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나를 키우는 도덕경 :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 옛글의 향기 4
노자 지음, 최상용 옮김 / 일상과이상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은 쓸쓸히 밤하늘을 거닐지만, 온 천지의 강에  떠오른다. 고전은 달과 같다. 한권의 고전이 온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비추기 때문이다. 수많은 고전중에서 '도덕경'은 읽는 사람의 마음밭에 따라서 달리 읽힌다. 읽는 사람이 어떠한 목적으로 어떠한 마음으로 읽는가에 따라서 너무도 달리 읽힌다. 주역을 토대로 유학자의 마음으로 왕필이 '도덕경'을 주석했다. 그 반대편에 제왕의 관점에서 하상공이 '도덕경'을 주석했다. 같은 책이지만, 왕필과 하상공의 마음에 비친 '도덕경'이라는 달은 너무도 달랐다. 필요하다면, 원문의 뜻을 반대로 주석하는 것도 불사할 정도로 너무도 다른 해석을 적어 놓았다. '노자도덕경주'에 이어서, 하상공주를 토대로 엮은 '내안의 나를 키우는 도덕경'을 읽기 시작했다. 왕필이 주석한 '도덕경'과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1. 우리 주변을 비추다.

  배운다와 가르친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노자의 대답을 들어보자.

 

  "위학일익 위도일손(爲學日益, 爲道日損 )-학문의 길은 날마다 쌓아가는 것이고, 도의 길은 날마다 덜어내는 겁니다. "

 

  교사가 되기 전에 날마다 나의 지식을 쌓아갔다. 지금 생각해보면, 얇팍한 지식들을 쌓아갔다 생각하지만, 그 때는 내가 세상의 모든 지식을 섭렵했다는 자신감(?)에 휩싸여있었다. 그리고 교사가 되고 나서는 한편으로는 새로운 지식을 쌓아가는 듯하지만, 학생과 생활하면서 하나씩 하나씩 나를 비워가는 생활을 했다. 초임 교사 시기에는 나를 비워가는 일이 어려웠다. 세상의 모든 지식을 알기 위해서 나를 더 채우려했다. 학생 상담에 필요한 얇팍한  지식으로 복잡한 그들만의 세상과 만난는 일은 너무도 무모했다. 교육학 서적 몇권과 심리학 서적 몇권으로 학생들의 복잡한 세계를 모두 알수 없다. 나를 비워야했다.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내려 놓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새롭게 학생들의 이야기에 채워야 그들의 세계가 나의 눈에 들온다. 교사가 되기 위한 길이 지식을 쌓아가는 일이라면, 교사의 길을 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지식을 내려 놓아야한다. 노자는 삶을 살아가는 진정한 길을 제시하고 있었다.

  교장과 교사는 같은 존재일까? 관리자들 중에는 자신을 교사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꾀 있다. 특히 장학사를 거쳐서 교장으로 발령받은 경우, 자신을 교사라고 생각하지 않는 교장이 많다. 교사를 감시와 처벌의 대상으로 생각한다. 그들의 머릿속에는 학부모에게 어떻게 잘 보일 것인지만을 생각한다. "교사가 힘들면, 학생이 행복하다."라는 말도 스스럼 없이 하는 관리자들도 있다. 불행한 교사가 학생들을 기쁜 마음으로 대할 수 있을까? 불행한 부모 밑에서 아이들이 밝게 웃기 힘든 것 처럼, 행복하지 않은 교사와 대면하는 학생들은 기쁨이 넘쳐날 수 없다. 노자의 말을 들어보자.

 

  "부유대 고사불초 약초구의 기세야부(夫唯大, 故似不肖, 若肖久矣, 其細也夫)- 오직 위대하기 때문에 모자란 듯 보이는 겁니다. 만약 똑똑하였다면 세세하게 살피는 정치를 행한 지 오래되었을 겁니다. 그러한 사람은 소인배와 같은겁니다."

