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장자수업 1 - 밀쳐진 삶을 위한 찬가 강신주의 장자수업 1
강신주 지음 / EBS BOOKS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자'는 우화집이다. 그러나 단순한 우화집이 아니다. 처음 '장자'를 읽으며 재미 있는 부분을 지나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를 읽고 생각했다. 과연 장자는 무엇을 이야기하려할까? 이해할 수 없는 난해함에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강신주)을 함께 읽었다.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에 강신주가 설명한 이야기는 '장자'라는 책의 내용에 비하면 너무도 적었다. 어떻게 필부가 '장자'의 모든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장자'를 완독하고 나서 장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했다. 강신주가 장자 강의를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텔레비젼을 잘 보는 성격이 아니라, 유튜브의 단편적 강의를 들으며 '강신주의 장자 수업1'을 읽기 시작했다.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에서 벗어나 얼마나 많은 깨달음을 강순주는 우리에게 던져줄까?


1. 자본주의 사회에서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방법!! 독맥적 삶.

  영원한 자유인 강신주! 그는 여전히 자유를 말하며, 인문학자라면 자본주의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한다. 


  "문제는 우리가 국가나 자본의 질서를 벗어나서는 살 수 없다고 믿는데 있습니다. 심지어 국가나 자본의 질서를 강화하고 타인에게 강요하는 사람도 많습니다.마마보이나 마마걸보다 무서운 국가 보이나 국가걸 혹은 자본보이나 자본걸이라는 괴물이 되고 마는 겁니다." -196쪽


  재미있는 것은 자본주의를 거부하며 자본주의에서 벗어날 것을 일갈하는 강신주 조차도 자본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가 여러권의 책을 쓰는 것도, 그 책이 많이 팔리기를 바라면서 강의를 하고 벙커1에서 방청객들에게 자신의 책을 사서 보길 바라며 한 말들을 떠올린다면 그도 역시 자본주의 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직면하게 된다. 10여년 전으로 기억한다. 대중강연에서 강신주는 '바람이 없으면 글라이드를 탈 수 없듯이, 자본주의라는 바람을 이용해서 우리는 살아가야한다.'는 말을 했다. 자본주의를 맹렬히 비판하며 자본주의에서 벗어나라고 우리를 채근하는 그는 자본주의라는 감옥에서 '관념적 탈옥'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강신주는 한발자국 더 나아간다. 문명화를 가축화라 지적하며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표현을 사용하여 자본보이와 자본걸을 비판한다. 그런데, 과연 강신주의 말은 현실성이 있을까? 사실 자본과 국가라는 질서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만약 벗어나고 싶다면 자연인이 되는 길밖에 없다. '나는 자연인이다.'라는 다큐속 자연인들도 100% 자연으로 돌아간 사람은 매우 적다. 스스로 자급자족할 수 없는 것들은 읍내로 나와서 구입할 수 밖에 없다. 필요한 것을 구하기 위해서 양봉이나 약초채집 등의 경제활동을 한다. 

  장자관련 서적을 읽으며 나의 가슴에서 남는 세속을 떠나는 방법에 관한 글이 있다. '속세를 떠나 산속에서 은일하는 것은 최하급의 은일이고, 최고의 은일은 속세 속에서 은일을 하는 것이다.' 라는 글이다. 진정한 도는 산중에서 닦는 것이 아니라 인간 속에서 인간의 고통을 고뇌하며 몸으로 닦는 도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국가나 자본의 횡포에 대항하고 연대하며 우리의 국가,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를 만드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고의 도이다. 부순다고 파괴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맘에 들지 않지만 고쳐나가고 변혁해 나가며 우리 사회에서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만드는 것이 자본주의라는 바람을 이용해서 창공을 날아가는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그렇다면, 자본과 국가 속에서 살아가며 우리는 어떠한 생각을 가슴속에 담고 살아야할까? 나는 '강신주의 장자수업'을 읽으며 '독맥적' 삶에 대해서 생각했다.


