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쿠 상어 - 사메지마 형사 시리즈 01 뫼비우스 서재
오사와 아리마사 지음, 김성기 옮김 / 노블마인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오사와 아리마사의 ‘신주쿠 상어’를 읽었다.

사실은 두 번째 읽는 것이다. 처음 읽었던 것은 꽤 오래전인데, 그 때는 제목이 ‘소돔의 성자’로
나온 판본이었다. 지금은 벌써 절판되었지만...
그 때 읽었을 때도 워낙 재미가 있어서 단숨에 읽었던 것 같다.
특히나 기억에 남는 것은 총기류에 관한 자세한 서술.
이 책을 통해 산탄총 같은 것을 한 번 꺾었다 펴서 재장전하는 것을 ‘볼트액션’이라 한다는 것도 알았다. 

그 뒤로 잊고 있었는데, 훨씬 나중에 주간문춘에서 20세기 일본 최고의 미스터리 베스트 30을 선정하였다. 그런데 바로 이 작품과 바로 뒤이어 이어지는 제2작인 ‘독원숭이’가 그것도 나란히 13위와 14위에 랭크(독원숭이가 13위 소돔의 성자가 14위)되어 있는 걸 보고 ‘호오, 이게 그정도로 굉장한 작품이었나.’하고 놀랬더랬다.
벌써 오래전에 읽은지라 기억은 가물가물하고 그래서 정말 제대로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책은 이미 절판된지 오래. 구하기도 어려워 재회는 포기하고 있었는데,
고맙게도 ‘노블마인’에서 다시 발간해 주었다.

이번에도 역시나 거의 ‘들이키는’ 수준으로 책을 읽어버렸다.

그만큼, 이 책은 정말 재미가 있다.
대중성이라는 잣대를 ‘재미’로 놓고만 본다면 아마도 ‘high level’에 속하지 않을까 싶다.
‘신주쿠 상어’는 장르로서는 레이먼드 챈들러 식의 ‘사립탐정’물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주인공 사에지마는 형사지만, 파트너도 없이 상관의 명령도 없이, 완전히 독고다이로 수사하는데 이건 ‘사립탐정’과 별로 다를 바 없지 않은가!
근데, 이 사에지마는 그보다 더 독특한 캐릭터라 할 수 있다.
‘춤추는 대수사선’을 보면 일본 경찰에게 있어 캐리어와 논캐리어의 차이가 얼마나 커다란지 잘 알 수 있다. 사에지마는 캐리어이다. 직책도 간부인 ‘경감’.
하지만 과거의 어떤 일로 인해 그는 영락했고 지금 그의 존재는 일선 형사와 별로 다를 게 없다.(캐리어 출신이 과연 이럴수도 있나 싶을 정도로.)
부릴 수 있는 부하가 없는 것도 모자라서 아예 그가 있는 방범과에서는 ‘왕따’나 마찬가지다. 
 

   
            -  BGM : STAY HERE! PERFORMANCE BY WHO’S HONEY -

                                       -  VOCAL : SHAW  -

                                     
캐리어이자 형사임에도 불구하고, 사립탐정이 오로지 홀로 맞부딪혀야 하는 것처럼 그도 그렇다.
그렇게 그가 홀로 부딪혀야 하는 것은 바로 그가 맡은 구역 ‘신주쿠’다.
이 '신주쿠'가 어떠한 곳인가는 이 소설의 원제인 ‘소돔의 성자’라는 것에도 잘 나타나 있다.
제목의 ‘소돔’이 바로 이 신주쿠인 것이다.
‘신주쿠 상어’의 가장 큰 장점은 아주 리얼한 묘사에 있다고 보여진다.
소설 속에서 신주쿠가 어찌나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는지 마치 손에 잡힐 듯 하다.
그 생생한 현장감으로 우리가 목도하게 되는 신주쿠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그건 소설 속, 주인공의 애인인 쇼의 노래 가사와 같다고 보여진다.

