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중요한 건 살인The word is Murder”에 비하면 느릿하게 진행되는데다 마무리가 신파조라 실망스럽다. 하지만 이건 1권이 워낙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2권 The sentence is death는 등장인물인 작가 아키라의 하이쿠 싯구다. 아키라의 전남편측 이혼 변호사 리차드 프라이스가 살해당하자 아키라가 용의자로 떠오른다. 하지만 사건을 추적해나가면서 (화자며 작가, 왓슨 역의 앤서니 호로위츠는 현생의 작업인 tv 시리즈물 촬영과 그의 집필작업으로 분주하다) 호슨과 우정과 증오 사이를 오간다. 그리고 예의 그 헛발질을 여러번 하고 사경도 헤매고 사건을 해결한다. 리차드 프라이스의 죽음에 앞선 두 건의 다른 죽음이 엮여있고 그 와중에 출판계의 ‘팔리는 책이 필요하다‘는 현실 이야기도 절절하게 나온다. 사실 수사과정이나 인물들 보다도 출판계 뒷 이야기와 북클럽(홈즈의 주홍색 연구를 논하는데 이 소설 자체와 연결점을 암시한다), 호로위츠의 현실 전작들 이야기가 더 재미있다. 아키라의 소설이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이며 크게는 폭력의 피해자가 되는 여성성을 그린다는 점이 (대놓고 그렇게 설명함. 하지만 이게 하나의 ‘포장‘일 뿐이라고 비꼬는 분위기) 흥미롭다. 그 소설에는 조선인 위안부가 등장한다.
작중 화자는 호손의 호모포빅, 레이시스트 발언과 행동을 지적하며 자신의 PC함을 드러내는데 이런식으로 소설에 맘껏 unPC함을 쓰는 게 얄밉기도 하다.

검색해보니 호손 시리즈가 5권까지 나와있다. 일단 3권은 읽어보고 싶다.
1권 원서 제목이 The word is Murder이라서 2권 The sentence is death의 sentence를 판결 대신 문장이라고 생각했다. 여기선 판결의 의미로 쓰임. 3권은A line to kill, 4권 The twist of a knife 5권 Close to death 모두 사건과 텍스트에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재미있는 제목들이다.

런던 시내를 누비는 인물들이 서점 daunt에도 가길래 검색해 보았다. 아 여기 이 계단 아래서 말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아씨들”의 20/21세기 버전이라고 했다. 시카고의 이탈리아계 서민 딸부자 가족과 동부 출신의 말없는 대학농구 선수 윌리엄의 인생 이야기.

페란테의 순한 맛이랄까, 치열하고 솔직한 네 딸과 엄마가 빚어내는 수십 년 파다바노 가족사. 책소개대로 “작은 아씨들”에 빗대며 읽게 되는데 그 원본은 동화라 이 소설은 더 인생에 가까워 보인다.

크게는 여성의 이야기인데… 아버지 챨리와 사위/남편/아버지 윌리엄이 기못피고 살며 우울했다는 것에 포인트가 맞춰지는 게 맘에 들지 않는다. 주위 기센 여자들에 치인 착한 남자 우쭈쭈하며 다 용서하고 보듬어주는거야? 앨리스는?! 소소한 에피소드들은 감동적이지만 캐릭터들이, 특히 맏딸 쥴리아와 둘째 실비가 평면적이라 아쉽다. 문장은 쉽고 무난한데 두어 챕터마다 쿵! 하며 사건이 터져서 (생.에로.병.사) 주말드라마 느낌이 많다.

재미는 있는데 (초반의 윌리엄 성장담과 쥴리아와 그 가족 만나는 부분이 제일 좋았다) 캐릭터들이 깝깝해서 한 호흡에 다 못 읽었다.
제목은 딸들의 아부지가 딸을 부르는 사랑넘치는 인삿말, 그리고 아부지의 인정받는(이게 중요한 모티브, 소설 중엔 가모장 운운하며 여성 소설임을 피력하지만 결국 아부지임) 가족 구성원 표식이다.

