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날이라 3박 4일 동안 시댁(대구)에서 머물다가 왔다. 일상으로 돌아온 지금 행복하다. 하지만 아직 피곤함이 다 풀리지 않은 듯. (그래서 즉흥적으로 대충 이 글을 쓴다. 빨리 쓰고 쉬어야 하니까. 아, 친정에 가야 한다.)

 

 

 

 

 

2. 내가 결혼할 당시, 우리 시어머님의 연세가 55살이었다. 27살의 새색시인 나는 시어머니를 할머니로 생각했다. 이미 7살의 외손자가 있었기에 할머니로 생각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고 또 외모도 할머니로 보였다. 그래서 시댁에 갈 때 시어머님에게 드릴 선물로 할머니가 입는 스웨터(흰 색에 흰 색의 털이 달린 것)를 사 갔는데 그게 큰 실수였다. 꼬부랑 할머니나 입는 옷이었던 것.

 

 

큰시누이 : 이렇게 할머니 옷을 사 오면 우짜노. 엄마가 어떻게 입노?

싸가지 없는 새색시 : 어머님이 할머니 맞잖아요.

 

 

큰시누이의 말은 어머니가 할머니가 아닌데 어떻게 그 스웨터를 입으시냐는 거였다.

 

 

ㅋㅋ 지금 생각하면 나, 참 철없다. 

 

 

그런데 아직도 우리 시어머니는 그 스웨터를 입지 않으신다. 아직도 자신이 꼬부랑 할머니는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시기 때문이다. 지금 시어머니의 연세는 81이시다. 

 

 

 

 

 

3. 설날 연휴가 끝난 뒤, 내가 어느 서재에 들어가 댓글을 남겼더니 이런 답글이 있었다.

 

 

 

pek0501 : 헨리의 트랩을 듣고 있어요.

일요일 밤의 즐겁지 않음을 음악으로 푸시기를...

 

어느 알라디너 분 : 헨리의 트랩이 뭐지, 하고 유튜브 검색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취향이 젊으셔요. ㅋ

 

 

 

취향이 젊으시다니...

그럼 내가 젊지 않다는 말이잖아. (빠바방...) ㅋ

내가 나이가 많음을 실감한 순간이었다.

깔깔깔... 웃었다. (그러니깐 기분이 나빴다는 얘기는 아니라는 것을 밝혀 둠.)

 

 

나는 내가 아직도 젊다고 착각하고 산다. (우리 시어머니와 똑같다.) 그 착각의 거울을 쨍그랑 깨지게 해 준 그분에게 고마워해야 할 것 같다. 착각은 깨져야 할 것 아닌가. 어디에선가 망신당하기 전에.

 

 

 

 

 

4. 그래도 위안이 되는 게 있다. 내 서재에 댓글을 남기시는 분들 중에서 내 또래가 있다는 것. 나와 동갑이신 분도 있고, 두 살 위인 분도 있고, 한 살 아래인 분도 있다는 것. (그런데 한 살 아래인 분이 나에게 ‘언니’라고 불러서 억울했다. 겨우 한 살 차이인데, 하는 생각으로. 반대로 내가 한 살 적으면 나도 언니라고 불러 보는 건데, 하는 생각으로. 이 나이가 되면 상대보다 내가 젊어서 언니라고 부르는 게 좋다. 이게 늙었단 증거겠지. 젊음을 밝힌다는 건 그만큼 늙었다는 증거니까.)

 

 

내 서재에 댓글을 남기시는 분들 중에선 나보다 4~5살이 적은 분들이 가장 많은 것 같다. 그분들은 나에게 ‘언니’라고 불러 줘서 고맙다. 나를 존중해 주는 느낌이 드니까.

 

 

 

 

 

5. 요즘 헨리의 ‘트랩’을 즐겨 듣는다. 나는 좋은 음악이 있으면 반복해서 듣는 버릇이 있어서 아마 이 노래도 3백 번쯤 듣게 될 것 같다. 아이의 아이패드로 듣기도 하고 유에스비에 저장해 놓고 내 넷북으로 듣기도 한다.

 

 

고등학생인 작은애가 아이패드로 ‘랜덤으로 듣기’를 설정해 놓고 음악을 듣곤 하는데 그것이 내게까지 들려와서 이 노래를 알게 되었고 자꾸 듣다 보니 좋아졌던 것. 그러니 내 음악 취향이나 수준은 자연히 그 애와 같아진다. 결론은 내 음악 수준은 고딩 수준이라는 것이다.

 

 

 

 

 

6. 그런데 음악만 고딩 수준인 게 아니라 요즘 내가 말하는 수준도 고딩 수준인 게 문제다. 가끔 작은애가 이런 말을 한다.

 

 

“엄마, 수준 좀 높여. 난 이제 초등학생이 아니야.”

“(할 말 없음.) 빠바방...”

 

 

아이가 컸긴 컸나 보다. 엄마 수준을 운운하는 것을 보니.

 

 

앞으로 내 수준을 높이는 게 하나의 과제다. 이 해에 높일 수 있을까? 갑자기 어떻게?