 

  탁월한 관리자일수록 자신을 내려 놓고 교사와 학생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똑똑한 관리자일 수록 자신의 교육관을 교사와 학생에 강요한다. 그리고 세세한 부분까지 관여하며 교사를 가르치려한다. 이00교장과 나00교감의 경우가 그러했다. 똑똑한 장학사 출신의 교장과 교감이었기에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하려 교사의 의견을 들었으나, 결론은 자신의 주장으로 끝을 맺었다. 무늬만 '민주적인 의사결정'이었을 뿐이다. 세세한 그의 '가르침'은 학생을 지도하는 일부터, 교사가 사용하는 학습지까지 세세하게 지적했다. 똑똑한 관리자에 대한 불만은 높아 갔다. 연구학교 지정을 받기 위해서 교사 투표를 했으나, 많은 교사들이 반대표를 던졌다. 똑똑한 관리자에 대한 교사의 소심한 반항이었다. 독일 군대의 속담에 "유능하며 부지런한 자는 참모로 적당하다. 유능하고 게으른 자는 탁월한 지위관이 될 것이다. 무능하고 게으른자는 조직에 쓸모없는 사람이다. 무능하고 부지런한자는 조직에 해가되는 사람이니, 반드시 제거해야한다."라는 말이 있다. 유능하고 부지런한 장학사 출신의 관리자들은 교장, 교감에 부적당하다. 그들은 교장과 교감의 참모로 적당할 뿐이다. 교장이 되기 위해서 승진점수를 얻고, 승진점수를 얻기 위해서 장학사 시험을 본는 지금의 인사시스템은 교사와 학생을 행복하게 학교를 만들어가는 관리자를 만들 수 없다. 학부모의 눈치만 보면서, 타학교 보다 더 많이 학생을 압박하여 '강제' 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을 시키고 교사를 감시와 처벌의 눈으로 보게만든다. 똑똑한 관리자가 아닌 탁월한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을 비워 마치 모자란듯 보여야한다. 그래야 교사와 학생의 말에 귀기울일 수 있다.

  학교에서 우리 주변으로 눈을 돌려보자. 유명회사의 양00회장이 부인에게 마약류를 권하고, 직원들에게 구타를하고 이를 촬영했다. 우월한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 힘없는 여성과 직원들에게 갑질을 한 것이다. 연일 터져나오는 갑질 뉴스에 몸서리를 친다. 노자라면 갑질을 해대는 사회지도층분들에게 어떠한 말을 해주었을까?

 

  "故貴以賤爲本 高必以下爲基 是以侯王 自爲孤寡不穀(고귀이천위본 고필이하위기 시이후뫙 자위고과불곡)-그러므로 귀한 것은 반드시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고, 높은 것은 반드시 낮은 것을 기초로 합니다. 이 때문에 제후나 왕은 스스로를 '고아 같은 사람'이나 '부족한 사람', '보잘것없는 사람'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주춧돌이 없이 어찌 기둥이 홀로 설수 있을까? 꼴찌가 없이 어찌 일등이 있을 수 있겠는가? 자신이 앞서가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뒤에 있어야한다는 평범한 이치를 사회지도층 인사들은 모르고 있다.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고, 높은 것은 반드시 낮은 것을 기초로한다는 사실을 알기에 왕이 자신을 '과인' 즉, 부족한 사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사회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갑질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그들은 노자의 말에 귀기울여야한다.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2. 정치를 비추다.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미국은 계속해서 세계의 경찰일 수는 없다”면서 “모든 부담을 미국이 져야 하는 상황은 부당하다"라고 말했다. 그뿐만 아니라, 멕시코와 미국 사이에 장벽을 쌓아서 불법이민을 막겠다며, 이를 반대하는 민주당과 각을 세웠다. 결국 셨다운 상태에 돌입했다. 세계 초강대국 미국의 대통령이라 할 수 없는 말과 행동이다. 초강대국은 어떠한 모습이어야할까? 노자에게서 힌트를 얻어보자.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대국자하류 천하지교)-큰 나라는 강의 하류와 같어서, 천하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대국은 큰 강처럼 자신을 낮춰 세상의 모든 물을 줄기를 받아들여야한다. 그리고 더 큰 바다로 나아가야한다. 천하의 많은 사람들을 받아들여 미국이라는 나라가 존재할 수 있었다. 이제 트럼프는 미국이 큰강도, 큰바다도 아니라며 폐쇄적인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미국의 역사를 거스르는 일이자, 대국의 길을 스스로 포기하는 길이다. 중국 당나라를 보라, 유럽의 로마제국을 보라, 서아시아의 오스만제국을 보라!! 제국은 천하의 '하류'였다. 자신을 낮추어 모든 문화와 사람들을 받아들였다. 그들 중에서 능력이 탁월한자를 관직에 임명하며 제국의 힘을 키웠다. 문화의 용광로이며 인종의 전시장이었다. 대국이 어떠해야하는지를 노자는 2천년 전에 말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 초강대국 미국과 중국은 노자의 말에 귀기울이지 않고 있다.

