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엽국"
비오는 어느 여름날 골목 담장 위 훍속에 두었다. 말라가나 싶었는데 어느 사이 꽃을 피워 골목을 드나드는 앞집 할머니와 그 친구분들이 좋아라고 했다. 꽃을 심고 가꾼 마음 한구석이 따스한 온기로 밝아오는 순간이다.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햇볕을 좋아해서 밤에는 꽃잎이 오므라든다.


'송엽국'이라는 이름은 소나무의 잎과 같은 잎이 달리는 국화라는 뜻이다. 잎이 솔잎처럼 생겼으면서 두툼한 다육질이다.


4월부터 가을까지도 꽃을 피운다. 햇볕을 한껏 받은 꽃잎은 매끄럽고 윤이 나 눈이 부실 정도다.


강한 생명력으로 아무곳에서나 잘자라는 송엽국은 의외로 '나태', '태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결에 비내음이 무겁다. 뿌옇게 송화가루 날리는 날, 5월 푸르른 하늘을 보여주려나 보다.

다시 5월의 하늘을 본다. 내가 내 의지대로 살아가고 했던 그때의 5월로부터 수십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같은 5월을 맞이한다. 5월의 하늘은 푸르름보다 더 짙은 붉은빛으로 물들었다.

청산되지 못한 시대의 아픔이 그대로 있는 한, 내게 5월의 하늘은 푸르름보다 더 짙은 붉은빛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산너머 비내음 담아오는 잿빛 5월의 하늘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몰입沒入'
다른 모든 것에는 벽을 두른다. 강력한 집중을 요구한다. 무언가에 흠뻑 빠져 심취해 있는 무아지경의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필요한 조건이다. 생각과 행동의 일치이기에 다른 무엇이 비집고 들어올 틈이 없다.


목숨까지 걸었다. 이것을 깨트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완벽한 몰입이다. 꿀벌이 동백의 꿀에 취했다.


몰입의 상황에 들어가면 사람의 몸과 마음이 '물 흐르는 것처럼 편안한 하고, 하늘을 날아가는 자유로운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생각과 행동의 일치가 가져오는 자기만족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억제나 구속과는 다른 자유로움이 그 본질이다.


사랑이라 이름지은 모든 관계도 이와 같다. 누군가를 가슴에 품는다는 것도 이 몰입과 다르지 않다. 아니 다르지 않아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과 대상에 모두에게 당당한 마음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몰입의 시작은 스스로에게 정성을 다하는 수고로움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삭줄"
후~~. 꽃 앞에서면 늘 같은 충동이 일어난다. 입김으로 저 꽃을 돌려보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늘 실패하면서도 올해도 어김없이 시도한다. 바람개비 닮은 꽃이 곱기도 하고 은은한 향기도 더없이 좋다.


산기슭, 너덜바위 지역, 들판의 자갈밭, 황무지,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는 잎지는 늘푸른 덩굴나무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 나오며 이웃 나무나 바위에 기대어 길이 5m 정도로 뻗어 나간다.


꽃은 5~6월에 새로 나는 햇가지 끝에 흰색으로 피며 점차 노란색이 된다. 꽃부리는 5갈래로 갈라지며 가장자리가 바람개비 모양으로 말린다.


삼줄(마삭, 麻索)처럼 생겼다고 마삭줄이다. 줄기와 잎에 털이 없는 것을 민마삭줄, 전체가 대형인 것을 백화등이라고 하지만 구분이 쉽지 않고 의미도 없어 보인다.


'하얀웃음'이라는 꽃말처럼 꽃 앞에서면 저절로 미소가 피어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세기컴맹 2016-06-02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겨울도 남녘에 산에서도 푸른잎을 자랑하던 마삭줄, 여기서 꽃을 보니 그동안 잘 보지 못했단 생각이 듭니다. 처음보는 듯...

무진無盡 2016-06-02 20:09   좋아요 1 | URL
늘푸른 잎으로 지내다 이때쯤 꽃을 피우지요 ^^
 

'띠풀'
다시 '삐비' 꽃 피는 시절이 왔다. 모내기 하는 논에 새참 이고 들고가는 논둑에 하얗게 피어 춤추던 그 삐비다. 어린 이삭을 씹어 단물을 빨아먹던 어린시절을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풀이다. 은백색 비단털로 둘러싸인 벼꽃이삭이 인상적이다.


우리나라 각지의 들이나 산기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삐비, 띠풀의 전라도 사투리다. 모근, 백모근, 여근, 지지근이라고도 하며 이삭을 백모화라고 부른다.


'삐비껍질'의 그 삐비를 말한다. 속살은 이미 파 먹었기에 껍질만 남은 쓸모 없는 삐비를 비유로 인간관계에 적용한 사례다. 존재감을 무시당할 때 "내가 삐비껍질로 보이냐?"라는 말에 등장하는 그 삐비다.


띠풀은 다양한 용도로 일상에 사용했다. 지붕을 덮는 재료로도, 도롱이, 소쿠리와 같은 일상용품에도, 제사상의 모사기에도, 뿌리는 약으로도 쓰였다. 무논에서 거머리 물어 피가 나는 곳에 붙이면 지혈이 되기도 했다.


한동안 잊고 있었던 추억이 시골마을에 정착하며 하나씩 새롭게 다가온다. 그 가운데 이 삐비도 있다. 당시로는 귀한 껌대신으로 애용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