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라, 내 동생
빌리 슈에즈만 지음, 김서정 옮김, 민은경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가끔 드는 생각이다.

내가 죽으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슬퍼할까?

멀리 소식이 안 닿은 사람이 나를 궁금하여 내가 이제 세상에 살지 않음을 알게 되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릴까?

나를 위해 온 사람들이 고스톱을 칠까?

나때문에 얼마나 많은 술이 목으로 넘어갈까?

죽음 하면 드는 생각은 슬프고 어둡고 우울하다.

선입견일지도 모른다.

죽음은 그렇게 슬픈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죽음에 대해 담담하면서도 아름다운 생각을 갖게 해주는 책이다.

가족들이 자신을 잘 떠나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신이 없어도 가족들이 자신을 잊고 잘 지내기를 바라는 맘.,

그게 정말 사랑일 거다.

그렇다면 나는 가족을 정말 사랑하지 않았나 보다.

가끔의 생각에도 나는 내기 만약 죽으면 많은 사람들이 슬퍼하고 미안해 하길 바랬다.

피해의식이 있었나?

그리 그런것도 아닌데

많은 사람들이 내게 더 손을 내밀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마음아파하길 바랬다.

그리고 돌이킬 수 없음에 생각하다가 나 스스로 눈물이 났을 거다.

진정한 사랑이 아니었음을 책 속의 주인공 벤자민에게 배웠다.

어린나이에 벤자민은 심장의 이상으로 죽었고 죽은 뒤에도 자신의 죽은 몸과 가족 주위를 떠돌아 다닌다.

그리고 자신 처럼 죽은 사람들과 우정을 나누며

세상 사람들이 죽은 사람을 잊을 수록 옅어지고 투명해져 드디어 세상에서 영원히 사라진다는 것도 알게 된다.

마음 편히 영원히 사라지는 것.

가족들이 더이상 자신때문에 슬퍼하지 않고

그들의 사람을 당당하고 마음껏 누리며 살아가는 것.

그것이 진정 벤자민을 포함한 죽은 이들의 바람이었다.

내가 죽으면 얼마나 슬퍼할까?

얼마나 후회할까를 바랄 것이 아니라

내일 당장 죽음을 맞게 되더라도

억울하거나 슬프지 않게 오늘 하루를 후회없이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앞으로 더 열심히 살고 픈 맘을 갖게 해 주고 진정한 사랑과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06-01-23 0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가 생기니까 내가 죽으면 저것들은 누가 안아주고 예뻐해주고 사랑해줄까 하는 생각부터 들던데요.

하늘바람 2006-01-23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겠죠. 아무래도.

치유 2006-05-11 0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바람님은 이 책을 보며 이런 생각을 하셨군요..전 질질 눈물만 짰는데..ㅠ,.ㅠ
두어시간이면 충분하게 읽을수 있으며 다시 한번 가족을 죽음을 생각하게 해 주는 책..바람님 고마워요..
 
나나의 논리대왕 도전기 살림 랄랄라 시리즈
박연숙 지음, 아메바피쉬 일러스트레이션 / 살림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논리는 생각보다 어렵다.

배중률 모순률 등을 따지고 가면 알듯하다가도 모르는게 논리다.

그런 까다로운 부분을 속시원히 긁어 주는 책을 만나게 된것 행운이란 생각까지 든다.

나나의 논리대왕 도전기에는 여러 재미있는 캐릭터가 등장하여 적절히 설명도하고 알아도 가지만

가장 재미있는 캐릭터는 냉소쟁이 시루떡이다.

냉소쟁이 시루떡이 무엇일까? 누구일까?

두구두구두구 퀴즈를 내어 볼까?

바로 고양이다.

새침햐 보이는 고양이가 조물조물 논리 이야기를 해 대는걸 보면 참 우스운 생각이 들면서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먹는 여우 - 좋은아이책 책 먹는 여우
프란치스카 비어만 지음, 김경연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글을 쓰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는 말은 수도 없이 들었다.

가끔 정말 일까 그런데 왜 좋은 글이 안 써지지 하는 의심도 했지만

책을 읽는 만큼 상상력과 소재들이 솟아나서 좋은 글을 쓰는 밑바탕이 되는 것 확실하다.

요즘 여러 출판사에서는 논술책을 만드느라 바쁘다고 한다.

논술 책 종류도 여러가지여서 명작 논술 독서 논술 고학 논술 역사 논술 통합 논술

그러나 글을 쓰기 위해 억지로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과연 책과 글쓰기가 감이 올까?

아이들은 스스로 책이 좋아서 읽어야 하고 그들의 생가과 느낌이 어울려 그들의 글을 쓸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책이 바로 이 책 먹는 여우다.

책을 먹는 여우아저씨는 책이란 책은 보는 대로 먹어 치웠고

소금과 후추라는 양념으로 그 책들을 자기화시켰다.

그 많은 책을 소화시킨 여우 아저씨의 글이 재미있다는 건 당연한 일이다.

책 속의 그림 역시 개성있고 재미나서 읽는 재미에 보는 재미가 가득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rkrksmsrlf2 2006-01-02 2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기요..
상상력을 키우는 책을 읽어 주시면 어떨지요...
아이는 상상력이 풍부해야하니까요.!!!

