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연대기 - 유인원에서 도시인까지, 몸과 문명의 진화 이야기
대니얼 리버먼 지음, 김명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화의 목적은 건강에 있는 것이 아니라 번식에 있다. 적응이란 상황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생존에 불리한 상황일수록 강력한 진화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적응이라고 해서 모든게 이로운 것은 아니다. 진화를 이루는 변이는 상대적 손익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해로운 변이는 쇠퇴하기 마련이라 현상이 유지될 뿐이다. 반면 생존 번식에 유리한 변이는 적응되어져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이 진화를 발생시킨다.

 

인류의 진화를 일으킨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기후변화에 있다 하겠다(기후변화를 증폭시키는 현재의 문명을 되돌아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겠다). 유인원에서 호미닌으로 진화하기까지 점점 추워지는 날씨로 인한 식량의 변화가 우리 인간을 만들어 낸 것이라고 본다. 네 발로 걷는 것보다 직립이 4배 적은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장거리를 움직일 수 있게 됐다. 이로써 과일에서 벗어나 덩이줄기, 씨, 줄기 등을 먹고 나아가 먼 거리를 이동해 수렵과 채집이 가능해졌다. 키가 커지고 다리가 길어지고 코가 튀어나오는 등의 현대적인 몸으로 변한 것은 이 때문이다. 게다가 불을 이용해 식량을 가공하게 됨으로써 소화율이 높아져 내장은 작아지고 뇌는 커졌다. 이와 함께 입뼈가 들어가면서 발성이 가능해져 수다를 떠는 재능이 생겼다(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에서는 이 발성의 능력 덕분에 가상의 것, 이야기를 만들어 냄으로써 공동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 이전엔 접촉을 통해 공동체가 구성되었기 때문에 50~150명 정도 수준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인류는 문화적 진화를 이루게 된다.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바꾸게 된 것이다. 이와같이 우리 몸은 적응들이 복잡하게 종합된 산물이며 이 적응들은 타협으로 가득하다.

 

그런데 이렇게 진화해 온 몸은 현재의 환경 자극이 바뀜으로 인하여 진화적 불일치 질환을 앓게 됐다. 충치나 고혈압 등이 역진화의 예다. 이 질환은 원인이나 예방치료가 어려운 비감염성 만성질환이며 번식적합도에 적거나 무시할만한 효과를 지녔다. 원인 인자는 문화적 이점을 가져다준다는 공통점을 지녔다. 현대사회에 들어와서는 어릴 때 전염병으로 죽는 대신 비전염병에 시달리며 오래 사는 역학적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무튼 현대인의 몸은 과잉의 에너지 탓에 비만으로 인한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 몸은 끊임없이 공급되는 잉여에너지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섬유소 없는 가공식품은 간과 췌장이 감당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르게 열량을 흡수함으로써 내장지방을 쌓게 만들고 이로인해 대사증후군으로 인한 각종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 몸이 살이 찌는 이유는 당연하게도 들어오는 열량이 나가는 열량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런 영향은 음식의 종류가 바뀌면서 심해졌다. 포도당이 많은 음식,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속도가 빠른 음식 탓인 것이다. 당 분해 속도를 늦추고 수송 속도 또한 늦춰주는 섬유소가 없는 포도당과 과당으로 인해 간에 급하게 많이 도달함으로써 과당은 지방으로 바뀌고 이것은 간에 쌓여 염증을 일으킨다. 이로인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 받고 간에 저장된 포도당이 혈류로 나와 인슐린이 분비된다. 여분의 포도당과 지방을 세포로 옮기고 지방세포와 동맥 등에 저장이 된다. 이런 음식의 변화의 중심에는 1970년대 발명된 고과당 옥수수 시럽이 있다. 반면 신체활동이 많으면 미토콘드리아 수가 증가해 지방과 당을 태우지만 현대인은 신체활동이 오히려 적어 비만을 부채질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몸을 일구는 작업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타협으로 이루어진 몸을 위태롭게 만들지 않기 위해선 부지런히 몸을 움직이고 단순 탄수화물을 멀리하는 식사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