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연의 책 『서서비행』을 읽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던 문장은 이렇다. “나는 아직 좋은 서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답하지
않았다. 사실 그 대답은 너무 뻔하다. 좋은 ‘서평’ 이전에 좋은 ‘글’이어야 한다는 것.” 난 『서서비행』이라는 책 제목과 함께 금정연이라는 이름도 기억해뒀다.
서평가, 다른 이들의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우스꽝스러운 직업(10쪽)을 가진 사람의 책 이야기는 너무나 즐겁다. 예를 들면, 아직까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완독하지 못한 독자들을 향한 이 달콤한 위로의 말들이라니.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에는
이런 대화가 나온단다.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어때?” 갑자기
교양을 시험당한 아오마메는 되묻는다. “당신은 읽었어요?” 그러자
다마루가 담담하게 말한다. “아니. 나는 교도소에도 간 적이
없고, 어딘가에 오래 은신할 일도 없었어. 그런 기회라도
갖지 않는 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완독하는 건 어려운 일이라고들
하더군.” 이어지는 대화는 점입가경이다. “주위에 누군가
다 읽은 사람이 있었어요?” “교도소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사람이 내 주위에 없는 건 아닌데, 다들 프루스트에 흥미를 가질 만한 타입이 아니었어.” (40쪽)
금정연의 다정한 속삭임에도 불구하고, 아니 오히려 바로 그 속삭임 때문에, 나는 반드시, 반드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을 완독하리라 다짐한다. 책장 맨 윗 칸에서 우아하게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을 당장 뽑아 책표지를 과감하게 벗겨 내서는, 자주빛 새
책을, 식탁 옆 책탑 맨 위에 척 하니 올려둔다. 반드시
읽고 말리라. 금정연이 끝까지 못 읽은 이 책을, 나는 읽고야
말리라. 반드시 읽어내리라. 읽어 내고야 말리라. 다짐과 결심, 그리고 화이팅.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619/pimg_7981871741674000.jpg)
글을 써서 먹고 산다는 것, 글쓰기로 생계를 유지한다는 것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낭만적인 생각들은 금정연의 솔직함 앞에서 일순 부끄러워진다. 마감에 쫓겨 글을 쓴다는 것, 쓸 내용이 없는데 쓴다는 것, 쓰기 싫은데 쓴다는 것, 잘 안 써지는 데 쓴다는 것. 그런 것들은 얼마나 사람을 지치게
하는가. 얼마나 큰 좌절감을 안겨 주는가. 멋져 보인다고, 멋진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글을 쓴다는 건 얼마나 고단한 일인가. 그런데 글을 써서 먹고 살겠다니. 글쓰기로 생계를 유지하겠다는 생각이
잘못된 건 아니지만, 왜 하필 이 나라에서. 이 나라의 말로.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5천만. 하지만, 사람들은 거의 책을 읽지 않아, 한 달에 책 한 권 읽는 사람도 찾기 어렵다. (알라딘 마을 제외^^) 글을 써서, 책을 써서 먹고 산다는 건,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책을 읽고 원고를 납품하는 와중에도 원고 수입은 적고, 생계는 빠듯해 생각에
자주 빠지게 된 어느 즈음, 몸이 아파 찾은 병원에서는 금정연에게 내시경 검사를 하자고, 그리고 혈액 검사도 해야한다고 했다. 비용은 대략 30만원. 그 다음 페이지 전체는 가히 이 책의 백미라 할 수 있는데, 아무리 줄이려고 해도 줄일 수 없는 명문장들 뿐이다. 상황이 그렇고, 표현이 그렇다.
그런데 바로 그 다음 날,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한 번도 원고를 기고한 적 없는 잡지의 청탁 전화였다. 원고료는
30만 원이라고 했다. 내 속을 들여다보는 대가로 내가 의사에게
지불했던 바로 그 금액이었다.
하지만 뜻밖의 지출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며칠
후 혈액 검사 결과를 듣기 위해 찾아간 병원에서는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10만원. 그러자 이틀 후, 역시 한 번도 원고를 기고한 적 없는 잡지에서
그만큼의 원고료를 주겠다는 청탁 전화가 걸려왔다.
우스운 우연이었다. 나는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기로
했다. 재정 상황을 점검한(그건 정말 간단한 산수였다) 나는 ‘얼마’의 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나와 내 통장에게 약간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돈이었다. 나는 ‘얼마’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생각했으며, 생각했다. 밤이 새도록, 생각에 생각을 거듭했다. 그러자 정말 그 돈이 당장 필요한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아침이 밝았다. 또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출판사에서 일하는 친구의 전화였다. 그는 내게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했고, 보수로
바로 그 ‘얼마’만큼의 금액을 제시했다. 정확히 같은 금액을. 그때 내 입에서 나도 모르게 흘러나온 ‘씨발’이라는 감탄사는 아마 이런 뜻이었으리라 : “론다 번과 이지성이 옳았단 말인가!” 나는 웃을 수도, 울 수도 없었다.
아무리 그래도 인생을 ‘시크릿’ 가득한 ‘꿈꾸는 다락방’으로
만들 수는 없는 일 아닌가? 그래서 나는 거절했다. 거짓말이다. 다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뿐이다. (234쪽)
나는 론다 번과 이지성의 주장이 다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게 믿는
사람들에게 그런 일들이 종종 일어난다고,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론다 번과 이지성이 완전 거짓말쟁이가 아니라면, 그들의 이야기 속에 일말의 진심 혹은 진실을
포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들이 믿는 원리 혹은
신념을 다른 사람들에게 일률적으로 강요하는 건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이 말하는 간절함이 다른
사람에게는 다르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간절하게, 더
간절하게 혹은 열심히 더 열심히,는 간절함과 열심을 마음 속 깊이 다짐하는 사람에게 고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간절함과 열심이 이룬 결과에 대한 책임이 노력하고 애쓴 사람에게만 강제된다는 것 역시
문제다. 사회 속 부조리의 책임을 개인에게만 돌리는 건 비겁한 일이다.
그러니까, 나는 “할 수 있는
일을 매일 할 때 우주는 우리를 돕는다”(<지지 않는다는 말>,
204쪽)는 말이 우리네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제법 많지만, “어쩌면 내 뜻대로 이뤄지지 않는 이 현실이 내 삶의 궁극적인 목적지일지도 모른다”(<소설가의 일>, 251쪽)는 말 역시 긍정하고 있다는 뜻이다.
『롤랑 바르트, 마지막 강의』에 대한 글, <우리 삶의 노정 중간에서>는 빨간 책방에서 이동진 작가가 일부 낭독해줬었는데, 바로 이
문장 때문에, 바로 이 문장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나는 이 책을 읽었다.
“시도하기 위해 희망할 필요도 없고, 지속하기
위해 성공할 필요도 없습니다. “
권태와 두려움을 이기는 방법도, 새로운 삶의 장 역시도 글쓰기일 수 밖에
없다는(102쪽), 바르트의 말은 그의 다른 말도 궁금하게
만든다. 금정연을 읽고, 금정연이 밑줄 친 문장을 읽고, 프루스트를, 롤랑 바르트를 다시 보게 됐으니, 금정연은 성공한 셈이다. 나는 금정연 덕분에 줍게 된 이 문장을
들고, 롤랑 바르트에게로 간다. 한 발짝 또 한 발짝, 발을 뗀다.
“시도하기 위해 희망할 필요도 없고, 지속하기
위해 성공할 필요도 없습니다.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619/pimg_798187174167399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