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의사의 콩트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정재곤 옮김 / 북하우스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범죄 소설이나 범죄 영화 속에 등장하는 범인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아! 물론 모든 범인들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연쇄 살인범이나, 살인이라는 사건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살인범이라는 캐릭터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범인들이 그렇다는 것이다.

공통점이라는 것은 대부분 어렸을 적 기억하지 못하는 충격으로 인한 무의식의 잔재, 또는 그 경험이 주는 충격으로 정신병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영화나 소설은 이들이 정신병으로 인해 감옥에도 들어가지 않는, 또는 사형으로부터 면제되는 상황을 설정하기도 한다.

이런 이야기들이 주는 폐해는 정신병이라는 것에 대한 편견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최근의 잇따른 자살을 바라보는 시각도 우울증이라는 것으로 접근하고, 또 우울증에 대한 원인도 선입견이나 편견으로 접근하고 만다.

이책 <정신과의사의 꽁트>는 바로 이런 편견에서 벗어나게 해준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실제 사례를 꽁트형식으로 그려내면서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어 책을 읽는 것이 즐겁다.

한 예를 들면, 우울증에 걸린 중년의 회사 간부를 치료하는 부분에서 단순히 우울증 약을 준다거나, 주위의 따뜻한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결론짓지 않는다. 우울증에 대한 원인이 과거의 어떤 경험때문이라고 확정짓지도 않는다.

먼저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현재의 상실에 대한 감정이 과거 그가 아기였을때 느꼈던 감정(퇴행)을 불러일으켰다고 본다. 즉 어린 시절과 무의식에 관심을 쏟는 것이다. 영화나 소설 속에서 바라보는 원인은 대부분 이런 관점으로 집중된다. 다음으로 행동주의 분석이 있다. 이것은 환자가 현재 처해 있는 환경과 그 환경에 적응하려고 기울였던 노력에 주목한다. 즉, 행동에 따른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바라본다. 다음으로 생물정신의학적 관점이 있다. 이것은 생물학적 개념을 빌려와 설명하는데, 신경전달물질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우울증이 생겼다는 것이다. 세로토민, 도파민, 호르몬 등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환경적 요인이나 과거 병력, 유전적 요인 등이 거론된다.

즉 어떤 병의 원인은 어떤 이유 때문이라는 대증적 요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원인들을 따져봄으로써 종합적인 치유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런 다양한 접근 속에서 그 치유 방법도 보다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책의 장점이다. 그리고 열가지 정신병이라고 불리는 증상에 대한 실제 예와 함께 치유과정이 재미있게 쓰여졌다는 것도 딱딱할 것 같은 이야기를 가볍게 읽도록 만들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