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아이는 7살때부터 유치원에 다녔다. 둘째를 임신했을 때 집 앞 어린이집에 오전에만 다니다가 내내 집에서 놀았는데, 7살이 되니 어쩔 수 없이 유치원에 보냈다. 큰아이가 유치원에 가면 작은 아이와 도서관에 갔다. 매일은 아니었고 일주일에 두 세번 정도, 집 앞 ㅅㅅ도서관에 갔다. 3층 어린이실의 선생님이 아롱이를 너무 예뻐해주셔서, 그 땐 아롱이가 (남달리) 귀여워서 그런 줄 알았는데, 나중에 보니 선생님은 모든 아이들을 반갑게 맞아주시는 분이셨다. 언젠가는 아롱이의 손을 잡고 흔드시며 말씀하시기를, 딸만 셋을 낳아 요만한 남자 아이들을 보면 너무 귀엽다고 하셨다. 선생님께 인사를 하고 신발을 벗고 자리에 앉아 아롱이가 골라오는 책을 읽어줬다. 글씨를 모르는 아이, 그림만으로만 세상을 상상하는 아이에게 소리를 내어 책 위에 새겨진 글자를 읽어줬다. 가끔 아롱이처럼 엄마랑 도서관에 온 아이들이 어린이실에 들어오면 아롱이는 그 아이들을 쫓아다니느라 나를 내몰라라 했다. 나는 나대로 육아 관련서를 읽거나 소설을 읽었다. 아무도 없는 날이면 내내 아롱이와 둘이 앉아 책을 읽다가 큰애 유치원이 끝나는 시간쯤에야 자리에서 일어섰다. 나오면서는 자동판매기에서 600원짜리 제크 코코아를 사줬다.
사람들이 나처럼 책을 안 산다면 한국의 출판 문화가 많이 걱정되기는 하는데, 아무튼 나는 책을 많이 사지 않는 편이다. 사두고 읽지 않은 책들이 많기도 하고, 더 이상 쌓을 곳이 없기도 하지만, 제일 주요한 이유는 도서관이 가깝게 있기 때문이다. 필요한 책은 검색을 하고, 대출을 하고, 먼 곳 도서관 책은 상호대차를 신청하고, 신간은 이달의 희망도서로 신청을 한다. 새 책에 대한 열망만은 나도 남부럽지 않은데, 새 책이, 새 책들이, 엄청나게 많은 새 책들이 내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는 환상은 항상 나를 들뜨게 한다.
내게 도서관은 해방의 공간이다. 조용한 도서관 열람실에서 혼자 가만히 책장을 넘길 때, 걱정과 염려, 분노와 불안을 잠시라도 잊을 수 있었다. 답을 찾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답을 찾을 수 있는 공간이 바로 이 곳이라는 확신은 갖게 됐다. 도서관은 내게 그런 장소였다. 아이들을 통해 만나게 되어, 아이들 독서모임에서 시작해 이제는 우리만의 독서모임을 하고 있는 언니들과의 카톡 중에, J언니가 말했다. (코로나 때문에) 힘들기도 하고 답답한 거 다른 거는 그냥 참을 만한데, 도서관 못 가는게 제일 그래. 그치? 우리 모두 다 같은 마음인데, 이 언니들도 도서관을 제집 드나들 듯 하는 분들로서, 이번 코로나로 인한 변화 중 도서관 ‘휴관’을 가장 힘들어하셨다.
3주 전쯤에 이사 온 동네에 도서관이 대출업무를 다시 시작했다고 해, 온 가족이 출동했다. 간격을 유지해 줄을 서고, 카드를 스캔하고, 체온을 재고, 손소독을 한 후에 도서관으로 들어섰다. 자리에는 앉을 수 없고 대출만 가능하다고 했다. 작년 12월에 개관했다고 하는데, 3개월 정도 운영하고 나서 코로나 사태가 벌어져 내내 닫혀 있다가 이제야 문을 다시 연 것이었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이 제일 먼저 나를 맞아주었고, 나름 신경 쓴 듯한 내부가 눈에 띄었다. 작은 화분 아래가 페미니즘 자리다. 『제2의 성』,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여자 전쟁』 등이 눈에 띈다. 『당신 엄마 맞아?』를 발견한 곳도 바로 여기다. 1인당 5권, 모두 20권을 대출해서는 발걸음도 가볍게 집으로 돌아왔건만, 수도권 확진자 증가세로 도서관은 다시 휴관에 들어갔다.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었다는 말이 이제는 무색해졌다. 예전으로는 돌아갈 수 없으리라,는 불안한 예감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고, 코로나 19가 지나가면 코로나 19와 다른, 혹은 코로나 19보다 더 강력한 바이러스가 인류를 위협할 것이 거의 확실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간이 다가오고 있고, 새로운 시대가 펼쳐질 것이다. 이제는 평범했던 이 모든 일들을 다른 각도로 바라봐야 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적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예전의 경험은 이제 ‘추억’으로서 혹은 ‘과거’로서만 존재할는지도 모르겠다. 이를테면 아이들을 모두 학교에 보낸 뒤 도서관에서 책을 찾아 자리에 앉아 목차를 펼칠 때의 고요하고 아늑한 느낌 같은 것들.
유럽에 있는 제 지인들은 코로나19를 흑사병과 비교를 많이 합니다. 물론 사상자 숫자는 비교가 안 되죠. 14세기에는 인구의 거의 절반이 죽었으니까요. 그런데 유럽 사람들이 이번에 워낙 큰 충격과 비극을 느끼면서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뒤바꿀 사건이란 점에서 같다고 보는 겁니다. 코로나19 이후에 문명 전체가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바뀌지 않겠느냐, 이렇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지난 40년 동안 지구적 자본주의 문명을 떠받치던 구조들이 모두 무너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조는 네 가지인데요. 지구화, 도시화, 금융화, 생태 위기입니다. _포스트 코로나[4] 새로운 체제_ 홍기빈 - P1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