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400. 우리 과학의 수수께끼 (신동원 엮음)
카이스트 학생들과 함께 푸는, 이라는 부제에 겁 먹었지만 의외로 잘 읽힌다. 허준, 화성, 측우기 등등의 친숙한 과학 소재들에 얽힌 역사상의 진실과 허구, 그리고 그 의미들을 되짚어 보는 책. 각 장 마다 따라 나오는 원전 번역본들이 의미있다. 중학생에게 추천.  


 
 
 
 
 
 
 

 

 

 

 

 

26/400. 파란의자 (클로드 부종)
의자는, 그 색이 파랗다면 더더욱 쉽게 시공간을 초월하는 탈것이 된다.  우리집에 있는 노란 의자, 빨간 담요 역시 그 부류에 속한다. 난 단봉낙타가 아니니까 알 수 있음. 


 
 
 
 
 
 
 
 
 
 

27/400. 시간여행자의 아내 (오드리 니페네거)
책 읽는 중간에 영화를 찾아본 죄로 2권은 김빠진 콜라 같았다. 영화 보다 조금 더 자세히 인물 관계를 설명해 주었지만, 그래도 영화 속 인물들이 더 마음에 든다. 왜 이 책을 중고서점에서 찾아 사 두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따뜻한 사랑 이야기를 읽고 싶었겠지. 아이들 예전 사진과 동영상을 보고 슬퍼졌는데, 그 아이가 지금 이 시간으로 날 찾아온다면 어떨까. 더 슬퍼지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등급도 내려가고, 책장의 책 쌓이는 속도가 느려지고 있었는데,

마지막 이틀을 참지 못하고 구매한 전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시간여행자의 아내>의 여주인공 레이첼 맥애덤스는 <어바웃 타임>에서 또 다시 시간여행하는 남편을 맞는다. 타임슬립 대처법을 잘 알 것 같은 여배우 1위,쯤 되려나?

 

 

 

 

 

 

 

 

 

 

 

 

 

과거 속 순간에 대한 아쉬움과 미련....이 영화에서만큼 아름답지는 않더라도 모두들 가슴 한켠에 무언가를 묻어두고 자꾸 돌아보기는 하겠지. 시간여행하면, 아주 먼 옛날, 토요일 오후. 학교에서 돌아와 우천으로 취소된 야구 경기 중계 대신에 티비에서 방영된 외화를 본 기억이 난다.  검색해서 찾아보니 제목이 글쎄, 무려, <사랑의 은하수>. 원제는 Somewhere in Time.

 

이 영화 속의 남자 주인공은 크리스터퍼 리브. 그는 슈퍼맨의 늠름한 자태로 1979년에서 1919년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사랑을 만난다. 후에 현실 속의 승마사고로 전신마비가 된 배우는 시간을 되돌리길 얼마나 바랐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소리 떵떵 치면서 시작한 떡썰기 프로젝트는 뜬금없는 이사 때문에 미뤄진 상태. 아니, 내가 왜, 지금! 누굴 위해서! 이사를 그토록 갑작스레 결정했는지.... ㅠ ㅠ

집이 나가질 않아 미칠 지경.

속이 편해야 책을 읽는다는 말에 풋, 하고 코웃음을 쳤던 일들을 다 취소하겠다.

그러다 겨우겨우 책을 잡았는데, 나를 위로하고자 쉽고, 따뜻하고, 달콤한 이야기로

 

24/400. 시간여행자의 아내 1 (오드리 니페네거) 

 

생각보다는 읽을만해서 다행.

기욤 뮈소의 책은 영 읽을 수가 없었다.

적당히 달달하고 안쓰러운 이야기, 그리고 어쩔수 없이 아줌마 독자 모드로 전환되어서 영화까지 찾아보....

 

이렇게 훅, 사라졌다가 훅, 나타나는 남자를 평생 기다리는 여자.... 나는, 못하겠다. 하지만 한동네서 서로 모르는채 몇년을 살았던 경험이 있는 우리 부부는 ... 아, 그때 우리가 좀 더 일찍 만났더라면? 하고 상상하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