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보니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을 세 권 갖게 되었다. '3기니'와 함께 실려 있는 두툼한 민음사판 <자기만의 방>이 첫번째, 민음사 쏜살에선 나온 얇은 판 <자기만의 방>이 두 번째, 열린책들 Noon세트에 포함된 것이 세번째.
민음사판 두 권은 번역자가 동일(이미애)하고 열린책들판은 공경희 번역이다. 읽는 건 이번이 2.5번째인데(민음사판으로 1번 완독 후 재독할 때 절반 정도 읽어서^^;) 이번에 어쩐지 더 잘 읽히는 것 같아 번역을 비교해 보니 차이가 있다. 거의 모든 문장이 미묘하게 다르고 확 다른 부분도 있다. 특히 공경희 번역이 단문을 더 많이 사용하고 좀더 구어체에 가깝게 해서 읽기가 매끄러웠던 것 같다.
번역 비교를 위해 서론 부분을 인용해 본다.
그러나 그중 가장 흥미롭게 보이는 이 마지막 방법으로 그 주제를 고찰하기 시작하자, 거기에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는 사실을 이내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결코 결론에 도달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강연자의 첫 번째 의무를 완수할 수 없으리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지요. 한 시간의 강연이 끝난 후 여러분의 공책 갈피 속에 숨겨진 채 벽난로 위 선반에 영원히 보관될, 순수한 진실의 알맹이를 전달해 주어야하는 임무를 말입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고작해야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한 가지 의견, 즉 여성이 픽션을 쓰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알게 되겠지만 이러한 견해로는 여성의 진정한 본성과 픽션의 진정한 본질이라는 크나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남겨 둘 수밖에 없습니다. 나는 이 두 가지 문제의 결론에 도달해야 할 의무를 회피했고 따라서 나에게 여성과 픽션이라는 주제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는 셈입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라도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내가 어떻게 방과 돈에 대한 이러한 견해를 가지게 되었는지 최선을 다해 보여 주겠습니다. 나는 이런 생각을 하게 된 사고의 궤적을 여러분 앞에 될 수 있는 대로 충실하고 자유롭게 개진할 것입니다. - 민음 쏜살판, 18쪽
가장 흥미로워 보이는 마지막 관점에서 주제를 고심하기 시작하니 곧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있는 걸 알았습니다. 내가 결론을 내리지 못하리란 점이지요. 한 시간의 토론이 끝나면, 강연자가 알려준 순수한 진실 덩어리가 여러분의 공책 갈피에 담겨 영원히 벽난로 선반에 꽂혀야 합니다. 그게 강연자의 첫 번째 의무지만 난 그러지 못할 터였습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해봐야 사소한 부분에 대해 견해를 밝히는 정도였습니다. 여성이 소설을 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을 가져야 된다는 점 말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도 알게 되겠지만, 그것은 여성의 본질과 소설의 본질이라는 중대한 문제를 미제로 남깁니다. 나는 이 두 문제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의무를 회피해 왔습니다. 내게 여성과 소설은 풀리지 않은 문제들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간 벌충하기 위해 어떻게 이 방과 돈에 대한 견해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힘껏 밝혀 보겠습니다. 여러분 앞에서 최대한 온전하고 자유롭게 이 생각에 이른 맥락을 짚어 보겠습니다. - 열린책들판, 8쪽
민음사판은 두 권이니 하나를 처분할까 싶었는데, 두꺼운 책은 '3기니'가 함께 실려 있으니 안 되고, 쏜살은 앞에 실린 이민경의 추천의 말이 좋아서 소장각.. 그냥 끌어안고 살아야겠다.
『자기만의 방』에서 그랬듯이, 모든 페미니스트는 자신이 딛고 선 삶의 틈바구니에서 또 다른 삶을 퍼 올린다. 때로는 아직 오지 않은, 때로는 언제 왔는지도 모르게 사라져 버린, 어떤 여성 혹은 바로 자기 자신의 삶, 자기만의 방을 가지거나 가지지 못했거나 여성은 쉼 없이 상상했다. 각자가 피워 올린 허구에 현실이 화답하는 일이 과연 찾아올지, 만약 그 순간이 찾아온다면 언제일지, 그건 아무도 알 수 없지만 하나만큼은 분명하다. 우리의 삶은 누군가의 허구에 빚진다. 버지니아 울프 자신의 삶 역시 그랬다. - 쏜살판, 6, 7쪽(이민경 추천의 말)
얼마전 읽은 <올랜도>의 작품 해설에서 <올랜도>가 <자기만의 방>의 소설 버전이라는 이야기가 나와서 이번에 <자기만의 방>을 재독하게 됐다. <올랜도>는 1928년, <자기만의 방>은 1929년에 출간되었다. <올랜도>를 읽게 된 것은 같은 해인 1928년에 출간된 래드클리프 홀의 <고독의 우물>을 읽었기 때문이다. 해설에서 이 책을 <올랜도>와 비교하길래 읽게 되었다. 이렇게 꼬리를 무는 독서는 흥미롭다.
이번에 <자기만의 방>을 재독하니 <올랜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조금 감이 잡힌다. <올랜도>는 나름 재미있게 읽었지만 리뷰를 쓰기는 어려운 작품이라 백자평만 썼다. 울프는 <자기만의 방>을 통해 보여준 이상적인 소설가의 마음- 성별을 의식함으로써 야기되는 분노와 비탄에 휩쓸리지 않고 양성의 장점을 모두 가지는 -을 '올랜도'라는 인물을 통해 이야기로 형상화 한 것이다. <올랜도>는 주인공 올랜도가 '참나무'라는 한편의 시를 완성해 가는 여정이다. 그 여정에서 그는 성별이 바뀌기도 하고 신분이 바뀌기도 하며 300년에 걸친 시간의 흐름을 관통해 나간다.
<올랜도>는 성별이 바뀌는 실험을 행한다는 점에서 성역할 고정성을 깨는 면이 있고 퀴어적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현실의 퀴어 문제를 다루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고독의 우물>이 FTM(트랜스남성)의 삶, 그가 겪는 실존의 문제를 생생하게 그려나간 것과는 결이 많이 다르다.
<고독의 우물> 리뷰:
https://blog.aladin.co.kr/703039174/12922963
얼마전 본가에서 챙겨 온 오래 묵은(안 읽은 채) 책들 중 <사람이 읽어야 할 모든 것: 책>이 눈에 띄어 목차를 보니, '여성' 항목의 두 번째에 <자기만의 방>이 자리하고 있다.
첫번째는 메리 울스턴그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 세번째는 보부아르의 <제2의 성>, 네번째는 저메인 그리어의 <여성, 거세당하다>, 다섯번째는 알리스 슈바르처의 <아주 작은 차이 그 엄청난 결과>다. 음 자기만의 방 외에 읽은 게 없군...
울프 관련 책으로 읽고 싶어 찜해둔 책은 <버지니아 울프 북클럽>과 <버지니아 울프의 정원>.
'3기니'를 읽으려면 <카탈루냐 찬가>를 먼저 읽는 게 좋다는 말에 읽고 3기니 재독하려고 사놨는데 못 읽는 중.
오래 묵혀 둔<댈러웨이 부인>부터 읽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