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간송미술 36 : 회화 - 우리 문화와 역사를 담은 옛 그림의 아름다움
백인산 지음 / 컬처그라퍼 / 2014년 12월
평점 :
세상 밖으로 나온 간송미술관(회화)
우리 옛 그림에 관심을 갖고 책과 도판을 찾아가며 혼자 공부하는 동안 많은 저자를 접했다. 그림 읽어주는 저자들이 주목하는 기준에 따라 해설에는 차이가 존재하지만 그 속에 공통된 마음은 우리 문화와 역사에 대한 사랑이다. 이는 문화재는 홀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과도 맥을 같이 한다. 문화재를 비롯한 유물이 만들어졌던 것도 그 유물이 세월을 이겨내며 지금까지 존재할 수 있는 것도 사람의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여, 문화유물은 “우리들로 하여금 망각의 늪으로부터 기억을 소생시켜 우리가 누구인지 깨워주는 매개체”이기도하다.
그런 문화와 역사를 담고 있는 유물을 모으고 보관하며 연구하는 사람들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빛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박물관이나 연구기관이 중심이 되긴 하지만 개중에는 순수하게 개인의 노력으로 결실을 맺은 곳도 있다. 간송 전형필 선생님의 유지를 받들어 그 뜻을 잘 이어가고 있는 간송미술관이 그런 곳이다.
1938년 보화각으로 출발한 간송미술관에는 ‘훈민정음’, ‘청자상감운학문매병’, ‘혜원전신첩’ 등 국보 12점, 보물 10점을 비롯하여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추사 김정희 등 전통시대 서화 명가들의 걸작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소장된 유물들은 매년 두 차례 전시회를 통해 일반인들과 만날 수 있지만 작품을 직접 대할 수 있는 기회는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 아쉽다.
해마다 각종 언론에서 간송미술관 전시회 소식을 접할 때마다 아쉬움이 많다. 지방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 간송미술관의 전시회를 보러간다는 것은 그만큼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하여, 한번도 가보지 못한 사람의 애환이 있기 마련이다. 그 애환을 이렇게나마 달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에서 우선 반갑기만 하다.
‘간송미술 36 회화’는 바로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조선 회화 36점을 연구실장 백인선의 해설로 만난다. 신사임당, 이정, 조속, 김명국, 이명욱, 윤두서, 정선, 변상벽, 조영석, 심사정, 이광사, 강세황, 김후신, 김홍도, 김득신, 신윤복, 김정희, 조희룡, 장승업, 민영익 등 ‘조선시대의 문화와 예술,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이야기하기에 가장 적합한 36점의 옛 그림’을 통해 그림이 가지고 있는 문화와 역사를 알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그림을 해설하는 백인선 연구실장의 시각에 많은 공감을 가지게 된다. 그 중 추사 김정희에 대한 시각에 주목한다.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의 위상에 눌려 간과하거나 추종하는 경향성이 없지 않은데 저자 백인선은 추사의 사상적 경향성의 한계를 지적하며 균형잡힌 시각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새롭게 대두되던 북학이라는 흐름에서 조선의 정체성을 찾기에는 부족했다는 점이 그것이다.
백인선 연구실장은 “먼저 그림과 일대일로 만나 각자 느끼고 충분히 감상한 후에, 그림을 더 알고 싶은 생각이 들었을 이 책을 읽어 달라”고 말한다. 독자가 그림과 가까워져서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을 때, 왜곡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생기는 오해와 선입견을 막고 바른 길로 안내해 주기 위한 지침서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다소 학문적 용어와 딱딱한 해설로 그림과 동질감을 느끼는 하는 것 보다는 바라보는 그림으로 대상화하는 경향성이 있어 보이기도 한다.
한 시대의 예술 작품은 그 사회의 역량과 수준을 보여 주는 가장 정확한 지표가 된다. 예술 작품 자체의 아름다움은 물론 거기에 담겨 있는 문화와 역사를 담고 있기에 이를 소중히 대하는 마음은 민족의 삶과 정신을 지켜나갈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