바람돌이 2006-01-03 0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이 책 리뷰가 정말로 많이 올라오는 것 같은데...
아직 우리집 아이들한테는 어려울 것 같아서 그냥 미뤄두고만 있었는데 자꾸 리뷰 올라오는걸 보니 제가 볼려고 사야할 것 같은 압박감이 막막 느껴지네요. ^^

소나무집 2006-01-03 0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어린 아이들에게 뭔가 학습시킬 의도로 고른 책을 읽힐 때 양심의 가책을 느끼곤 하죠.

하늘바람 2006-01-03 0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이 책 어렵지 않아요 그림책 같답니다. 여우가 책을 먹는 걸 좋아해서 나중에 감옥에도 가는데 그곳에서 책을 쓴다는 이야기죠 소나무 집님 아이에게 뭔가를 가르치고 싶은건 아마 엄마의 공통된 마음일거예요. 새벽별 보며님 함 보세요 재미있답니다. sorkrksmsrlf2 님 이 책도 상상력을 키워주는 책이라 할 수도 있을 것같아요

 
풀꽃과 친구가 되었어요 창비아동문고 166
이상권 지음, 정수영 그림 / 창비 / 1998년 9월
평점 :
절판


우리 풀꽃들은 비슷비슷하고 산에 가면 지천으로 널려서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었다. 

그런 생각을 바꾸게 해 준것은 이 책 속에 소비름 이야기다.

옛날 우리 아이들은 소비름을 훑어 청사초롱 놀이를 했고

실제 아주 신기하게 소비름을 훑으면 더 붉어진다,.

신랑 방에 불켜라 각시 들어간다

청사초롱 불밝혀라

두드러기에 효과가 있는 괭이밥

감자 물레방아

까스명수보다 익모초

하나같이 약이 되고 이로운 풀들인데 왜 여태 몰랐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쑥의 효능을 이야기하고 쑥을 먹인다면 아이들은 잘 먹지 않겠지만 같이 캐 보며 쑥을 먹은 토끼는 살찐다는 이야기를  들려주면 절로 쑥을 좋아하지 않을까?

인형이 따로 없는시대에 인형을 만들어 놀던 각시풀도 정겹고 풀철모 만들어 쓴 아이 생각에 웃음이 난다.

토끼풀로 반지는 만들어 보았는데

자연과 어울려 놀다보면 순해지고 착해지고 무뎌지고 자연이 되 가는것 같다.

앞으로 풀꽃들을 관심있게 보고 하나하나 이름도 알아두어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은아이 2005-12-30 16: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연과 놀다 보면 순해지고 착해지고 무뎌질 뿐 아니라 강해지기도 할 거여요. ^^

하늘바람 2005-12-30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숨은 아이님
 
문제아 창비아동문고 175
박기범 지음, 박경진 그림 / 창비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3때 담임선생님 면담시간이었다.

나는 선생님 면담을 두근반 세근 반 가슴을 졸이며 교무실로 갔다.

죄를 지은 것도 아니지만 선생님을 만나러 가면 웬지 가슴이 조마조마했다.

열심히 하라고 혼내시겠지

그런데 교무실에 들어가 자리에 앉자마자 선생님 하시는 말씀

"음 그래 너한테는 특별히 할말이 없네 알아서 잘하고. 아주 믿음직스러워서 앞으로도 그렇게 잘 해야해."

언듯 칭찬같아 보이겠지만 나는 아리송했다.

나는 잘한 게 없었다.

시험공부를 안해서 점수도 조금 떨어졌는데 일등한 아이는 한개 더 틀렸다고 울고불고 했는데 내가 좀 더 틀린 건 나뿐 아니라 선생님 눈에도 아무일이 아닌 듯 싶었다.

알아서 잘 한다고?

사춘기의 반항심이었는지 모르지만 나는 그렇게 나를 보는게 속상했다.

"너 왜 그러니? 더 잘할 수 있잖아? 잘할 수 있으면서 왜 그래? 네 능력을 보여줘."

난 이런 말을  원했다.

나는 공부를 뛰어나게 잘하지도 안았는데 더 열심히 하라는 말도 안한다는 건 네 능력이 거기니 거기를 지켜라로 들렸다.

그래서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그래도 대강 점수는 떨어지지 않아서 난 중3내내 기고만장하며 지냈다.

선생님의 역활을 그런 거였다.

무심코 한 마디가 상처가 되고 독이 될 수 있다.

문제아라니

세상에 누가 누굴 평가하는가?

그들의 잣대는 대체 어디까지란 말인가?

박기범의 문제아에는 속깊은 아이들의 마음씀씀이가 나온다.

 그 마음씀씀이가 따뜻하고 가슴아파서 읽는내내 화가 났다가 중간중간 책을 덮고 생각했다.

이런 아이들은 얼마나 많을까?

이런 어른들은 얼마나 많을까?

정말 상황이 그럴 수 밖에 없고 어른들이 골라 놓은 빈부를 아이들은 관심도 없다

다만 잣대를 가져다 대는 또 다른 어른 선생님이 있을 뿐.

예전에 평창동에서 글짓기 강사를 한 적이 있다.

부유계층이 사는 그곳의 아이들은 박기범의 문제아라는 책을 마치 아프리카 난민 보듯 할 것이다.

당시 쌀이 없어 밥을 못 먹는다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쓴 난이 있었는데 밥이 없으면 빵사먹으면 되지 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진정한 선생의 위치

진정한어른의 위치를 느끼게 해주는 책이고

좀더 많은 아이들이 읽어서 나와 다른 친구를 이해하고 보듬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