 

 

 

 

 

 

<후기>....................................

 

‘시댁’이 아니라 ‘시집’이라고 써야 맞는데 그냥 ‘시댁’으로 썼다.

‘그분들이‘가 아니라 ’그들이’라고 써야 맞는데 그냥 ‘그분들이’로 썼다.

이렇게 글에서 높임말을 써야 하지 않는 이유는 독자가 왕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대통령께서 미국 순방길에 오르셨다.’가 아니라

‘대통령이 미국 순방길에 올랐다.’가 맞다.

 

난 어떤 원칙은 알면서도 무시하고 쓴다. (예의를 위해서이니 이해해 주시길...)  

 

 

 

 


댓글(2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14-02-03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하하, 재밌게 읽었어요~
싸가지 없는 새색시...ㅋㅋ 55세시면 아주 젊은 시어머님이신데, 할머니가 입는 스웨터를 사다드리면 않입으시겠죠..ㅋㅋ 81세시라도 스스로는 할머니라 생각 안하실겁니다..ㅎㅎ

트랩의 노래는 모르겠고....전 지금도 익스트림계열의 음악을 듣습니다. 가요는 신해철이 마왕이 된 이후부턴 안듣고요..ㅎ 고교시절에서 대학시절까지 줄창 헤비메탈 듣다가 시쿤둥해져서 클래식을 들었는데, 몇 년 전부터 하드한 음악의 끝인 익스트림 계열을 듣습니다. 메탈의 끝은 클래식과 만나는 가 봅니다..ㅎ

글세요....전 나이를 별로 생각하지 않고 살기 때문에 서재 활동하는데 나이와 호칭을 전혀 생각지 않고 있네요. 초등학생에게도 배울점이 있으니까요..ㅎ

페크pek0501 2014-02-04 11:53   좋아요 0 | URL
그냥 부담 없이 쓴 글인데 댓글이 많이 달려서 놀랐어요. ㅋ
누구나 자신이 늙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건 꼭 기억해 둘 점인 것 같아요.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건 예전에 비해 사람들의 외모가 많이 젊어졌다는 점이에요. 우리 큰시누이가 현재 57세신데, 늙어 보이지 않아요. 아마 노인이라는 말도 이젠 70세부터 써야 할 듯싶네요. 그건 좋은 현상이라 생각해요. 요즘 노인들은 예전에 비해 정신도 젊어졌어요.

나이에 대한 님의 의견은 좋군요. 동의하겠습니다.


착한시경 2014-02-03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공감하며 읽었어요~전 수상한 그녀를 보면서 100% 공감하며찔찔 울었는데~그때 제가 나이먹었구나 했어요~ 재밌었지만 맘이 짠하더라구요~ 지나온 시간을 돌이켜 보니 회한만 남고~ 그냥 우울해지고... 그렇더라구요~

페크pek0501 2014-02-04 11:54   좋아요 0 | URL
우울 우울 하시지 말고 명랑 명랑 하시길...

저는 케이티엑스 타고 오면서 영화석에 앉아서 <피끓는 청춘>이란 영화를 봤는데 기대를 전혀 하지 않아 잠이나 자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의외로 재밌었어요. 우리의 정신은 늙지 않나 봐요. 고교생들의 이야기인데 몰입해 봤어요.
제가 나잇값울 못하는지도... ㅋㅋ

stella.K 2014-02-03 1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정말 헨리의 트랩이 뭐예요? 노래 이름인가?
그러게요. 저도 그 나이 때 그 나이가 참 많은 줄 알았어요.
저는 나이 안 먹을 줄 알았는데 이젠 그 나이도 별로 많은 게 아니구나 싶어요.
저도 언니라 부를 수 있는 분이 계셔서 다행이다 싶어요.^^

페크pek0501 2014-02-04 11:55   좋아요 0 | URL
헨리의 트랩을 모르시다니... 님은 저보다 젊으시면서... ㅋ
저도 언니라고 부르고 싶은 분이 있는데 제 친구들 중에서 두 살 많은 이들이 있어서 (족보가 헷갈려서) 참았어요. ㅋ



심야책방 2014-02-03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희 할머니는 연세가 94세이신데도 (뙇!) 할머니(처럼 보이는) 옷은 안 입으세요. ㅡㅡ^

페크pek0501 2014-02-04 11:57   좋아요 0 | URL
와우~~ 94세에도 그렇다는 말씀입니까?
저의 미래 모습 같아요.
반가웠습니다. ^^

순오기 2014-02-03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아~ 시어머님은 내 나이에 며느리를 맞으셨고, 이미 할머니도 되셨었군요.ㅠ
우리 나이는 잊어버리고 살자고요.^^
명절에 시댁과 친정순례는 공식이거늘, 저는 명절에 친정을 한번도 안 갔어요.ㅠ
그렇다고 먼저 다녀오거나 후에 가지도 않고...이런 것도 버릇 들기 나름인 듯....

