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 내 삶의 주인이 되는 문화심리학
김정운 글.그림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그동안 꽤나 안주했던 모양이다.

도시(서울)에서의 삶을 접고 시골로 내려온 지 7년째.

맨 첫해는 물론 그 다음해까지 아이를 데리고 어떻게 살아야 할까 고민도 많았다. 도시적 삶에서 벗어나 자연적 삶(이게 어떤 삶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지만)을 살아보겠다는 의지는 경제적 해결점을 찾지 못해 이도저도 아닌 모양새가 되어버렸다. 입안에 풀칠 정도가 아니라 아이를 키워야 하는 입장에서 돈은 항상 발목을 잡았다. 그렇게 어중간한 타협으로 살아왔다. 그렇게 살다보니 자연적 삶에 대한 고민은 사라지고, 그냥 그렇게 시간이 흘러갔다. 

그러다 다시 생계의 문제가 눈앞에 다가왔다. 너무 안주했는가 보다. 시골로 내려오면서 했던 고민을 해결하고 그 길을 걸어갈 수 있으면 좋으련만, 어중간한 타협점에서 그럭저럭 버티고 살아왔던 것이다. 미래에 대한 불안도 설렘도 없이 그냥 하루하루가 지나갔다. 하지만 이제 다시 불안감이 엄습해온다.

 

불안하지 않아야 성공한 삶이다. 잠 푹 자고 많이 웃는 삶이 진짜 성공이다.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말이 폐부를 찌른다. 또다시 생계를 위한 선택의 순간이 왔다. 그냥 살기 위해 사는 삶이 아니였으면 좋겠다. 그래서 풀과 함께하는 농사를 짓고 있지만, 이것이 생계에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돈벌이와 노동이 따로 논다. 그러다보니 지금까지 생계를 지탱해주던 줄이 끊어질 위기에 처하자 불안이 치솟는 것이다.   

 

 

인간행위의 심리학적 설명에서 의미와 재미는 가장 중요한 차원이다. 그 어떤 정서적 경험도 부재하면 삶의 의미는 부여되지 않는다.

 

아마 또 돈벌이를 위한, 생계를 꾸려가기 위한 일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전혀 재미없는. 그래서 삶의 의미가 부여되지 않는. 아마도 시골에 내려온 시간동안 안주해버린 삶이 가져온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물일지도 모른다.

 

 

막연한 그리움이 현실속에서 실현가능한 것으로 변할때 생기는 심리적 반응은 설렘이다.

 

당분간 또다시 어정쩡한 삶을 살아가야 할지 모른다. 아니, 어정쩡하게라도 불안없이 살 수 있기를 바랄지도 모른다. 하지만, 시골로 내려와 살고싶었던 자연적 삶이라는 막연한 그리움이 현실 속에서 실현가능할 수 있도록 힘쓰는 삶을 고민할 시점이기도 하다. 안주가 주는 안도 속에서 너무 오래 살았다. 설레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