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1840)은 작가가 재판에 붙인 서문으로도 유명한 소설이다. 그는 1841년에 결투로 세상을 떠났다. 소설 속에서는 주인공 페초린이 결투로 동료인 그루슈니츠키를 죽게 만들지만 정작 현실의 결투에서 사관학교 동창의 총탄에 쓰러진 것은 레르몬토프 자신이었다.
스스로도 불행한 인간이자 다른 사람들까지도 불행하게 만든 낭만적 환멸의 주인공 페초린을 두고 '우리 시대의 영웅'이라고 칭한 데 대해 의견이 분분하자 따로 서문을 붙인 것인데, 특별히 마지막 구절이 유명하다.
저자는 단지 그가 이해하는 방식대로 이 동시대인을 그려가는 일에 즐거움을 느낄 뿐이다.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는 안된 일이지만, 이러한 종류의 인간은 아주 자주 만날 수 있다. 아마도 여기에서 저자의 몫이라면 이 질병의 존재를 알리는 것일 뿐,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는 신만이 아시는 것이다!
서문을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 이런 대목이 나온다. 1830-40년대 독자를 겨냥한 것으로 당대 독자들의 오독과 오해를 유감스러워 하는 내용이다.
우리의 대중은 아직도 너무나 미숙하고 순박하기만 해서, 마지막에 교훈을 찾을 수 없는 우화라면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농담을 알아듣지도 못하고, 풍자를 눈치 채지도 못한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형편없는 교육을 받은 것이다. 그들은 고상한 사교계나 책 속에는 노골적인 욕설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동시대 교육이 보이지는 않지만 더욱 날카롭고 치명적인 무기를 만들어냈다는 점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이 무기는 아첨하는 척하다가 피해갈 수 없는 지점을 향해 정확한 공격을 날린다.
새로 나온 <우리 시대의 영웅>(민음사, 2009)에서 인용했는데, '풍자'라고 옮겨진 것은 원래 '아이러니'이다. 종종 그렇게 번역되지만 나는 '아이러니'는 '아이러니'로 옮겨지는 게 더 좋았다고 생각한다. 요는 독자들이 농담도 알아듣지 못하고 아이러니도 눈치 채지 못한다는 것. 그래서 독서 대중을 레르몬토프는 순박한 시골 사람에 비유한다.
우리의 대중은 마치 전쟁 중인 양 진영으로부터 온 외교 사절들의 대화를 엿듣는 시골 사람과도 같다. 즉, 그들이 서로 간의 연약한 우정을 위해 각자의 정부를 배신하고 있다고 믿어버리는 것이다.
피터 싱어를 인용하면 '당신은 공리주의자로군!'이라고 혀를 차는 현학자의 태도에서 나는 '우리 시대의 조롱'을 본다. 레르몬토프는 자신의 소설에 쏟아진 비판에 이렇게 응수했다.
불행히도 최근에 이 책은 낱말 그대로의 의미를 믿어 버리는 독자들이나 심지어 잡지들의 질타로 인해 애를 먹었다. 그들 중 몇몇은 '우리 시대의 영웅' 같이 부도덕한 인물을 한 전형으로 제시한 점에 대해 정말로 몹시 화를 냈다. 다른 몇몇은 이 인물이 작가 자신이거나 작가가 아는 다른 사람의 초상일 거라는 애매한 지적만 남겼다... 이 얼마나 낡아 빠지고 가여운 농담이란 말인가!
타인에 대한 조롱과 혐오는 자유다. 사람은 언제나 자기 수준의 것만을 본다. 그런 수작에서 '낡아 빠지고 가여운 농담'만을 읽는 것이 나의 수준이고 나의 불행이다...
10. 01.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