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에 서가에서 생각없이 빼어든 책이 안광복의 <처음 읽는 서양철학사>(웅진지식하우스, 2007)이다. 아마도 새해초라는 '시간의식'이 '처음 읽는'이란 제목에 눈길이 가도록 하지 않았을까 싶다. 저자는 대학에서 소크라테스 대화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면서 '즐겁게 철학하기'를 실천하고 있다고.

 

 

 

 

내가 처음 읽은 철학사는 예전에 적은 대로 윌 듀란트의 <철학이야기>(문예출판사)였는데, 그게 고3 겨울방학 때였으니 21년 전 이맘때이다. 아마도 대학의 논술시험을 앞두고 있었던 듯한데, 합격자 발표 이전인지 이후인지 모르겠지만 하여간에 그런 와중에 읽은 책이 <철학이야기>와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이었다(<중국철학 이야기>란 얇은 책도 있었다). 지금의 고3 혹은 예비 대학생이라면 어떤 책을 '처음 읽는 철학책'으로 고를 수 있을까 생각해보다가 지난 달인가 검토해보려고 했던 책이 바로 안광복의 <처음 읽는 서양철학사>와 남경태의 <철학>(들녘, 2007) 등이었다(김민철의 <철학, 땅으로 내려오다>(그린비, 2007)는 아직 구하지 않았다).   

본격적인 검토는 나중의 일이더라도 잠깐 펼쳐든 김에 두 권에 대한 간략한 인상을 적는다. 빌미가 된 건 얼핏 발견한 오류들이다. 별로 좋은 습관은 아니지만 여하튼 어떤 책을 읽든지 간에 오탈자와 오류들에 눈길이 가는 게 거의 습관이 돼 버렸다. 이걸로 밥벌이를 하는 건 아니지만 일종의 '직업병'이다(직간접적으로 책을 만드는 일에 관여해온 탓이다).   

"철학은 정신의 체조"라고 정의하는 저자는 <처음 읽는 서양철학사>에서 모두 38명의 철학자를 다루고 있다. 체조의 38개 동작쯤 될까? 예상할 수 있는 바이지만 개별 철학자들에 대한 소개는 너무 소략해질 수밖에 없다. 물론 나 같은 독자를 염두에 둔 책은 아니니 나의 투정은 군소리에 불과하겠지만. 저자가 밝힌 바에 따르면, 책은 <고교독서평설>에 연재한 '인물철학사'를 묶은 것이다. 거기서 초점은 '철학'보다는 '인물'에 더 맞춰져 있어서 각 꼭지는 대부분 개별 철학자들의 삶에 대한 요약으로 채워져 있다. "철학 사상을 이해하고 싶다면 철학자들의 삶을 먼저 꼼꼼하게 살펴보자"(5쪽)는 게 저자의 기본 입장.

나는 책의 마지막 꼭지부터 잠시 읽기 시작했는데 '이해는 역사적이다'란 장이 다루고 있는 철학자는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1900-2002)이다. 첫문단은 이렇다.

"가다머는 학생들의 질문에 답변할 때면 언제나 '그건 내가 잘 모르는 것'이라는 말을 먼저 했단다. 그는 우호적이고 개방적이며 관대했을 뿐 아니라, 더 알고 싶어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여든 살이 넘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을 때도, 당시에는 피라미 대학 강사에 지나지 않았던 로티의 강의를 열심히 청강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436쪽)

여기에 무슨 오류가 있는가? 마지막 문장이다. 가다머가 여든 살이 넘었을 때면 1980년대인데, 그때 작년에 세상을 떠난 철학자 리처드 로티(1931-2007)가 고작 '피라미 대학 강사'에 지나지 않았다는 건 또 다른 로티가 있지 않는 한 잘못된 정보다. 이미 50년대 말에 대학강단에 선 로티는 1961년부터 1982년까지 프린스턴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이후엔 버지니아대학의 인문학 석좌교수, 그리고 스탠포드대학의 비교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피라미 강사'란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다. 가다머의 말버릇처럼 "그건 내가 잘 모르는 것"이라고 전제한다면 모를까.

 

 

 

 

알다시피 가다머는 2002년에 백두 살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하지만 아직도 그의 주저인 <진리와 방법>이 국내에서는 완역되고 있지 않은 게 유감스럽다. 올해엔 그의 책이나 연구서라도 더 출간되면 좋겠다(국내 필자의 연구서 한 권은 예정돼 있는 듯하지만). 가다머의 책이라면 그의 자서전은 어떨까?

"가다머는 자신의 자서전이나 마찬가지였던 <철학적 수업시대>에서 배움에는 끝이 없음을 강조했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끊임없이 대화하고 반성하여 철학적 깨달음을 얻는 삶은 지적이면서도 유쾌하다. 그러나 이는 충고하기는 쉬워도 자신이 하기는 어려운 인생훈이다."(444쪽)

이 <철학적 수업시대>와 함께 소개되었으면 싶은 책은 가다머의 예술론이다. 영역본으로는 <미적인 것의 현실 관여성과 그밖의 에세이>란 제목. 부담스럽지 않은 분량이기에 조만간 소개될 수도 있지 않을까란 기대를 가져본다.

