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을 결심하고 나서 제일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지역과 작물일 것이다.

 

 

● 귀농, 어디에 할까

귀농지를 결정하는 것은 굉장히 신중해야 한다. 귀농지란 단순히 도시에서 시골로의 장소 변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총체적 삶이 바뀌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마을 사람들과의 융화, 지역 사회에서의 역할 등은 물론이거니와 자녀가 있다면 교육문제, 부모님이나 나이가 있다면 병원과의 접근성, 문화적 혜택 등등 따져볼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교통, 의료, 문화, 교육 등등 모든 것이 도시와 다르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귀농지를 빨리 결정하기 보다는 차분히 시간을 갖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글쓴이의 경우도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 터를 잡기까지 2년여의 탐색기간이 필요했다. 1년간의 예비 정주와 1년 간의 땅 살펴보기를 통해 터를 잡은 것이다. 시골에서 한 번 터를 잡으면 이곳을 떠나 다른 곳에 새롭게 터를 잡는 일은 쉽지가 않다. 도시의 전세살이처럼 옮겨다니는 일은 시골에선 더욱 힘든 일이다. (집터와 농지 구입과 관련해서는 이후 글에서)

 

 

 

● 귀농, 무엇을 키울까

마음에 맞는 지역 결정이 안되었다면 작물을 먼저 결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특별히 키우고 싶은 작물, 즉 고추나 쌈채소, 버섯이라든가 사과, 배, 체리, 감 등 과수라든지, 돼지나 닭, 소와 같은 가축 등이 있다면 선택 과정이 편해진다. 자신이 좋아하는 작물의 특산지를 중심으로 지역을 선택하면 좋기 때문이다. 특산지를 선택하는 이유는 초보농사꾼이 겪게 될 농사과정의 어려움을 주위에서 쉽게 정보를 구해 해결하고, 재배를 넘어 판매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특산지가 아닌 곳에서 특이한 작물을 선택하게 되면 재배는 물론 판매에 있어서 도움을 받는게 쉽지않다. 또한 같은 작물을 키우는 농부들이 작목반이나 조합과 같은 조직을 만들어 대응하는 것이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제목소리를 내는데도 도움이 된다.

 

 

 

● 귀농, 탐색기를 가져라

지역도 작물도 결정이 안된 상태라면 탐색기를 갖는 것이 좋다. 귀농교육을 하는 곳이 전국에 다양하게 있기 때문에, 자신의 취향에 맞는 교육기관을 선정해 교육을 받는 것도 좋다. 산지협동조합의 귀농귀촌교육같은 견학 중심의 교육도 선택에 도움을 많이 준다. 단, 견학도 아는 만큼 보이기에 사전에 많은 정보를 습득하는게 좋다. 귀농귀촌종합센터나 귀농본부 등등 인터넷을 통해서도 정보를 두루 살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위의 경우에는 직업을 갖고 있으면서 주말이나 시간이 날 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좋은 방법은 실제 농사를 지어보는 것이다. 주말농장이나 텃밭 등을 구해서 1년간 농사를 지어보면 자신이 좋아하는 작물도 알 수 있게되고, 농사가 취향에 맞는지도 알게 된다. 아니면 본격적으로 장기귀농연수과정에 참가해보는 것도 좋다. 청년귀농장기연수교육장이 전국에 10여 곳이 있는데, 이곳에서 실제 농사를 지으면서 지역과 작물을 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단, 이 경우엔 6개월 정도의 장기 체류가 필요하기에 도시에서의 삶을 그만두어야 하는 결심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