  어느 정치인이나 꿈꾸는 것은 '대통령'이라는 자리이다. 그리고 그 자리에 올랐다면, 역사에 자신의 업적을 남기고 싶어한다. 때로는 그 업적을 마김과 동시에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도 도구로도 활용된다. 과거 이명박정권에서 4대강 사업을 했다. 20조가 넘는 예산이 들어갔고, 4대강은 큰빗이끼벌래가 활개를 치고, 녹조라떼의 녹색물결로 뒤덮혔다. 노자라면 우리에게 어떤말을 해줄까?

 

  "將欲取天下而爲之 , 吾見其不得已 (장욕취천하 이위지 , 오견기부득이)-장차 온 세상을 휘어 잡고자 하는 사람은 무언가를 꾸미는데, 내가 보건대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겁니다."

  "是以聖人去甚, 去奢, 去泰 (시이성인거심 거치 거태)-이 때문에 성인은 지나치게 극심한 것을 버리고, 사치스러움도 버리며, 과분한 것 역시 버립니다.)"

 

  무언가를 함으로써 자신의 업적을 남기고, 자신 주변 사람들에게 떡고물을 줄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일들이 부질없는 일이며, 심하면 나라를 망하게 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은 극심한 사치도 버리고, 과분한 것 역시 버린다. 욕심에 눈이 어두워 나랏살림을 망치는 정치인들과 그러한 정치인을 선출하고 지지하는 국민에게 노자는 따끔한 말을 하고 있다. 정치인과 국민에게 필요한 것은 채우는 것이 아니라, 비우는 마음이다.

 

3. 니체와 공자를 비추다.

  고수들은 서로 통한다. 비슷한 주제를 달리 말하기도하고, 같은 의미의 말을 놀랍도록 일치하기도한다. 노자의 말은 니체와 공자의 말을 통해서 다시 한번 음미해보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정신의 3단계 변신을 이야기했다. 낙타가 사자로, 사자가 아이로 변화해 가면서, 정신의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된다. 낙타가 중세의 짐을 지고, 굴종적인 노예의 삶을 사는 존재라면, 사자는 자신을 짓누르는 짐을 벗어던지고 당당히 자신의지를 밝히는 존재이다. 그에 반해서 아이는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이다. 힘이 약하면서도 힘이 강한 부모를 마음대로 다루는 존재가 바로 아이이다. 놀랍게도 노자도 아이의 이러한 힘을 알고 있었다.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지기웅 수기자 위천하곡 상덕불리 복귀어영아)-남성스러움을 알면서 여성스러움을 지킬 수 있다면 천하의 계곡이 될 수 있습니다.천하의 계곡이 되면 항상 덕이 떠나지 않습니다. 다시 갓난아이의 마음으로 되돌아갑니다."

