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좋고 열매도 좋은 석류화石榴花

간밤에 비 오더니 석류꽃이 다 피겠다

부용당芙蓉堂 가에 수정렴水晶簾 걸어 두고

뉘 향한 깊은 시름을 못내 풀려 하노라

*조선사람 상촌象村 심흠申欽의 시조다. 머리속에 한편의 풍경이 지나간다.

“석류는 본래 서역西域에서 나는 것으로, 한나라 때 장건張蹇이 안석국安石國에서 가져왔다 하여 석류石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석류는 꽃이 좋을 뿐 아니라 그 열매가 볼 만하고 또 먹을 만하여, 예로부터 흔히 재배해 왔다.”

다음은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나오는 석류에 대한 내용이다.

“층층이 뻗은 가지가 위는 뾰족하고 밑은 퍼진 것은 백양류柏樣榴, 즉 잣석류라 한다. 줄기가 곧고 위쪽은 성글어 가지가 마치 일산日傘을 펼친 것 같은 것은 주석류柱石榴, 곧 기둥석류라 한다. 몇 그루가 덤불로 나서 가지가 뒤엉긴 것은 수석류藪石榴, 즉 기둥 석류라고한다.”

옛사람들의 그림 속에도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열매 속에 씨앗이 많아 다산을 상징하는 의미를 나타낸다고 한다.

퇴근 후 길을 가다 눈을 사로잡는 꽃이 있다. 담장 아래 초록 잎이 무성한 키 작은 나무에 붉은 꽃이 몇 개 보인다. 차를 돌려 다시 그곳에 멈춘다. 자세히 보니 석류나무다. 다가섰다 물러섰다 눈맞춤 하는 사이 할머니 한분이 다가와 비시시 웃는다. 할머니 얼굴에도 석류꽃이 피었다. 속류는 붉은 것이 과하지 않아 친근감이 있고 수줍은 듯 빼꼼히 속내를 보여주는 열매도 좋다. 그것만으로 충분하다는 듯 석류꽃은 향기가 없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