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에만 닮아 보이나요? 

포크너의 자화상과 고바우 영감 (김성환 화백) 



에드거 앨랜 포우와 박인환 배우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으로 투명하게 드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8월에 주문했던 책들이 이제야 모두 도착했고. 한 권만 완독하고 나머지는 조금씩 맛만 보고 덮어두었다. 뜬금 없이 중국 역사와 음식 문화사에 꽂혀서 내리 몇 권을 더 주문해둔 상태인데 연초 여행프로그램에서 시원한 입담과 태도로 화제였던 신계숙 교수님의 새로운 여행, 맛, 더하기 이번엔 사이클 프로그램이 나와서 챙겨보기도 했다. 더하기 '십팔사략'도 읽기 시작해서 이제 진시황제가 사망하고 항우와 유방의 겨루기를 하는 대목이다. 역사라기 보다는 옛날 이야기. 재미가 있는데 뭐랄까 이젠 나도 돌아와 거울 앞에 섰구나 싶은 느낌이면서 정말 나도 늙었군 늙었어 생각나는 재미랄까. 이렇게 도끼자루 썩는게지. 매일 매일이 똑 같은데 훅훅 시간은 가고 올해 이제 아흔아홉 밤만 남아있다. 이 책 속엔 옛날 사람들의 죽고 죽고, 죽이고 죽이고, 망하고 또 비슷하게 망하는 이야기가 가득이다. 복수도 지긋지긋하지. 머리들이 나쁘네. 하긴 요즘 이십일 세기의 인간들이라고 나을 것도 없다. 그중 하나가 납니다?! 다 읽지 못할 걸 알면서 책 샀다고 자랑에, 책 안 살거라고 결심에, 그러면 뭐 하게? 또 샀다요?! 오늘 밤 공개되는 '안은영' 을 위한 특별 스패셜 (추석 합본)에 정주행 하던 만화책 '은수저'의 완결 15권. 아 다음주에 추석이야. 내 천방지축이 다 논리적으로 설명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9-25 00: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9-25 07: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오늘 공개된 신작 넷플렉스 영화. 원작 소설 시리즈도 영화에 맞추어 리커버로 나옴. 


오빠가 홈즈, 그 셜록 홈즈인 십대 소녀 (자칭) 준비된 '탐정'. 시골 영지(?)에서 홈스쿨링 하던 늦둥이 여동생의 열여섯 생일날 어머니가 사라진다. 오빠들과 배다른 동생이라고는 하지 않았지만 싸가지 없는 오빠들 태도가 아무리 빅토리안 시대라지만 뭔가 사연이 있어 보인다. 엄마가 왜! 어디로! 그러니까 왜! 사라졌을까. 엄만 날 사랑하니까, 엄만 날 만나길 원할거야. 엄마가 여기 저기 숨겨놓은 힌트로 에놀라, Enola, Alone 당차게 혼자서기를 한다. 그것도 당시 세계의 수도 런던에서.  


사라진 귀족 청년을 돕기도, 찾기도, 함께 싸우기도 하는 에놀라. (내 눈엔 조이와 로리가 보인다) 위험 천만한 일을 계획하는 엄마는 아마도 시대를 한참 앞선 서프레제트 운동가 비슷한 존재로 보인다. (영화 서프레제트에도 헬레나 본엄 카터가 나옴) 


하지만, 에놀라 홈즈 영화에선 (아마도 시리즈의 첫 영화라서) 많은 떡밥만 깔아두고 귀족 청년 이야기도 너무 쉽게 덤벙덤벙 해결하고 만다. 런던에서 열여섯이 돈뭉치 들고 그렇게 살기가 쉽...지가 않잖아. 어린이용 영화로 만든 건 아니겠지만 .... 긴장감이 너무 없고 몰입도 잘 안되고 귀족 청년도 (로리를 연기했던 티머시 셀러메이의 미모를 못 따라가서 안타깝고) 주인공 에놀라도 (어린시절의 스칼렛 조한슨이 떠오르지만) 그닥 큰 인상을 주지 못했다. 홀로 서기하는 남자 귀족 구해주는 여자 영웅 이야기도 애매한 로맨스 같아서 뭔가 찜찜했다. 게다가 엄마 헬레나 본엄 카터도 조금 밖에 안나와. ㅜ ㅜ 그런데 셜록 홈즈가! 사각턱에 느끼한 눈길로 나한테 2탄을 기대하라고 말하고 있더라고요....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0-09-25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 책 1권 읽다가 다른 책에 밀려 서둘러 반납을 해버렸답니다.
다시 읽을까 말까 고민되네요 ㅠㅠ

