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빈 던바, <프렌즈>
<프렌즈>는 진화인류학자 ‘로빈 던바’가 쓴 우정에 관한 책이다. 고독감에 압도된 사람들은 독감 예방 접종을 한 이후에도 면역이 생기지 않았다고 하니 고독감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셈이다. 이는 친구가 왜 우리에게 필요한 존재인지를 증명해 준다. 이 책은 친구 맺기에 성공한 인간이야말로 건강하게 오래 살아남는 우수종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연인이나 배우자 없이 행복하게 사는 이들은 많아도 친구 없이 행복하게 사는 이들은 드물 것 같다. 퇴직하고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남자의 기분을 잘 이해해 줄 사람은 아내도 아니고 자녀도 아니고 또래 친구다. 폐경을 겪은 여자의 기분을 잘 이해해 줄 사람은 남편도 아니고 자녀도 아니고 또래 친구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친구가 없는 이가 가장 외로운 사람일 듯.
2. 송길영, <그냥 하지 말라>
수많은 사람들의 일상적 기록이 담겨 있는 소셜 빅데이터로 인간의 마음을 읽고 해석하는 일을 20년 가까이 해 온 저자의 책이다. 과거와 현재의 삶을 살펴보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
예전에는 성실히, 꾸준히, 열심히 하는 자세를 높이 샀어요. 지금도 그런 면이 있죠. 그런데 로봇 R대리는 잠을 안 잡니다. 밥도 안 먹고 3교대도 필요 없어요. 월급을 올려 달라는 말도 안 하고, 결정적으로 R대리는 오류를 내지 않습니다. 이렇게 동일한 업무를 꾸준히 하는 분야는 로봇을 이길 수가 없습니다.
(중략)
혹여나 여러분도 좋은 직장에 들어가서 시키는 일 열심히 하겠다는 생각은 접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일자리는 곧 없어질 확률이 높으니까요.(74쪽)
- 송길영, <그냥 하지 말라>에서.
....................
⇨ 그냥 흘려들을 말이 아닌 듯하다. 업무 자동화로 비용을 줄이는 추세에 있으니 말이다. 이는 코로나19가 종식되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비용 절감을 싫다 할 회사가 어디 있겠는가.
“또 꽤 많은 중국 식당에 로봇 웨이터들이 손님을 맞고 있다. 고급 레스토랑도 아니고 맥도날드, 중저가 레스토랑에 앉아 있으면 바퀴 달린 로봇이 음식을 배달해 준다.”(위키리크스한국, 2022.01.02.)
로봇 웨이터가 일하면 장점이 많겠다. 식당에 손님이 많아 피로하다고 불평하지 않을 것이고, 손님이 예의 없는 행동을 했다고 짜증을 내지 않을 것이며, 월급을 올려 달라고 요구하는 일도 없으리라. 게다가 밥도 먹지 않고 잠도 자지 않으니 식당의 오너로선 로봇 웨이터를 선호할 수밖에 없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