유롭고자 하는 우리의 삶 속에 녹아있는 동반자임을 쉽고도 명쾌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아주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면 우리는 놀기 위해 일한다. 일이 목적이 아니라 잉여가 목적이었다는 말이다. 잉여의 중요성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기계로 절약된 시간을 우리의 행복으로 전환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언어와 통신에서의 잉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자연에서 잉여는 그 자체로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우리가 추구하는 복지사회란 잉여를 누리는 사회이다. 사실 우리의 삶을 살 만하게 만들어주는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운동, 오락 등은 모두 잉여가 아니었던가?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잉여의 가치를 잊어버린 것 같다.
자연에는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의 네 가지 힘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중력과 전자기력만이 공간을 전파하는 파동을 만들어낸다.
카오스는 복잡해서 얼핏 보면 불안정해 보인다. 하지만 카오스계는 선형계보다 외부의 간섭에 대해 훨씬 안정적이다. 규칙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아침에 1시간 지각을 하면 하루종일 엉망이 되겟지만, 대충 살아가는 사람은 2시간 지각을 해도 큰 문제가 업슨 것과 비슷하다고 할가. 자연은 카오스와 프랙탈을 통해 안정과 효율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은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