독후감 쓰다보니 긴 소설 읽은게 억울해져버렸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4-04-07 08: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아부지여야 한다면.... 그건 좀 그렇네요.
근데... 아, 이 책 너무 아름다운데요. 그래서 제목이 헬로 뷰티블일까요. 안 읽어도 구입해서 김치 냉장고 위에 세워두고 싶은 외모입니다. 외모 지상주의인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24-04-07 16:41   좋아요 1 | URL
작은아씨들. 보단 그 옆집 로리에게 더 집중하는 것 같았어요. 물론 매기 죠 배스 에이미 다 나오고 그다음 세대와 다른 버전의 이야기 작은 아씨들을 강조하지만 … 음 그래도 이 파다바노 자매들은 계속 사랑!가족!용서!에 오래 오래 갇힌 느낌이에요. 윌리엄의 치유에 총동원된 거 같고요. 이 기회에 스트라우트의 오 윌리엄을 읽을까봐요.
 

클레어 키건의 초기 단편집 Antarctica. 15편의 짧은 이야기들이 실려있다.(개정판엔 Close to the water's Edge가 추가로 실려있다는데 아직 못 읽었다.) 각 이야기가 매우 강렬해서 한 호흡에 이 얇은 책을 읽기는 힘들었다. <맡겨진 소녀>와 <Small Things like these>의 따뜻함 보다는 그 우물가의 음산함과 수녀원의 폭력성이 단단하게 뭉쳐있다. 이 단편집에 주어진 상의 이름 윌리엄 트레버와 함께 셜리 잭슨과 도리스 레싱이 연상된다.


강압적인 사회/가정 질서와 답답한 생활이 쌓이고 쌓이다 쩍 하고 금이 간다. 그 금 간 곳에 바람이나 빗물이 들어와 온 세계가 흔들린다. 세계가 무너지는 것이 눈에 보이는 순간 소설이 끝난다. 아니면 이미 비극이 벌어진 다음, 좌절한 인물이 그 사건을 수습하려다 더 큰 사고가 터져 버리는 결말이다. 상대적으로 약한 수위의 글들도 있지만 그 역시 긴장감으로 팽팽하다. 이야기는 짧지만 설명하는 대신 보여주는 예리한 묘사로 아주 길고 풍성한 소설 읽기를 할 수 있다. 


제일 내 마음에 들었던 이야기는 "Quare name for a Boy". 아일랜드를 떠나 영국에서 일하던 여자가 크리스마스에 맞춰 귀향한다. 영국에서도 따로 만나곤 했던 고향 애인과 자신은 가벼운 사이라고 생각하지만 임신 사실을 알려야 한다. 자신을 보러 몰려 온 아일랜드 동네 아줌마들, 해변 산책에서 보는 어부들, 숲속에 아버지가 굴뚝도 없는 집에 가둬 죽였다던 어떤 여자 이야기 등 이런 묘사나 단상들이 모두 화자의 상황을 암시한다. 함께 펍으로 들어가지만 애인은 자신을 친구들에게 소개하지 않는다. 여자는 마침 읽고 있던 <자메이카 여인숙>을 떠올리고 아이 이름에 대프니가 좋겠다고 말한다. 애인은 "그건 사내 아이 이름으론 이상한데"라고 대답한다. 이 대답 하나로 그 애인과 두 사람의 관계의 많은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천천히 재독하고 싶다. 억세고 무서운 이야기도 통쾌한 이야기도 있는데 모두 클라이맥스에서 끝나기에 독자가 그 뒷수습을 나름대로 하는 재미 혹은 부담이 있다.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만 출신 유학생 부모로부터 태어나 미국에서 자란 작가 후아 슈Hua Shu(1977년생)의 2017년 퓰리처상 수상작 회고록이다. 반골 기질의 부모 아래서 자라 미국 문화 속에 살면서 저자는 자신이 주변인이라는 생각을 갖게된다. 반면 대학에서 만난 켄Ken은 수대째 미국에서 살고있는 일본계 미국인인데 모든 면에서 자연스럽고 자신감이 넘쳤으며 인싸다. 그런 그가 후아와 친구가 된다. 이 책은 성장과 우정 그리고 이별과 슬픔의 기록이기도 하다. (퀴어 문학인줄 알았지만 아님)


70-80년대 후아의 가족 이야기는 코믹한 부분이 많다. 나는 저자의 세대에 더 가깝지만 유학 경험 때문인지 그 부모에게 (친구 공항 라이드, 전통 음식 요리 교실, 캠퍼스 내 인터내셔널 센터 풍경 등) 더 감정 이입이 됐다. 


