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겨울방학이 중요하다 말해 초등생은 중학교 수학을, 중학생은 고등학교 수학을 공부하는 것이 당연한 이 때에,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데리고 여행을 간다. 이것은 여행인가 화보 촬영인가 옷가지를 캐리어에 밀어 넣으며 잠깐 고민이 밀려오는 찰나. 일단 가보자. 고민은 다녀와서. 일단 놀고 보자. 생각은 갔다와서.
나는 여행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다. 결혼 전에 부모님과 여행 다녔던 기억이 거의 없다. 결혼하고 큰아이 낳고 나서도 여행은 커녕 여름휴가도 다니지 않아서, 큰아이 여섯 살 때 교회 식구들과 작은 콘도에서 1박을 하게 됐는데, 큰아이가 작은 방으로 끌고 들어가 문을 잠그고는 예의 진지한 모드로 물었다. “엄마, 여기는 누구네 집이야?”
그랬던 내가 여행을 간다. 교육적 목적이 표면적인 이유이고, 밥 차리는 일에서 해방이 실제적 이유다. 자다깨면 자꾸 밥을 대령해주는 메뉴 2가지의 기내식에도 감동하는 사람은 진정 나뿐인가.
가지고 온 책은 이렇게 5권. 정희진쌤 책은 언제 어디에서든 첫 문장부터 몰입하게 한다. 그녀의 고민과 그녀의 문장은 한 몸이다.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Eat pray love>는 숙제를 해야해서 가져왔다. 밀리면 나중에 힘드니까. <educated>는 어디로 보나 촬영용이고, 크레마에는 <2019 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이 들어있다. 동네도서관에서 대출한 이북은 <가재가 노래하는 곳>이다. 너무 뻔한 설정샷이라는 아이의 핀잔에도 책사진을 찍어본다.
짐을 꾸리는 마지막 순간까지 가지고 갈까말까 고민했던 책은 수전 팔루디의 <다크룸>. 성전환 수술을 감행해 이제 스테판이 아닌 스테파니가 된 아버지를 최대한 객관적인 기자의 눈으로 보려하는 수전의 말을, 나 또한 편견 없이 보려한다.
패키지 여행의 아쉬움이라면 무엇보다 음식이다. 신기하게 맛있었던 양갈비를 제외하곤 전체적으로 부실하다. 올리브 대잔치가 그런대로 괜찮은 정도. 현재 시간 오후 8시 25분. 터키의 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