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서야 영화 <기생충>을 봤다. 다행히 결말에 대한 이야기를 듣지않아서 극의 전개가 주는 재미는 충분히 느꼈다. 하지만 누군가의 '냄새에 대한 이야기'라는 평이 영화를 보는 시선에 방점을 찍어대는 통에 나만의 관점을 갖는데 다소 어려움을 느꼈다. 게다가 감독이 빈부격차에 대한 이야기라고 힌트를 주는 인터뷰를 들었던지라 자연스레 관점이 한정되는 부작용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봉테일'다운 디테일과 나름의 반전으로 충분히 재미있었다. 특히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계층간의 격차는 '선을 넘지 말라'는 박동익 사장의 충고가 주는 공간적 상징과도 잘 들어맞는다.

 

전원백수 기택의 가족이 사는 곳은 반지하이다. 건물 중 반지하라는 공간은 방공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1960~70년대 서울로 몰려드는 사람들이 싸게 거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게 됐고, 세월이 흘러 이제 반지하라는 공간은 법적으로 신규건물에 지어질 수 없게 되면서 고시원이라는 공간이 그 자리를 점차 대신하고 있다.- 웹툰 <타인은 지옥이다>는 이 고시원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이야기 속에서도 기생충의 이미지가 차고 넘친다.

 

기택의 가족이 박 사장의 집에 기생하면서 알게 된 새로운 공간 또한 지하이다. 이 지하의 공간도 방공의 개념이나 은신처의 개념이다. 이 공간들은 상주의 공간이 아니라 임시거처의 공간이다. 그럼에도 임시가 아닌 상주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자신만의 공간을 가질 수 없는 빈민들이다. 반지하나 지하의 공간은 햇빛을 마음대로 쐴 수 없다. 기택의 가족이 들어가기 전 이 지하에서 기생하고 있던 가정부 문광의 부부는 주인이 없을 때면 지하의 공간에서 나와 햇빛을 즐긴다.

 

지하의 삶은 그 공간이 주는 냄새가 있다. 영화에서 말하는 지하철을 타는 사람들의 냄새마냥 말이다. 그런데 이 냄새라는 것은 공간의 한계를 넘어 퍼져나간다. 결국 공간성이 무너지면서 영화의 종반 극적 사건이 터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은 일회성에 그치는 우발적 사고에 그치고, 지하에 기생하는 기생충의 지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즉 공간의 역전이나 경계가 허물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다만 이 지하의 공간에서 기생충끼리의 슬픈 대결만이 커다란 상처로 남아 잔존한다.

 

과연 지하의 공간은 지상의 공간과 벽과 문 없이 열린 공간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보다 견고해지는 지상과 지하를 가누는 벽은 우리 일상의 공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이젠 지상에서조차 철조망을 치며 경계를 나눈다. 임대주택과의 경계는 박 사장 집의 지하실 문과 꼭 닮아 있다. 그런데 그 경계를 허무는 방법을 찾기위한 기생충의 연대 보다는 경계안에서 안주하기 위한 기생충간의 경쟁이 더 우선되기에 경계는 그 경계성을 더욱 공고히 한다.   

 

사족 :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소장이 말하는 슈필라움(놀이+공간)은 지하에서도 가능한 일일까. 갇혀있는 지하에선 불가능할 것이다. 다만 그럼에도 지상과 지하가 자유롭게 뚫려 소통가능하다면 지하에서의 슈필라움도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닐지도 모른다. 나만의 공간은 동굴이 될 수도 있지만, 언제든 자신이 마음내킬 때 밖으로 나올 수 있을 때만이 진정 슈필라움이 되는게 아닐까. 공간에서 빛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것, 이것이 기생이 아닌 공생으로 가는 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