한편, 번역가와 저술가로 종횡무진 활동하고 있는 남경태의 <철학>은 <처음 읽는 서양철학사>와는 레벨이 좀 다르다. '사유의 예술'로서의 철학을 즐기자고 제안하는 저자는 역사를 '현실의 역사'와 '생각의 역사'로 크게 나누고 이 '생각의 역사'를 철학사로 규정한다. "서양 철학사를 다룬 이 책은 서양 문명사를 구성하는 절반의 역사, 즉 생각의 역사를 일관성의 측면에서 정리하고 있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이 책 또한 '철학 전문가'를 위한 책은 아니라서 "철학자나 철학의 갈래"를 깊이 파고 들지는 않지만, "구슬을 꿰듯 철학사의 '재료'들을 꿰어 맞추었다는 데" 미덕이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상당한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하겠다(책의 부제가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이다!)

이러한 자신감은 참고문헌은 물론 단 한 개의 각주도 달고 있지 않으면서도 인명의 경우 '비트겐슈타인(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1889-1951)' '라캉(Jacques Marie Émile Lacan, 1901-1981)'하는 식으로 장황하게 표기해주는 데서도 드러난다. 물론 인명사전을 들추거나 잠깐만 인터넷 검색을 해보아도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이긴 하지만. 그런데 특이한 것은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의 경우다. 저자는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 1908-1991)'(478쪽)라고 적어놓은 것. 올해로 탄생 100년을 맞은 레비스트로스가 이미 17년 전에 세상을 떠났다고? 말 그대로 생사람 잡는 오류이다(그가 죽을 때도 되었다는 것과 죽었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물론 기원전 3000년경부터 훑어내려오는 저자의 통큰 철학사 서술의 유창함에 견주어보면 '옥에 티' 정도라고 해야겠지만.

 

 

 

 

레비스트로스 얘기가 나온 김에 올해는 그의 주저들도 마저 소개되었으면 싶다. 대저 <신화학>이야 계속 나올 예정이라고 쳐도 "비록 소쉬르에게 선구자의 명예는 양보했으나 그의 언어학적 사상을 이어받아 구조주의의 기틀을 확립한 사람은 레비스트로스다."(478쪽)라고 할 때 근거가 되는 책, 곧 <구조인류학> 정도는 완역돼 나왔으면 싶은 것이다.

두 권 분량의 이 책은 예전에 <구조인류학>(종로서적, 1987)이라고 절반 정도만 소개됐었다. 이 거장이 타계하기 전에 한국어로 다시 읽어볼 수 있을는지?..

07. 01. 03.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1-03 10: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03 1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엔리꼬 2008-01-03 18:25   좋아요 0 | URL
네이버 레비스트로스 쳐보니 1991년 사망으로 되어 있네요. 네이버는 두산백과사전을 인용했고. 아마도 백과사전 자체가 잘못된 모양입니다.
네이버 만능주의라는 마수의 손길이 여기까지 미친 걸까요? 안그래도 아는 교수님께 전해들었는데, 교수님이 학생의 답변이 틀렸다고 지적했더니 학생 왈 "이거 맞는데요. 이거 네이버에 있는 건데요?' 라고 항변해서 쓴웃음을 지었다는 씁쓸한 이야기가 있네요..

로쟈 2008-01-03 23:26   좋아요 0 | URL
못 믿을 사전이로군요. 레비스트로스가 또 있나 봅니다.^^;

caline 2008-01-04 01:22   좋아요 0 | URL
네이버만이 아니라 의외로 레비스트로스가 91년에 사망했다고 표기한 책이 제법 되는것 같같군요.....일례로 시공 로고스총서 레비스트로서도 그렇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레이트 한길사에서 나온책에서는 현재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있다라고 만 표기되어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전 오히려 후자가 잘못된 정보인줄 알았다는...^^;

로쟈 2008-01-04 01:27   좋아요 0 | URL
제가 더 신뢰하는 쪽은 위키피디아입니다. 어디에서 사망했다는 얘기는 없는데, '사망설'의 출처가 어딘지 모르겠네요...

caline 2008-01-04 01:33   좋아요 0 | URL
어쨋든 구조주의 빠돌이로서 레비스트로스 영감님이 살아게시다니 괜히 흐뭇하네요..(웃음) 덕분에 러셀경은 장수랭킹 3위로 밀려버렸지만...

로쟈 2008-01-04 16:19   좋아요 0 | URL
'구빠'신가요? 요즘은 '포구빠'들만 워낙에 많아서.^^

테렌티우스 2008-01-05 01:16   좋아요 0 | URL
프랑스판 위키페디아에 1908년 11월 28일 출생 백세 생일을 앞두고 있다고 나오는 걸 보면 아직 안 죽은 거 확실합니다. 프랑스 사람이니 만치 죽었다면 최소한 지성계에선 난리날테고 그렇다면 위키페디아 불어판에 반영이 안 되었을리가 없으니까요...

(잠시후) 르 몽드 사이트에도 죽었다는 기사가 없는 거 보면 레비-스트로스 안 죽은 건 백 프로 확실합니다...^^

근데...철학자들은 좀 오래사는 경향이 있죠? 저도 철학을 업으로 하는 사람인데 어떻게 될라나...^^(썰렁~)

로쟈 2008-01-05 01:56   좋아요 0 | URL
요절한 철학자들도 있지 않나요?^^

테렌티우스 2008-01-06 00:47   좋아요 0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