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울할 땐 뇌 과학 - 최신 뇌과학과 신경생물학은 우울증을 어떻게 해결하는가
앨릭스 코브 지음, 정지인 옮김 / 심심 / 2018년 3월
평점 :
우울증은 아니더라도 우울한 기분에 사로잡힐 때가 있다. 한 번 이런 기분에 사로잡히면 그것에서 헤어나오는 것이 쉽지 않다. 소위 우울증의 하강나선에 빠진 것이다.
마이크로 이야기를 할 때 가끔 하울링 소리로 귀가 아플 때가 있다. 이는 마이크나 스피커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 상호작용이 문제가 되어서 발생한 일이다. 우울증도 이와 같아 우리 뇌의 문제라거나 감정의 문제가 아니다. 생각을 담당하는 전전두피질과 느낌을 담당하는 변연계 간의 의사소통방식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을증의 해결은 전전두피질과 변연계가 서로 잘 조절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시키는 방법에 달려있다.
그런데 우리 뇌는 부정적인 것에 더 활성화되어 있는 감정회로와 감정적 사건에 더 주의를 하는 주의회로를 갖고 있다. 사실 정보보다는 감정적 정보에 더 많은 주의를 하는 것이다. 더군다나 부정적인 것에 더 영향을 받아 긍정적 사건을 3번 겪어야 부정적 사건 1번을 겨우 희색시킬 수 있다고 한다. 또 우리 뇌는 모르는 것을 부정적인 것으로 왜곡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울증의 하강나선을 어떻게 상승나선으로 바꿀 수 있을까. 뇌는 마음을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또 우리가 경험하는 것에 따라 활동이 변화된다. 즉 평생에 걸쳐 뇌를 리모델링할 수 있다. 이를 신경가소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상승나선으로 바꾸기 위해선 뇌가 변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해야 한다. 나쁜 습관을 인식하고 좋은 습관으로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변화가 가능하다. 생활이 바뀌면 결국 뇌도 바뀐다.
그 첫 출발은 운동이다. 소파에 앉아있는 대신 단 1분이라도 걷는 것에서부터 상승나선으로의 시동은 걸리게 된다. 그리고 최선은 아닐지라도 항상 결정을 내려야 한다. 결정을 하면 통제감이 생기고 자신감이 올라간다. 그러면 점차 의사결정 능력도 향상된다. 수면의 질을 높이고 좋은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자기긍정에서 출발한다. 실패하고 실수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끝없이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몸을 활용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사회적 인간이기에 타인에게 의지하기도 하며, 어려울 땐 전문적 도움을 구할 필요도 있다.
자, 이제 우울증의 나락으로 깊게 빠져드는 대신 땅을 박차고 하늘을 나는 듯한 상승나선을 탈 준비가 되었는가. 그럼 이제 그만 침대에서 나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