유부만두 2020-09-25 07:28   좋아요 0 | URL
책을 많이 각색한 영화라고 하더군요.
그래도 전 영화가 평범해서 책은 읽을 마음이 줄었어요.
 

필립 K. 딕 단편선 표제작의 이 짧은 이야기는 영화 <토탈 리콜>로 두 번이나 영화로 만들어 졌다. 잠재의식인지 욕망인지 계속 꿈 속에 나타나는 그 여인, 그리고 그 곳, 화성! 나는 화성에 가야만 한다네, 라고 평범한 회사원이 결심하고 목돈을 들여 기억을 생생하게 뇌에 담아주고 '진짜' 기념품도 준다는 '토탈 리콜'로 간다. 그리고 알아낸다. 꿈이 진짜고 지금의 자신은 만들어진 설정의 인물이라는 것을.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만나는 그 척박하지만 왠지 정감 넘치는 화성 풍경들이 생각난다. 그 모래폭풍, 미세먼지의 대기. 뮤턴트들의 의리. 그리고 나는 누구, 여긴 어디, 를 되뇌이던 머리 큰 영웅. 


책에선 영화의 그 대단한 화성 '연대기'는 건너뛰고 이 문제의 남자를 어떻게 처리해야하는지 고심하는 '회사'에 집중한다. 실은 주인공에겐 화성의 '기억' 말고도 더 중요한 진짜 '판타지' 혹은 레종 데트르가 있었다. 이 근원적인 판타지, 어쩌면 맨 인 블랙! 


<토탈리콜 2012>는 지구/화성 대신 영연방? 영공화국?이 나오고 그 반대쪽 (문자 그대로 지구의 핵을 지나 반대쪽)의 콜로니, 식민지가 있다. 서양-동양의 대칭 요소는 다 보여주면서 위-아래로 설정했다. 콜로니엔 동양 문자와 언어, 문양과 건축적 특징을 다 섞어서 담아놨다. 한글과 우리말도 들리고 한자와 용 문신은 흔한 배경이다. 야매 분위기가 풍기는 토털리콜 서비스의 사장은 존조가 연기한다. 동양 얼굴이 많은 이 곳을 노동력 시장, 하층민, 그리고 기계로 대신 쓸어버릴 곳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토록 개념 없는 영화;;;; 


소설에서 나오는 상체 탈의 (FEMEN 아님!) 토탈리콜 안내 여직원 대신 영화버전에서 두 번 모두 기형 가슴을 가진 여성이 나온다. 가슴에의 집착에 불쾌한 기분이 든다. 또한 두 명의 중요 여자 캐릭터가 서로 구별이 되지 않는 헤어스타일과 얼굴 모양으로 싸우는데 그들의 싸움은 진영 싸움이라기보다는 남자 하나를 사이에 둔 캣파이트 정도로 축소되어 지루해졌다. 과거를 찾으러 주인공이 옛 집으로 (콜로니의 집과 대비되는 색과 습기) 찾아갈 땐 본 아이덴티티과 겹쳐 보일 정도로 영화 전체가 별 특징이 없다. 


필요할 때 단 시간에 비용과 노력을 줄이면서 생생한 경험(의 기억)을 산다, 는 설정이 흥미롭고 꽤 솔깃하다. 매트릭스에서 네오가 갑자기 무술 실력을 다운로드 하는 장면도 생각났고. 집안에서 VR로 세계여행을 하는 상상도 해봤....지만 진짜는 아니잖아. 그럼 뭐하겠어, 라는 씁쓸한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