저자는 대만의 독재시절, 중국 출신 노동자 쿨리, 2차 대전 후 미국에서 일본인들의 캠프,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에 이주한 몽 족, 90년대 급증한 중국 본토 출신의 중국인 이민 등 아시안아메리칸 들의 역사도 조금씩 언급한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목소리의 아시안 출신 미국인들은 미국 백인들에겐 그저 하나의 이방인 집단일 뿐이다. 후아는 대학에서 역사와 정치를 공부 하고 미국 영화에서 보이는 아시안 캐릭터에 대해 대학 졸업 논문을 쓴다. 고등학생 때 부터 인디 음악을 즐겨 듣고 대학에 진학해서 역사와 문화, 철학 수업을 듣는 후아는 자신이 누구인지, 주변인과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대해 계속 고민한다. 자신보다 멋진 친구 켄에게 이런저런 조언도 받고 친하게 지내며 착실하게 대학 생활을 하면서 성장해 간다. 3학년을 마친 여름, 그들은 졸업 후 어떤 어른이 될지 구체적 이야기를 나눈다. 하지만 바로 그 여름, 켄은 자동차 강도에게 무참히 살해 당한다. (여기가 책의 중간) 아무리 책 소개에 사고 이야기가 나왔더라도 이 부분은 충격적이다. 사고에 필연성이나 운명은 없다. 그저 랜덤. 켄은 운이 매우 매우 나빴다. 


90년대를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후아의 유려한 문장으로 언급되는 음악이나 영화, 역사와 철학 수업 내용 (데리다 푸코 다 나옴)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어찌보면 현학적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저자가 뉴요커의 집필진인데 이정도 쯤이야. 그는 추억의 노래와 사건, 그 역사적 배경과 책, 켄이 응원하던 Padres, 그리고 친구를 잃은 슬픔을 매끄럽게 적어내려가며 독자의 심정을 건드린다. 대만인, 중국인, 베트남인, 한국인 인물들이 조금씩 다르게 묘사되는데 그 차이는 "우리" 아시아 사람들이 제일 잘 알 것 같다. 이 책의 제목 Stay True (to yourself)은 친구 켄이 저자에게 해준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3-11-06 18: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이 책이 바로 90년대~ 아름다운 시절~~ 데리다 푸코 ㅋㅋㅋㅋ

유부만두 2023-11-07 17:23   좋아요 1 | URL
그렇습니다. 90년대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의 시절. 아무리 읽어도 뭔말인지 몰랐지만 그래도 다들 말들이 많았던 시절.
 

노란 표지에 제목도 노란 얼굴. 의도적으로 갸름한 눈매에 저자의 이름까지 Kuang. 굳이 찾아 읽고 싶지는 않았다. 인종차별, 특히 아시안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담고 있을 '소설'이라 관심을 껐다. 그런데...


종종 들르는 독서 블러거의 감상은 "I devoured this book"이었다. 말 그대로 허겁지겁 삼키듯 읽었다고. 그냥 뻔한 아시안 주인공의 칙릿도 아니고 무거운 레이시즘 규탄만도 아닌 책이었다. 


매일 글쓰기 약속 덕분에 읽고 그냥 지나쳤던 책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왜냐! 매일 한 권 씩 읽을 순 없으니까요) 이 책도 그런 책 중 하나. 


Athena Liu is a literary darling. June Hayward is literally nobody. Who wants stories by basic white girls anyway? But now Athena is dead. And June has her unfinished manuscript. From the New York Times bestselling author of The Poppy War Trilogy and Babel comes a darkly funny literary thriller. (알라딘 책소개)


주인공 화자 준 헤이워드(백인)는 아테나 리우(중국계 미국인)과 대학부터 친구 사이다. 하지만 아름답고 부자인데다 작가 재능까지 겸비한 아테나는 승승장구하는 반면 준은 책을 내긴 했지만 빛을 못 보고 있다. 뭔가를 쓰고는 있지만 편집자는 함께 신나하지 않아. 하지만 어찌어찌 준과 아테나는 남들 눈에 (과한) 우정을 나누는 상황이 되는데 준의 마음은 마냥 편하지만은 않다. 어느날 아테나와 술을 마시고 그녀의 호화 아파트에서 간식을 먹다가 사고가 난다. 아테나가 음식물이 식도에 걸려 질식사했다. 


여기까지가 아주아주 초반에 빠르게 나온다. 