  ""독맥적인 것을 따른다."는 것은 척추로 상징되는 당당함과 양기로 상징되는 경쾌함을 기준으로 삶을 살아야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당당하고 경쾌한 삶! 억압체제를 떠나거나 극복하지 못해도, 아니억압체제를 떠나거나 극복할 때까지 한순간이라도 잊어서는 안되는 가치입니다." -199쪽


  독맥(督脈)!! 얼마나 멋있는 말인가! '숫타니파타'에도 나오는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는 것이 독맥적 삶이 아닐까? 자본주의에 노예가 된자들이 유행에 따라가지 못한다며 나에게 핀잔을 주어도, 승진에 목을 매며 그 경쟁에 같이하지 않는 나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눈빛을 보내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경쾌하게 나의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 독맥적 삶이 아닐까? 내가 원하는 것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스토커와 같은 삶보다는 그가 원하는데로 그에게 행해주지만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나는 나의 길을 가야겠다.


2. 역사공부를 해야하는 이유

  강신주라는 철학자를 좋아하지만, 그가 말하는 논리의 근거에 동의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강신주는 철학뿐만 아니라 뇌과학과 인류학 분야의 많은 책들을 읽으며 사유의 폭을 넓힌다. 그런데, 역사학 관련 서적은 많이 읽지 않는다는 인상을 그의 책에서 강하게 받는다. 대표적인 것이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노예가 건설했다는 표현이다. 


  "파라오 한사람을 위해 돌을 나르는 수십만명의 노예들을 떠올려 보세요." -222~223쪽


  이집트에서 발견된 상형문자를 해독한 결과 피라미드는 노예가 건설한 것이 아니라, 이집트의 농민이 건설했으며 그 댓가로 맥주와 밀가루를 주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피라미드 건설은 농번기를 피해서 농한기에 일종의 뉴딜정책처럼 시행되었다는 연구결과를 강신주는 알지 못하고 있다. 헤로도투스의 '역사'에서 피라미드를 노예를 동원해서 건설했다는 잘못된 기록을 강신주는 아직도 믿고 있다. 강신주가 쓴 여러 책에서 피라미드를 노예들이 건설했다는 잘못된 표현이 반복되고 있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강신주가 '농민도 어자피 노예이다.'라고 항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노예와 농민은 엄격히 구분된다. 또한 농민을 노예로 여긴다 할지라도 대중을 위한 책에는 '노예와 같은 삶을 사는 농민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어야했다. 물론 맘에 들지 않는 표현이지만 말이다. 

  강신주는 농경문화를 경멸하며 유목문화를 찬양한다. 억압과 지배의 문화가 농경문화라면 유목문화는 자유가 있는 문화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이웃이 마음에 안들면 천막을 걷은 다음 가축을 몰로 다른 곳으로 떠나면 그만이니까요. 이웃을 쫓아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미련없이 떠난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277쪽


  강신주의 설명 대로라면 농경사회에서는 이동할 수 없기에 이웃과 다툼이 일어나지만, 유목사회에서는 이동할 수 있기에 분쟁이 발생할 수 없다. 이것은 사실일까? 유목민은 언제나 자유로이 떠나며 분쟁을 겪지 않는 사람들일까? 아니다. 강신주에게 '유목민족 제국사'라는 책을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유목민 조차도 혼자살 수 없다. 그들은 광활한 초원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부족을 형성한다. 쪼드나 강과 같은 가뭄과 홍수가 초원을 덮치며 가축들이 먹을 풀은 줄어든다. 가축의 배를 가르면 자갈들이 가득한 경우도 있다. 뜯어먹을 풀이 없다보니 배고푼 가축이 자갈을 먹은 것이다. 늘어나는 인구와 가축에 비해서 한정된 초지를 두고 부족간의 피의 사투가 벌어지기도한다. 그러한 사투는 너무도 참혹하다. 강신주가 칭기즈칸이 칸으로 추대되기 전까지의 고난의 기록을 읽어보았다면, 유목민에 대한 낭만적 감상주의에 빠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불쌍한 강신주는 여기에서 한발자국 더 나가는 오류를 범한다.


