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거짓말은 언제였을까.
아이들은 너덧살이 되면 슬금슬금 거짓말을 시작한다. 귀엽고 사소한 거짓말들. 이를테면 과자를 먹어 놓고 먹지 않았다거나, 손을 씻지 않고서는 씻었다거나.
<타고난 거짓말쟁이들>에서는 아이는 (만 나이) 3-4살 사이에 '마음의 이론 Theory of mind(다른 사람들과 자신에게 믿음, 의도, 욕망 등의 정신적 상태가 있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과는 다른 정신적 상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를, 다시 말해 '마음을 읽는 법'을 알게 된다고 말한다(42쪽). 저자는, 그러므로 당신의 아이가 첫 거짓말을 한 날을 축하해도 좋다고 한다. 축하까지야 아니겠지만, 이제는 이 아이가 다른 사람의 마음/시각이라는 것을 깨달았구나(무의식적으로), 하고 속으로 흐뭇해 하면서 정직을 가르쳐도 좋겠다.
앞에서 나는 에덴동산에서 뱀을 탓하는 하와의 말을 인용했다. 하지만 그 이야기에서 속인 이는 누구인가? 뱀이 아니다. 뱀은 멋지고 젊은 두 남녀에게 열매를 따 먹으라고 용기를 북돋아주었을 뿐이다. 실제로 거짓말을 한 이가 있다면 그는 바로 신이다. 신은 아담과 하와에게 열매를 먹는 바로 그날, 그들이 죽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쨌든 그들은 먹었지만 갑자기 죽어버리지는 않았다. 신은 솔직하지 않았다. 신이 속이지 않고는 해낼 수 없다면, 과연 우리 중 누가 그럴 수 있겠는가? - <타고난 거짓말쟁이들> 9쪽
살면서 거짓말 해보지 않은 자가 있다면 3-4살 이하의 유아일 것이고, 그가 성인이라면 아마도 사회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인격장애 평가를 받을 것이다. 흔히 '하얀 거짓말'이라고 하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상처 주지 않기 위해 하는 가벼운 거짓말- "그 옷 정말 잘 어울린다!" - 은 물론이고, 자신의 상태에 대한 거짓말 - "난 괜찮아." - 역시 사회적으로 필요하다. 누가 그러던데, 자신에 대해 지나치게 솔직하게 다 말하는 사람은 벌거벗은 채로 "내가 벗었으니 너도 벗어 봐"라고 강요하는 거나 마찬가지여서 상대를 불편하게 한다고 한다. 따라서 우리는 매일같이 거짓말을 하게 되고, 거짓말을 적절히 사용하는 사람이 삶을 잘 유지해 나갈 수 있다.
김애란 작가의 장편, <이중 하나는 거짓말>의 제목은 고2인 주인공 아이들의 담임선생님이 처음 아이들에게 자기소개를 하게 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놀이다. 다섯 문장으로 자기를 소개하되, 그중 하나는 반드시 거짓말이어야 한다. 소개가 끝나면 다른 친구들이 어떤 게 거짓인지 알아맞히면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얻게 된다.
이 게임의 목적은 얼핏 '거짓 가려내기' 같지만 실제로 이 게임에서 중요한 건 '누구나 들어도 좋을' '아무에게나 말해도 되는' 진실만 말하는 거였다. 당연했다. 누구도 초면에 무거운 비밀을 털어놓지는 않으니까.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피하는 게 상책이란 걸 어린 지우조차 알고 있었다. - <이중 하나는 거짓말> 226쪽
그러나 지우와 애매한 관계에 있는 '아저씨'는 무거운 진실만을 던지며 진심을 전하고, 아마도 거짓으로 보이는 - 알 수 없지만 나는 거짓말일 거라 생각한다 - '하얀 거짓말'을 통해 지우를 위로한다. 채운의 아버지처럼 남들 앞에서 자식에게 실컷 욕을 퍼부은 뒤 "아, 미안. 내가 거짓말을 잘 못해서"라고 으스대는, 자신이 빈말 못하고 솔직하다는 사실을 늘 자랑스러워하는(75쪽) 사람과는 반대의 방식으로 말이다.
채운의 어머니는 채운을 위해 거짓말을 하고, 소리는 채운을 위해 거짓말을 했다. 거짓말에도 진심이 담길 수 있고, 지어낸 이야기에도 진실이 담길 수 있는 것. 이 소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나는 그렇게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