 

  남성스러움을 알면서도 여성의 부드러움을 지킬 수 있다면, 계곡처럼 모든 물줄기를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주변사람들의 마음을 얻게 된다. 마치 갓난아기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웃음으로 부모를 기쁘게하고, 아기가 아플때는 부모의 마음을 아프게한다. 니체보다 앞서 노자는 2천여년전, 아기의 가능성을 주목했다. 고수끼리는 통하나 보다.

  공자의 말과 노자의 말을 비교해보자. 우선, 공자와 노자 모두 말잘하는 사람을 싫어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선, 그들의 말을 들어보자.

 

  "信言 不美 美言 不信 善者 不辯, 辯者 不善,(신언 불미 미언 불신 선자 불변 변자 불선)-믿음직스러운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믿음직스럽지 못합니다. 선한 사람은 말을 잘하지 않고, 말을 잘하는 사람은 선하지 못합니다."-노자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자왈 교언영색 선의인)-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말잘하고 표정을 잘꾸미는 사람치고 어진사람이 드물다.-공자

 

  중국철학을 대표하는 공자와 노자 모두 말잘하는 사람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다. 아름다운 말은 믿음직 서럽지 못하며, 말잘하는 사람은 선하지 못하다고 한 노자! 말잘하고 얼굴표정을 잘 꾸미는 사람치고 어진 사람 드물다는 공자! 말보다는 진실된 행동을 중시하는 선현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서양 사람들은 논리적으로 자신의 말을 잘 표현하는 것을 중시한다. 아고라 광장에서 토론을 통해서 발전한 민주주의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서양의 역사를 본다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은 상당히 긍정적인 면이 있다. 반면 동양인들이 말잘하는 사람을 싫어하다보니, 활기찬 토론과 의견교환이 동양에서는 이뤄지기 힘들지 않았을까? 물론 활기찬 토론이 없었다는 말은 아니다. 같은 계층안에서는 토론이 이뤄졌겠지만, 윗사람과 아랫사람, 어른과 아이 사싱의 토론은 찾아보기 힘들다. 굴곡진 현대사에서는 "말잘하면 빨갱이!"라는 말이 유행했지 않는가! 이제는 말잘하는 사람이 우대받는 사회가 되어야하지 않을까? 폭력보다는 말로서 상대를 설득하는 그러한 사회를 꿈꿔본다.

  공자와 노자는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면, 어찌 대답했을까? 놀랍게도 공자와 노자의 입장은 일치한다.

 

  "知不知上 不知知病(지부지상 부지지병)-알면서도 알지 못하는 것처럼 하는 게 최상의 덕이고, 알지 못하면서도 아는 체하는 게 병폐입니다."-노자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알이다."-공자

 

  공자와 노자 모두, 모르는 것을 아는체하는 것을 커다란 병폐로 여겼다. 또한 자신의 무지를 아는것을 참다운 앎이라 여겼다. 노자는 여기서 더 나아가서 알면서도 모르는 것 처럼하라고 말하기 까지 했다. 이러한 공자와 노자의 말은 소크라테스에게서도 발견된다. 델포이 신전에 적혀있는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도, 너의 무지를 알라는 말이다. 동양을 넘어서 서양의 현자도 자신의 무지를 아는 것이 참다운 앎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유발하라리의 '사피엔스'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하라리는 과학혁명을 설명하면서, 중세 시기에는 세상의 모든 현상들을 '신의 뜻'으로 설명했다. 그들은 자신의 무지를 몰랐다. 반면에 근대에 들어서서 자신의 무지를 깨달은 유럽인들은 진리를 알고 싶어서 실험과 관찰을 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과학혁명이 일어났다. 그 과학혁명의 힘으로 서양이 동양을 침략해온다. 동서양의 현자, 현대의 현자들은 모두 말한다. 너 자신의 무지를 아는 것! 그것이 참다운 앎의 시작이라고.....