   Get Away, 다들 말하지 얼른 떠나는게 좋다고

   여기는 거리의 밑바닥 밤마다 밤마다 울부짓는 소리 

   Get Away, 다들 말하지. 얼른 떠나는 게 좋다고

   여기는 거리의 밑바닥 오늘도 내일도 비탄에 잠겨드네. (P.49)


소설이 시작되는 남자들간의 동성애가 주로 이루어지는 ‘사우나’는
바로 이러한 소돔으로서의 신주쿠가 가지는 특성에 있어 일종의 상징적인 공간이라 할 만하다.
아리마사는 절묘하게도 바로 여기에 뒤이어 사에지마가 어떻게 해서 캐리어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오늘과 같은 존재가 되었는지 보여주는데, 이는 사우나와 경찰 조직 모두가 오로지 남자들만으로 이루어진 세계라는 공통점에서 볼 때, 이건 두 세계 모두, 누군가를 약자로 찍어 가차없이 폭력을 가하는 것은 똑같다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마치 이것을 강조하기라도 하듯, 초반 사우나에서 폭력을 휘둘렀던 이는 결국 경찰로 밝혀진다. 

이렇게 아리마사는, 동성애가 이루어지는 '사우나'라는 질서 밖의 세계와 '경찰'이라는 질서를 부여하고 유지하는 세계가 결국은 똑같은 모습이며 이 두 개의 세계가 어우러져 형성하는 '신주쿠'라는 공간 역시 폭력과 약자를 린치하는 짐승들의 '소돔'이라는 것을 설득력있게 형상화한다. 

따라서 홀로 정의를 관철하는 우리의 사에지마가 왜 그가 속한 경찰 조직에서조차 왜 홀로가 될 수 밖에 없는지 잘 알게 된다.  

죄악으로 소돔이 되어버린 신주쿠나 그것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고 질서를 부여해야할 경찰이나
아리마사에겐 모두 똑 같은 죄악에 물들어버린 존재이니, 어떻게 경찰이 신주쿠의 폭력으로 부터 시민들을 보호한단 말인가? 따라서 아리마사는 사에지마를 철저히 버려지고 홀로인 존재로 만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이 소설의 기묘한 점이 있다. 그건 시점이 둘로 분산된다는 것이다.               
하나는 사에지마를 중심으로 하지만 다른 하나의 시점이 또 존재한다. 그건 형사를 동경하는 일종의 오타쿠 같은 자의 시선이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사건에는 참여하지 않고 늘 '폴리스 라인'의 바깥에서 관찰만하고 사에지마가 보여주는 행동들을 모방하면서 그 흉내를 통해 대리만족을 느낄 뿐이다. 이 모든 것은 혹 작가의 자전적 경험이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꽤 세밀하게 묘사되고 있는데, 왜 하필 이 시점을 소설 속에 등장시켰는지 지금까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어쩌면 이 시선은 지금 이 소설을 읽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희화한 것은 아닐까?   
‘폴리스라인’이 의미하는 것처럼 그렇게 독자가 체험하는 간접 경험과 실제의 현실은
얼마나 괴리가 있는 것일까를 보여주기 위한... 
아니면 본격추리물에 흔히 등장하곤 하는 안락탐정식의 수사물을 엿먹이기 위해서였을까? 

아무튼 잘 알 수가 없다. 그렇다고 두 개로 분산된 시점의 모호성이 주제까지 모호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소설 '신주쿠 상어'의 주제는 그런 것에는 꿈쩍도 안 할 정도로 너무나 명확하다. 그리고 그건 바로 '쇼'가 속해있는 밴드 '후즈허니'의 노래 제목에 아주 잘 나타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TAY HERE!’  

한 마디로, 포기하지 말고, 떠나려 하지 말고, 있는 그 자리에서 맞써서 싸우라는 것!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 'Stay Here' 마지막 가사가 소설이 끝날 때까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미완으로 남겨진 '말줄임표'는 혹 작가 아리마사가 그래도 이 세상에 어떤 희망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결론을 유보하고 있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른다. 과연 그가 정말 어떻게 세상을 보고 있는지는 아마도 후속편, '독원숭이'에 나타나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이유로, '독원숭이'가 너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