페크pek0501 2014-02-04 11:58   좋아요 0 | URL
글쎄, 그렇더라고요.
예, 우리 나이는 잊어요. 전 잊을 수 있어요.
이곳에 순오기 님이 계셔서 참 좋습니다. 든든해염. ^^


잘잘라 2014-02-03 2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엔 오히려 아무렇지도 않게 엄마 옷을 입고 다녔는데 요즘은 저도 엄마가 물려주는 옷은 절대 사절이예요. 글쎄 엄마 옷을 입어두 어색한 맛이 하나두 없구 이렇게도 자연스럽게 어울리다니.. 도대체 이 노릇을 어쩌면 좋단 말입니까. 흑흑

페크pek0501 2014-02-04 11:59   좋아요 0 | URL
그거 좋은 글감이군요. 어색한 맛이 하나도 없다니...
저도 그렇겠지요? 아직 엄마의 옷을 입은 적이 없어 잘 모르겠지만,
아마 그럴 거예요. ㅋ

다락방 2014-02-04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헨리의 트랩이라뇨! 저 한동안 그노래에 미쳐가지고 유튜브에서 찾아 내내 듣고 다녔습니다. 노래가 좋아서가 아니라 피쳐링해주는 태민의 춤을 보는게 좋아서요. 태민이가 춤을 너무 잘추는 거에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뭐 이런 애가 다있지, 감동에 겨워 영상을 두고두고 돌려보고, 그러다 태민이가 춤추는 다른 영상까지....하하하하하하하하.

마침 이 페이퍼도 봤겠다, 오늘 집에 가는 길에 헨리의 트랩 한 번 들어야겠습니다. 으흐흐흐


아, 이건 완전히 다른 의견인데 전 '언니'란 호칭을 개인적으로 싫어해요. 제가 언니라고 부르기도, 누가 저에게 언니라고 부르는 것도요. '오빠'란 호칭도 마찬가지고요. 그런데 페크님은 언니란 호칭에서 존중을 느끼신다니, 아 그럴수도 있구나 싶어 살짝 놀랬습니다. 뜬금없이 나에겐 끔찍했던 교회가 누군가에겐 인생의 구원이 되었었던 얘기도 하고 싶고...그렇지만 너무 길어지니 패쓰합니다. 하핫

페크pek0501 2014-02-04 12:03   좋아요 0 | URL
아, 님은 노래보다 춤이 좋으셨군요. 어쨌든 같은 노래의 팬이라니 반갑습니다.
저는 이 노래의 음악성에 감동 받았어요. 어쩌면 이렇게 잘 만들었을까, 하면서 말이죠. 지금도 노래 들으며 쓰고 있답니다. 광팬이에요.

저는 여자 형제가 없어서인지 언니, 라고 부르면 대체로 좋습니다.
사촌들이 불러 주곤 하는데 잘 만나질 못하니 그 호칭이 익숙하진 않아요.
언니보단 조금 더 좋은 게 선배님이나 후배님으로 부르는 것... ㅋ
교회에 대한 생각은 저와 비슷할 듯싶네요.

(참고로, 저는 님이 저에게 언니라고 부르는 것보다 그냥 페크 님이라고 부르는 게 더 좋습니다.) ^^

비로그인 2014-02-04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ㅎㅎㅎㅎㅎㅎ 안녕하세요..
저는 취향의 문제는 아니나, 얼마전 피씨방에서 남자 고등학생들이 욕을 너무 심하게 해대며 떠나가라 떠들길래 한마디 했더니, 어떤 아이가
"아줌마..가 왠 참견이세요?" 하길래 쓰러지는 줄 알았어요.. ㅠㅠ

아이들도 아니고 고등학교 학생이 아줌마라니.. ㅠㅠ
전 더군다나 시집도 못갔는데 ㅠㅠ

페크pek0501 2014-02-04 12:04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아니 그렇다면 님은 고등학생이라는 말씀입니까?

(닉네임이 좋군요.^^)

노이에자이트 2014-02-04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저는 늘 그렇지만 다른 이들 댓글과 다른 내용을 담아보겠습니다.

독자가 왕이기 때문에...맞습니다.방송인들이 선배니 형이니 언니니 형수니 하는 말을 쓰지 않고 누구누구 씨로 통일해야 하는 건 시청자들을 더 웃사람으로 보기 때문이지요.하지만 요즘은 이런 방송예절이 사라졌습니다.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아닌 토크 쇼나 시상식 진행자들까지 사적인 호칭을 남용하더군요.

페크pek0501 2014-02-06 12:57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노 님은 모르시는 게 뭐죠? ㅋ

노 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방송에선 시청자가 왕입니다. 그러니 사적인 호칭은 금물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씨 자를 붙이기보다(씨는 윗사람에겐 쓸 수 없는 말이어서)
님 자를 붙이는 것으로 통일했으면 합니다. 아무개 님, 이렇게요.

님의 댓글은 유익한 댓글이었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

노이에자이트 2014-02-06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크 님은 어떻게 생겼을까 궁금해요.나이는 예전에 이미 알았고...

2014-02-06 21: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2-06 19: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2-06 2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2-07 13: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2-08 11: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