  "유목국가들은 인간을 가축화하는 야만을 행하지 않았습니다. 그들 국가가 대부분 무문자 사회였다는 것이 그 증거일 겁니다." -276쪽


  강신주는 유목국가들이 인간을 가축화하지 않는 근거로 '무문자 사회'라는 점을 제시한다. 이것도 엄청난 오류이다. 유목국가들도 문자를 만들었다. 돌궐제국도 자신들의 문자를 만들었고 돌궐문자로 쓰여진 톤유쿡 비석이 발견된 사실이 이를 실증적으로 증명해준다. 그뿐만이 아니다. 거란에는 거란문자가 있었고, 여진에는 여진문자가 있었으며, 서하에는 서하문자가 있었다. 유라시아 대제국을 세운 몽골에는 파스파 문자가 있었다. 부족간의 치열한 죽고 죽이는 전투가 벌어지는 가운데 부족을 통일한 유목민을 국가를 세우고 자방을 정복해 나아간다. 그리고 문자를 만든다. 유목국가가 무문자 사회였다는 강신주의 낭만적 역사관은 전혀 역사적 근거가 없는 그의 공상이다.

  강신주에게 말하고 싶다. 역사를 여행자의 시선에서 보지 말라!! 커피에 우유를 부어 마시는 비엔나 커피를 여행자는 낭만적으로 바라본다. 그러나, 커피와 우유를 마쉴 여유가 없는 마부는 한손에 고삐를 쥐고 다른 한손에 커피와 우유를 들 수 없기에 커피와 우유를 섞어 마셨다. 비엔나 커피는 여행자에게는 낭만적인 모습이지만 마부에게는 고단하게 하루를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절박함이 묻어있는 현실이다. 강신주는 여행자의 시선에서 유목민을 바라보고 있다. 이제는 유목민이되어 유목민의 삶을 바라보길 기대한다. 

  강신주의 많은 글에 감탄과 찬사를 보내는 나이지만, 때로는 그의 아전인수식 해석에 동의할 수 없을 때도 있다. 특히, '수주대토' 고사에 대한 그의 설명은 절대 동의 할 수 없다.


  "송나라 사람이 지킨 나무 그루터기는 단순히 전통이나 통념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그것은 토끼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은 사건에 대한 사유의 결과물이었습니다. 그러니까 그가 지킨 나무 그루터기는 그가 옳다고 판단한 자신의 생각이었던 겁니다. 한비자는 나무 그루터기를 지킨 송나라 농부를 잘못 읽어냈습니다. 송나라 농부는 고지식해서 융통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사람은 아니었으니까요. (중략) 일회적 사건을 일회적이라고 치부하지 않고 오히려 그로부터 일반적 법칙을 끌어내고 그것을 현실에 과감히 적용합니다. 평범한 바보나 멍청이는 이런 일을 감당하지 못합니다. 창조적인 과학자나 비판적인 지식인만이 그렇게 할 수 있죠. 송나라 출신들은 주어진 관념이나 상식의 노예가 아니었습니다." - 162쪽


  과연 그럴까? 상식과 관념은 현실을 살아가는 일차적 지식이다. 이에 기초해서 사유했다면 일회성 사건을 일반적 법칙으로 오인해서 나무그늘에서 늘어져 쉬면서 어리석은 토끼가 나타나기를 기대하지 않았을 것이다. 농부의 행위는 경쾌하지도 과감해 보이지도 않는다. 우숩고 무모해보일뿐이다. 강신주가 사건을 달리보려는 시도는 좋아보인다. 그러나 상식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진실을 왜곡하여 자신의 입맞대로 평가한다는 인상을 주는 것은 못내 불편하다. 역사를 실사구시적 관점에서 보아야하듯이, 기존의 상식들도 과연 그러한지, 타당성이 있는지 냉철할게 바라보아야하지 않을까?



  책을 덮었다. 책을 읽고 나의 머릿속에 남는 한귀절이 있다. "세계는 나와 더불어 태어났으니, 만물과 나는 하나라고 여길 수 있다."(310쪽)라는 혜시의 말이다. 물론 장자는 ""세계는 나와 더불어 태어났다"고 느껴지는 그 애절한 상황, 그리고 "세계는 나와 더불어 태어났다"고 느껴지는 그 경이로운 상황에서 벗어니지 말고, 이러한 상황에 따르라"(314쪽)고 말하고 있지만, 나는 혜시의 말을 따르고 싶다. 이 순간 만큼은 타의 탄생과 함께 나의 세계가 열렸으니, 나의 세계와 나는 하나라는 생각을 하며 책장을 덮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보코 2024-05-20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인 문해력이 꼴찌인 이유가 이 글에서 보여지는 구나

2024-05-20 16:1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