119를 부르고 당황하고 황망한 사이, 준은 아테나의 미발표 원고를 손에 넣었다. 그리고 그 글을 자기 식을 고쳐 발표한다. 이렇게 손 봤으니 이건 준 자신의 원고다. 아무도 이 원고의 존재를 모르니 (아테나는 늘 손으로 글을 쓰고 친구도 없다) 자기 이름으로 발표한다. 다만 ... 이 책의 주제가 너무 아시안인 것이 걸린다. 1차대전 시기의 중국인 노동자. 그러니 조금 아시안스러운, 하지만 거짓말은 아닌 이름을 쓰기로 한다. 엄마의 처녀적 이름인 자신의 미들네임 Song으로 준 헤이워드는 주니퍼 송이 된다. 책은 엄청난 호응을 받는다. 리뷰도 좋고 판매실적도 좋다. 하지만 막상 행사에서 준을 만난 사람들은 그녀가 백인인 것에 놀라고 뭔가 미심쩍어 한다. 중국계 미국인의 커뮤니티 초청 행사에서도 뭔가 어색한 분위기가 흐른다. 사실 아테나도 미국서 나고 자라 중국어도 제대로 못했기에 준보다 더 중국인이라고 할 수도 없다. 그래도 제발이 저린 준은 아테나의 엄마를 찾아가 혹시나 남은 증거가 있을까 살피는데 트위터에 준 송 (헤이워드)가 아테나의 살인범이며 원고를 훔쳤다는 글이 올라온다. 그 글을 쓴 사람이 누군지 준은 알 것만 같다. 여기까지가 중간. 


흥미진진진이라 사흘도 안 걸려서 밥책밥책책 하면서 읽었다. 특히 미국에서의 아시안 컬쳐에 대한 이야기와 출판계 뒷모습이 흥미로웠다. 아시안 문화는 누가 쓸 자격이 있는가. 


예전에 읽은 sf소설 <전갈의 아이>는 디스토피아 멕시코의 마약 카르텔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아프리카 문화에 관심이 많아 <아프리카 소녀 나모>도 썼으며 애리조나 주 출신 백인이다. 그가 다룬 멕시코와 아프리카 문화가 시혜를 베푸는 시선 아래 대상화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프라 북클럽의 <어메리칸 더트>가 실제 중남미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지 않고 대상화 하며 진짜 목소리를 담지 않았다며 멕시코 난민 이민자들의 비난을 받았다. 작가는 푸에트리코 출신의 이민자의 자녀이며 미국에서 성장해 아일랜드인과 결혼해서 미국 백인 사회에 더 가까운 배경을 가지고 있다. 반면 같은 소재를 다룬 청소년 소설 <장벽 너머 단 하나의 길>은 난민 출신 작가의 작품이다. 그럼 난민 기차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에서 "더 진짜"라고 말할 수 있나? 증조부가 중국인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리사 시Lisa See는 어떤가. <해녀들의 섬>은 한국의 해녀를 다루고 다른 책들은 <상하이 걸즈> <차이나 돌즈> 등 중국 문화를 다뤄  '21세기의 펄벅'이라는 호칭을 얻었다. 프랑스 태생의 엘에이 거주 중인 이 아시안 이름의 작가는 누가봐도 백인이다.  


그럼 아시안 문화와 소재는 그 혈통과 문화를 물려받은 집단에서만 창작 되어야하는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 섣부른 '문화적 소유권 내지 자신감'으로 박상영 소설 안톤 허의 번역을 고친답시고 망쳐버린 재미교포 에디터의 일화를 기억한다. 더해서 한국 문화를 미국(백인) 독자의 입맛에 맞춰 멋대로 만든 한국 출신 작가의 소설도 읽은 적이 있다. 그러니 문화를 다룬다는 것은 작가의 출신보다는 태도와 실력에 달려있다. Yellowface 이 소설은 중국계 미국 작가가 백인 화자를 내세워 그 양면을 매우 재치있고 살벌하게 그리고 있다. 무엇보다 재미있다. 추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끼 2023-10-24 11: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고맙습니다

유부만두 2023-10-24 19:20   좋아요 1 | URL
재밌게 읽으세요!

다락방 2023-10-24 11: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옐로우 페이스 겁나 읽고 싶은데 번역서는 아직이네요.. ㅠ

유부만두 2023-10-24 19:21   좋아요 0 | URL
곧 나오지 않을까 싶어요. 올해 정말 인기있었대요.
영어 원서 도전 해보시면 어때요? 문장이 평이하고 전개가 빨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