  충신과 참다운 친구는 언제 나타날까? 공자와 노자가 비슷한 말을 했다.

 

  "六親不和,有孝慈;國家昏亂,有忠臣(육친불화 유효자 국가혼란 유충신)-가족 관계가 조화롭지 못하자, 효도와 자애로움이 있게 되었고,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충성스러운 신하가 생겨났습니다."-노자.

  " 歲寒然後知 松柏之後凋(세한연후지 송백지 후조)-추운 겨울이 와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게 된다."-공자

 

  임진왜란이 닥쳐야 이순신과 같은 충신 영웅이 등장한다. 눈내린 추운 겨울이 되어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게 된다. 불행이 닥쳐야 옥석을 가릴 수 있다는 사실을 노자와 공자는 말하고 있다. 내가 행복하고 돈과 권력이 있다면, 나의 주변에는 친구들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나에게 불행이 닥쳤을 때, 그들이 얼마나 함께할까? 정승집 개가 죽으면 사람들의 문상이 줄을 잇지만, 정승이 죽으면 찾아오는 사람이 적은 것이 세상사이다. 진정 사람을 바라보는 참돈눈이 있다면, 불행이 닥쳤을때, 나의 곁에서 함께할 수 있는 사람을 알아볼 것이다. 그러한 눈을 갖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참다운 사람이 되어야할 것이다.

 

4. 왕필과 하상공을 비추다.

  왕필과 하상공은 '도덕경'에 주석을 달았다. 같은 책에 주석을 달았으나, 서로의 원문이 다른 경우도 있으며, 같은 문장을 달리해석한 경우도 많다. 심지어는 글자의 뜻을 정반대로 설명한 경우도 있다. 그것을 모두 여기에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중 몇가지만 소개해 본다.

 

  "不自見故明(불자현(견) 고명)"

 

  이 문장의 '見'을 현으로 읽어야할까? 견으로 읽어야할까? '현'으로 읽느냐 '견'으로 읽느냐에 따라서 해석에 차이가 생긴다. 왕필은 '현'으로 본 반면에 하상공은 '견'으로 보았다. '현'으로 읽을 경우, '스스로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에 지혜가 밝게 드러나고'라고 해석된다. 반면에 '견'으로 읽을 경우, '성인은 자신의 눈으로 보지 않기에 밝게 알고'로 해석된다. '드러낸다'와 '본다'의 해석상의 뉘앙스는 약간다른다. '현'으로 읽을 경우, 성인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신하들로 하여금 악역을 맡도록하는 고난도의 통치술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견'으로 읽을 경우, 자신이 직접 세세하게 살피지 않더라도 각종 첩보기관을 이용해서 세상의 정보를 얻고 통치한다는 의미로해석된다. '도덕경'을 제왕들에게 통치의 방법을 알려준 책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노자 통치술의 무서움이 서려있는 문장이다.

  같은 문장의 해석을 달리한 경우를 살펴보자.

 

  "民不畏威, 則大威至.(민불외위 즉대위지)"

 

  위의 문장을 하상공은 '백성들이 해로운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큰 해로운 것이 이르게'된다고 해석했다. 반면 왕실은 '백성이 위엄을 두려워 하지 않으면 큰 위엄이 이르니'로 해석했다. 왕필의 경우 '위'를 해롭다로 해석했다. 백성들이 작은 해로움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보다 큰 해로움 즉, 죽음에 이른다는 문장으로 해석한 반면에, 왕필은 군주가 겸손한 자세로 물러나는 것을 버리고서 자신의 위엄과 권력에 의탁하면 만물이 어지러워지고 백성들이 감시와 법망을 피하려하기에 위엄으로 백성을 통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위'를 해로움으로 볼 것인가? 위엄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서 문장의 해석이 달라진다. 이러한 차이는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렇다면, 이렇게 왕필과 하상공을 비롯해서 수많은 주석서들의 숲속에서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어찌해야할까? 나는 '고전은 자신과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다.'라는 나의 명제로 되돌아 간다. 고전이라는 거울은 자신을 비추고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다. 수많은 주석서들은 그들이 살았던 시대와 주석가들의 고민을 토대로 고전을 재해석한 결과물이다. 그들의 모습이 한결같이 않다고 그들을 탓할 수 없다. '도덕경'은 질문에 따라서, 질문자에 따라서, 사회에 따라서 대답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도덕경'의 참다운 가치이다.

