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카인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제 사라마구가 지상에 남긴 최후의 노래, '카인'. 신약을 인간학적 차원에서 재해석했던 '예수복음'에 이어 다시 한 번 똑같은 입장에서 구약을 재해석 한 것이 바로 '카인'이다. 이 소설의 목적은 '예수복음'이 그랬듯, 구약을 지배하는 신성의 기운을 말끔히 지우고 아주 인간적인 입장에서 독재적이고 무자비한 여호와에게 항변하는 데 있다. 다시 말해, 인간에 대한 변호랄까. 그 변호인이 되는 것이 바로 '카인'이다. 그렇다고 소설에 카인의 이야기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아담과 하와, 카인과 아벨 그리고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친 제사, 또한 바벨탑과 욥기 거기에 노아의 방주까지, 구약에서 유명한 이야기는 다 나온다. 그런데도 왜 '카인'인 것일까? 의문이 당연히 든다. 이유는 간단하다. 카인이 최초의 선악과 사건만 빼고 모든 사건에 다 등장하기 때문이다. 오로지 카인만 그렇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은 구약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것이 아니라 자의적으로 비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제 사라마구는 왜 카인을 그 모든 사건에 다 참여시켰던 것일까? 이유는 카인이 바로 인류 최초의 살인자라는 점에 있다. 다시 말해 그가 하나님의 명령을 최초로 거역한 남자이기 때문이다. 남자라는 것이 중요하다. 사라마구가 카인에게 인간의 변호인 역할을 맡긴 것은 하나님의 명령을 스스로의 의지로 거역한 자였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질서에서 자발적으로 탈주했기에 그에 항변하여 인간의 입장을 변호할 자격이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면 그보다 먼저 하나님이 금지한 선악과를 먹어 거역한 아담은 왜 자격이 안되는 것일까? 무엇보다 자발적이 아니라서 그렇다. 아담의 행위는 어디까지나 하와에 의해 촉발된 것이었다. 진정한 자발적 거역자는 하와였다. 사라마구는 그것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독자가 여기에 또 한 번 더 가질 수 있는 의문, '촉발이라고 한다면 뱀이 먼저가 아니냐?'에 대한 대답과도 같이 이런 장면을 삽입하는 것이다.


 여호와는 여자를 돌아보며 물었다. 네가 어찌하여 이렇게 하였느냐. 뱀이 나를 꾀므로 내가 먹었습니다. 거짓말쟁이, 사기꾼. 낙원에는 뱀이 없다. 주여, 낙원에 뱀이 있다고 말하지는 않았습니다. 꿈을 꾸었는데 거기에서 뱀이 나타나 말하는 거예요.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에 있는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그래서 나는 말했죠. 아니, 그렇지 않아. 오직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만 먹을 수 없어. 그걸 만지면 우리는 죽으니까. 뱀은 말을 하지 못한다. 기껏해야 쉭쉭 하는 소리나 낼 뿐이지. 여호와가 말했다. 내 꿈속의 뱀은 말을 했어요.(p. 18~19)


 이렇게 사라마구는 여자의 거역이 뱀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자발적 의지에서 나왔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하와의 모습 혹은 위치가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여성의 자리는 소설 전체에 걸쳐 반복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노아의 며느리처럼 가부장제에 완전히 포섭된 여성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여성들이 남성적 질서의 바깥에 독립적으로 자리해서는 남성과 대등 혹은 더 우월한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하와가 그렇고 나중에 카인이 만나는 릴리스도 그러하다. 그런데 구약을 읽었던 사람들은 이 릴리스란 이름에 좀 의아함을 느꼈을 것이다. 구약을 잘 아는 것은 아니지만 릴리스란 이름이 적어도 소설이 담고 있는 이야기엔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릴리스란 이름이 참 재밌는 것이 원래 아담의 첫 아내로 알려진 여자의 이름이다. 창세기 1장과 2장을 잘 읽어보면 모순된 점이 보인다. 1장엔 남자와 여자가 동시에 창조되었다고 하면서 2장에선 여자가 아담 이후에 창조되었다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런 모순 때문에 옛 신학자들은 아담과 동시에 창조된 여자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그런 그녀의 이름을 릴리스라 지었다. 그들이 그 이름을 사용한 것은 그 이름이 당시 전승된 많은 서양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여 남자를 유혹하여 파괴하는, 지금으로 말하면 팜므파탈의 대명사와 같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하와와 릴리스는 여호와와 대척점에 놓인 존재인 것이다. 한 마디로 여호와가 대변하는 남성 질서를 전복시키려는 존재들 말이다. 일부러 전복이란 단어를  쓴 것은 릴리스의 행위 때문이다. 그녀가 하나님을 거역했던 것은 아담과의 잠자리 위치 때문이었다. 릴리스는 똑같이 흙으로 만들어졌는데 계속 아담의 아래에서 성행위를 하는 것에 대해 항변했고 그로 인해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컬어 인류 최초의 저항자가 되었다. 육체 상하의 자리바꿈이니 문자 그대로 전복인 것이다.


