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百花譜序 꽃에 미친 김군'

벽癖이 없는 사람은 버림받은 자이다. 벽이란 글자는 질병과 치우침으로 구성되어, '편벽된 병을 앓는다' 라는 의미가 된다. 벽이 편벽된 병을 의미하지만, 고독하게 새로운 것을 개척하고 전문적 기예를 익히는 자는 오직 벽을 가진 사람만이 가능하다.

김군은 늘 화원으로 달려가서 꽃을 주시한 채 하루 종일 눈 한번 꿈쩍하지 않는다. 꽃 아래에 자리를 마련하여 누운 채 꼼짝도 않고, 손님이 와도 말 한 마디 건네지 않는다. 그런 김군을 보고 미친 놈 아니면 멍청이라고 생각하여 손가락질하고 비웃는 자가 한둘이 아니다. 그러나 그를 비웃는 웃음소리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그 웃음소리는 공허한 메아리만 남긴 채 생기가 싹 가시게 되리라.

김군은 만물을 스승으로 삼고 있다. 김군의 기예는 천고千古의 누구와 비교해도 훌륭하다. 백화보百花譜를 그린 그는 '꽃의 역사'에 공헌한 공신의 하나로 기록될 것이며, '향기의 나라'에서 제사를 올리는 위인의 하나가 될 것이다. 벽의 공훈이 참으로 거짓이 아니다!

아아! 벌벌 떨고 게으름이나 피우면서 천하의 대사를 그르치는 위인들은 편벽된 병이 없음을 뻐기고 있다. 그런 자들이 이 그림을 본다면 깜짝 놀랄 것이다.

을사년(1785) 한여름에 초비당苕翡堂 주인이 글을 쓴다.

*박제가朴齊家의 글이다. 이 글에 나오는 김군은 조선시대에 살았던 김덕형金德亨이다.

*꽃을 보는이 마다 마음에 박제가의 글에 담긴 이 뜻이 다 통하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무엇이든 하나에 벽을 둘만큼 주목하게되면 그 안에서 얻어지는 이치가 분명하게 있음은 알고 있다. 수년간 꽃을 보며 얻은 깨달음이다.

하여, 나는 오늘도 꽃보러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개, 아침 햇살을 버티는 힘이 제법 쎄다.
지독한 안개로 더딘 아침을 맞이한다. 반도의 동남쪽은 무참히 쓸고간 '차바'의 뒷끝이 맵고 어지럽기만 하다.

나라에 어려운 일이 일어났을 때, 왕이 근신하는 뜻에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여 백성들에게 모범을 보인 것을 감선減膳이라 했다

지진에 이어 태풍까지 자연재해를 대하는 옛사람들의 마음가짐을 떠울려보는 아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녁강을 건너다.

때아닌 비와 바람으로 여린 사람의 가슴을 무참하도 헤집어 놓더니 너도 무안했던 것이리라. 
이리 붉은 속내를 비치는 것이ᆢ.

긴 하루 무사히 건너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인與人' 어떤 사람에게 보낸 편지

그러나 벗을 잃는다면 행여 내게 눈이 있다 하나 내가 보는 것을 뉘와 함께 볼 것이며, 행여 내게 귀가 있다 하나 내가 듣는 것을 뉘와 함께 들을 것이며, 행여 내게 입이 있다 하나 내가 맛보는 것을 뉘와 함께 맛볼 것이며, 행여 내게 코가 있다 하나 내가 맡은 향기를 뉘와 함께 맡을 것이며, 행여 내게 마음이 있다 하나 장차 나의 지혜와 깨달음을 뉘와 함께하겠나?


종자기가 세상을 뜨자 백아는 자신의 금을 끌어안고 장차 뉘를 향해 연주하며 뉘로 하여금 감상케 하겠나? 그러니 허리춤에 찼던 칼을 뽑아 단번에 다섯 줄을 끊어 버려 쨍 하는 소리가 날밖에. 그러고 나서 자르고, 냅다 치고, 박살내고, 깨부수고, 발로 밟아, 몽땅 아궁이에 쓸어 넣고선 불살라 버린 후에야 겨우 성에 찼다네. 그리고는 스스로 물었다네.


"속이 시원하냐?"
"그래, 시원하다."
"엉엉 울고 싶겠지?"
"그래, 엉엉 울고 싶다."
그러자 울음소리가 천지를 가득 메워 종소리와 경쇠 소리가 울리는 것 같고, 흐르는 눈물은 앞섶에 뚝뚝 떨어져 큰 구슬 같은데, 눈물을 드리운 채 눈을 들어 바라보면 빈산엔 사람 하나 없고 물은 흐르고 꽃은 절로 피어 있었다네.


내가 백아를 보고서 하는 말이냐구? 그럼, 보다마다!


*연암 박지원의 글 '여인與人'의 뒷부분이다. '벗 잃은 슬픔'을 이렇게 펼쳐놓았다. 먼저 간 아내보다 친구가 더 소중하다는 말 이후에 이어지는 문장으로 친구 없이는 나도 온전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의미가 담겼다. 친구의 소중함을 논하기엔 옛날과 지금을 비교할 수 없을 것이지만 이토록 애틋한 심사를 밝히는 것 역시 오늘날에는 접하기 쉬운 일은 분명 아니다.


연암의 문장 중 백미가 아닐까 싶다.

백아와 종자기의 고사에서 절현지비絶絃之悲라는 말이 유래했다. "자기를 진정으로 깊이 이해해 주는 사람을 얻는다는 것이 얼마나 지난한 일인가 하는 점, 또한 이 세상에서 자신과 정신적으로 소통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소중한가 하는 점, 그리하여 그러한 존재를 상실했을 때의 슬픔이 얼마나 큰가 하는 점을 상징적으로 말한다."


"내가 백아를 보고서 하는 말이냐구? 그럼, 보다마다!"

이런 마음을 갖는다는 것, 어찌 부럽지 않을 수가 있으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에 핀 꽃

물매화 보러 가는데 구름 가득한 하늘을 타박했더니 땅 위에 피는 꽃만 꽃이 아니라는듯 이렇게 붉어지나 보다.

꽃 보듯 하늘의 붉은마음과 눈맞춤한다.
그대도 놓치지 마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