  하상공은  한자의 의미를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하기도 했다. "貴大患若身(귀대환약신)-'큰 환란이 내 몸에 이르러도 귀하게 여기며 두려워해야합니다"의 '貴(귀)'를 '귀하다'라는 본뜻과 반대로 '畏(외)' 즉, 두렵다로 주석을 달아 놓았다. 큰 환란을 두려워해야한다는 하상공의 해석과 큰 환란을 내몸처럼 귀하게 여기라는 왕필의 해석을 비교하면서, 하상공과 왕필이 스스로 구하고자 했었던 시대의 질문이 달랐음을 짐작해본다. 그들의 논쟁 숲에서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이 시대의 질문과 나의 고민으로 '도덕경'을 비춰봐야할 것이다.

 

  도덕경을 읽겠다는 1년여의 대장정을 마칠 시간이 왔다. 왕필본 '도덕경'과 하상공본 '도덕경'을 비교하면서 하루에 한구절씩 혹은 일주일에 한구절씩 읽어 내려갔다. 도덕경 81장 6천여자를 읽으며, 고전의 숲을 거닐 때 길을 잃지 않아야함을 깨달았다. '도덕경'이라는 달은 우리가 밤길을 갈때, 나의 앞길을 밝혀주는 존재일뿐, 나의 길을 대신가주는 존재는 아니다. '도덕경'은 도구일 뿐, '도덕경'이 목적일 수 없다. '도덕경'이라는 좋은 안내서의 도움을 받아서, 나의 인생의 고개하나를 넘었다. 인생이라는 머나먼 길을 고민하며 나아가고자 하는 독자에게 하사공본 '도덕경'을 추천해본다. 물론, 왕필본 '도덕경'과 비교하면서 읽는다면 그 미묘한 차이에서 느끼는 재미는 더더욱 커질 것이다. 이제 또하나의 길을 찾아 떠난다. 어느 고전을 안내서로 새길을 떠날까 기대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12-28 17: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중국이 공자에 관심을 가지면서부터 공자 사상을 세계적으로 알리려고 노력하는 중이에요. 그런데 중국의 국제적인 행보를 보면 군자답지 않습니다.. ^^;;

강나루 2018-12-28 17:43   좋아요 0 | URL
공감합니다
유교에는 사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소도 있는데 강대국의 미덕을 그들은 보이지않는군요

짜라투스트라 2018-12-28 19: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강나루님, 요새 제가 관심 있는 영역의 책을 읽고 글을 쓰셔서 댓글을 안 쓸 수가 없네요. ^^;;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싶지만 공자나 노자가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좋지 않다고 해서 이만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긴 말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어쨌든 글 잘 읽었습니다.^^

강나루 2018-12-28 20:38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행복한 새해 맞이하세요

서니데이 2018-12-31 23: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강나루님, 새해인사 드립니다.
올해 제 서재 와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이제 내일부터 2019년이 시작됩니다.
새해에는 항상 좋은 일들 함께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따뜻한 연말, 행복한 새해 맞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강나루 2018-12-31 23:04   좋아요 1 | URL
항상 즐거운 소식을 전해주는 서니데이님도
2019년 행복하고 즐거운 한해 되시길 빌어요^^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