사라마구도 이 이야기를 잘 알고 있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릴리스는 카인이 살인 후 최초로 가게 되는 도시에서 여왕으로 군림하여 그녀의 거처엔 남편조차 그녀의 허락을 얻고서야 들어올 수 있는 것으로 그리기 때문이다. 남성 질서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공간에서 그녀는 향락을 마음껏 누리면서 자신의 우월적 위치를 마음껏 과시한다. 릴리스의 전복을 그대로 구현해 놓은 것과 같다. 한 마디로 릴리스의 거처는 절대적인 여성 해방의 공간에 다름 아니다. 원래 구약에서는 카인이 누군가 자신을 위해할 것을 두려워하여 사방에 벽을 쌓아 성을 만들었다고 되어 있다. 말하자면 카인은 인류 최초의 도시 건설자였던 셈이다. 도시는 인간 문명의 대표적 산물이다. 에덴 동산이 온전한 신의 공간이라면 도시는 온전한 인간의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신과 카인이 대척점이듯, 에덴 동산과 도시는 정반대에 자리한다. 도시가 이런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소돔과 고모라, 바벨탑에서 더욱 뚜렷해진다. 모두 여호와에게 파괴당한다는 점에서도 이 같은 특성을 거꾸로 강조하고 있다. '살인한 남자'로 하나님의 명령을 자발적으로 거역한 인류 최초의 존재인 카인이 만든 도시를 릴리스가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 카인이 릴리스가 대표하는 질서에 속해있으며(다시 말해 그들을 하나로 묶고 있으며) 하와가 했고 릴리스도 했던 독립된 주체를 갈망하는 인간주의적 항변에 참여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더구나 그 릴리스의 공간에서 카인은 기꺼이 스스로를 종속된 존재로 자처하여 여호와에게서 더욱 멀어진다. 여호와는 남자를 지배자의 위치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카인이 남자라는 게 중요해진다. 그는 여성 아래로 들어가는 것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최초의 남자이기 때문이다. 그는 그것으로 여호와의 질서를 전복하며 '여성화된 남자'가 되어 여호와 질서의 구멍을 만든다. 이후의 이야기는 이런 이야기다. 곳곳에서 카인은 균열을 일으키고 결국엔 여호와 질서 자체를 자신의 구멍 안으로 삼켜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쓴 바와 같이 난 '카인'을 페미니즘 소설로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여기엔 정치적 의미도 투영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소설 속 여호와는 아무리 봐도 독재자로 보이는 까닭이다.

 이 때, 생각나는 소설은 사라마구의 '눈 뜬 자들의 도시'이다.


 '눈 뜬 자들의 도시'는 다시 창궐하는 우익을 우려의 시선으로 보는 소설로 지금과 같은 우리나라 상황에선 더욱 실감나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 사라마구는 도대체 어떻게 해서 이성으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우익이 다시금 창궐하게 되는지 납득하지 못한다. 그 난감을 소설로 표현한 것이 바로 '눈 뜬 자들의 도시'이다. 내 생각에 '죽음의 중지'나 '예수 복음' 그리고 '카인'과 같은 일련의 성경 재해석은 바로 이 난감을 가져온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 밝혀가는 과정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혼돈을 먼저 겪은 그가 우리를 위해서 마련한 안내서라고도 볼 수 있다. 여기엔 공통적으로 다가오는 하나의 태도가 있다. 그것을 집약한 존재가 바로 카인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카인'은 '눈 뜬 자들의 도시' 이후 그가 찾아온 길의 모범 답안과도 같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사라마구, 그는 마지막을 멋지게 마무리한 셈이다. 카인의 태도에 대해선 앞에서 내내 얘기했으니 여기서 다시 부언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저 한 번 직접 읽어보시라는 한 마디로 족할 것 같다. 그러면 명확하게 아시게 될 것이니까. 그리고 이런 시대에 왜 사라마구가 카인과 같은 태도가 필요하다고 천명했는 지도.


 소설은 사라마구의 마지막 노래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너무나 아쉽게도 짧다. 읽기엔 별 부담이 없다. 거기다 너무 재밌다. 아마도 순식간에 마지막 페이지를 만나게 되지 않을까 싶다. 오랜 시간 사라마구의 소설을 읽어 온 한 사람으로서 기꺼이 추천드리고 싶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