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이 ‘2022년 상반기의 책’ 되시겠다. 이 책을 대출해서 집에 가져온 게 3번 정도 되는 것 같고, 이번에도 대출한 책으로 읽고 있지만, 내 책으로 읽는 거 아니어서 많이 죄송하기는 하지만. 정말 대단한 책이다.
천재는 일반 사람들과는 다른 길을 걷는다. 천재가 사는 세상을 모르니 명시적으로 말할 수는 없겠지만, 책 속에서 그려지는 천재는 그렇다. 일반 사람과는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행동한다. 그래서 천재는 외롭다. 이해받기 어렵다. 여성이 천재일 때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 가부장제를 내면화해 살아가는 사람들 틈바귀에서, 즉 그런 남자들과 여자들 사이에서 생활할 때, 천재인 여자는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를 부정해야만 한다. 도덕적으로 순결하고 육체적으로 나약하고 지적으로 무력하고 결정적으로 순종적이어야 한다. 천재 여성이 그 금기를 넘어서려고 할 때, 그녀의 도전은 천재 남성이 겪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훨씬 거대하고 단단한 장애물이 그녀 앞에 높여 있다.
필리스 체슬러의 책은 그렇게 읽힌다. 성적으로 적극적이고, 지적으로 열정적인 여성이 겪어야만 하는 시간과 경험들. 그리고 그녀가 돕는 여성에게서 느끼는 분노와 실망의 순간들. 135쪽을 읽으면서 이 페이지의 모든 문장이 느낌표로 끝나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통째로 옮겨야 할까 하는 생각도 했다. 그런 순간이 계속 반복된다.
아래 문단은 137쪽이다. 우리는 모두 이런 실수를 한다. 여성에게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그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하찮게 대해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소홀히 대하면서도 미안해하지 않는다. 매일 매 순간 멈추지 않고 뛰는 심장이 자꾸, 쿵쿵거린다.
내가 가르치던 학생 중 하나가 내 남성 동료 교수 중 한 명과 잠자리를 같이 했다. 학생은 임신이 됐고 자궁 외 임신으로 거의 죽다 살아났다. 의지할 사람이 전무했던 그 학생에게 연민을 느낀 나는 병원으로 병문안을 가서 퇴원하면 내 집에서 같이 지내자고 제안했다. 나는 그 학생을 돌보아 주었다.
어느 날 그 학생이 회복되어 활기찬 모습으로 부엌에서 분주히 돌아다니고 있었다. 권력을 남용해 임신시킨 그 작자를 위해 저녁 식사 요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구구절절 변명을 늘어놨다. "그 사람은 병원이 무섭대요. 어머니가 병원에서 돌아가셨거든요. 그래서 그때 한 번도 저를 찾아보지 못했던 거래요. 오늘밤 그가 저를 찾아온다니 너무 설레요."
나는 충격과 분노에 휩싸였고, 가슴이 아팠다. 그런 인간이 이 어린 여성의 어리석은 마음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에 슬퍼지기도 했다. 학생은 자신을 곤경에 빠뜨리고는 떠났던 그 남자를 위해 음식을 준비하느라 행복해하면서도, 자신을 들여보내줬던 여성 스승에게 감사를 어떻게 표해야 할지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 아마 꽃 한 다발로 내게 감사를 표하거나 하는 데까지는 전혀 생각이 미치지 못할 눈치였다. 이런 행동은 마치 어머니가 우리에게 날마다 뭘 해 주든 당연한 것으로만 여기고 감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전혀 못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나 역시 대역죄인이다.) (13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