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바람이 몹시 불었다. 약한 머리카락이 바람 부는 날이면 형편없이 날려 엉킨다. 아직 봄기운을 느끼기엔 성급하다싶었는데 그런 바람 사이로 햇살이 살짝 봄이라고 말한다. 확실히 볕이 좀 다르다. 어느새 3월3일이다! 또 어디로든 가야한다.
지난 금요일 아파트 주차장에 들어서면서 차를 받아 오늘 정비공장에 맡겼다. 문짝 하나를 갈아야한다. 뭐야 아마추어같이. 아무튼 급하게 다니면 안 된다. 봄맞이 액땜으로 생각하고 마음을 좀 여유있게 느긋하게 가지라는 뜻으로 접수하자. 그래도 동생이 아는 곳으로 데려가서 견적이 상당히 적게 나왔다. 오랜만에 버스 타고 전철 타고 다시 택시 타고 그렇게 집으로 돌아왔다. 희령이 좋아하는 타코야끼 사서 급히 왔다. 그걸로 영어학원 좀 쉬겠다는 걸 다독여주고 좀 어려워졌다고 포기하지 말고 그 고개를 잘 넘어보자고 격려도 해줬다. 그런데 반응은 시큰둥하다. 6학년인데 덩치는 나보다 훨씬 크다. 오늘 대학교 입학식이 있었는지 거리에 학생들이 부쩍 많았다. 피할 수 없는 상황들, 마음과 같지않게 돌아가는 것들, 냉정히 내치기가 쉽지않은 것들, 내가 내가 아닌 것 같은 희미하고 아득한 것들... 마음도 스산한데 저녁바람이 꽤 차다.
김훈의 <공무도하> ,
낭독을 하기에 부드러운 문장이 아니고 어떤 문장은 너무 길어 호흡이 힘들었지만 오늘 다 읽고 나니 역시 독특한 여운이 있다. 이게 김훈 소설의 매력이라는 생각도 든다. 분명 묘한 개성이 있다.
강의 저편으로 가지 못하고 기어이 강의 이편에서 살아남아, 살아나가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신문 사회부 기자 문정수, 전직소방관 신부전증 환자 박옥출, 악력이 부족한 노학연대 장철수, 그와 소맷부리가 닮은 타이웨이 교수 그리고 그의 글을 연모하는 노목희. 1등이 아닌 자들의 이야기. 그외, 베트남 여인 후에, 크레인 무한궤도에 깔려 죽은 여고생 방미호, 그의 아비 방석천, 키우던 개에 물려 죽은 아들을 가슴에 묻는 오금자. 홍수, 화재, 매립, 미군기지, 철거 등등의 상황. 감정이 최대한 거세되어 있는 냉정한 문장.
기자라는 직업의 특수성과 현장감이 잘 살아있는 대목들, 김훈 특유의 가슴 서늘한 표현들, 강직한 문장, 툭툭 치고 나가는 거두절미한 상황전개, 매력적인 관념어들로 이어지는 사유 부분. 특히 파미르고원이 원산지라는 '파'에 대한 사소하지만 깊은 사유. 라면과 김밥과 파. 때로는 치열하고 때로는 느긋하게.
뒷표지의 글과 작가의 말이 또 가슴에 남는다.
 |
|
|
|
"나는 인간 삶의 먹이와 슬픔, 더러움, 비열함, 희망을 쓸 것이다."
'공무도하'는 옛 고조선 나루터에서 벌어진 익사사건이다. 봉두난발의 백수광부는 걸어서 강을 건너려다 물에 빠져 죽었고 나루터 사공의 아내 여옥이 그 미치광이의 죽음을 울면서 노래했다. 이제 옛노래의 선율은 들리지 않고 울음만이 전해오는데, 백수광부는 강을 건너서 어디로 가려던 것이었을까. 백수광부의 사체는 하류로 떠내려갔고, 그의 혼백은 기어이 강을 건너갔을 테지만, 나의 글은 강의 저편으로 건너가지 못하고 강의 이쪽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
|
|
|
 |
 |
|
|
|
작가의 말
나는 나와 이 세계 사이에 얽힌 모든 관계를 혐오한다. 나는 그 관계의 윤리성과 필연성을 불신한다. 나는 맑게 소외된 자리로 가서, 거기서 새로 태어나든지 망하든지 해야 한다. 시급한 당면문제다.
나는 왜 이러한가. 이번 일을 하면서 심한 자기혐오에 시달렸다.
쓰기를 마치고 뒤돌아보니, 처음의 그 자리다. 남은 시간들 흩어지는데, 나여, 또 어디로 가자는 것이냐.
2009년 가을에 김훈 쓰다
|
|
|
|
 |
다음 녹음할 책은 <희망을 심다>이다.
박원순이 당신께 드리는 희망과 나눔,이라는 부제가 적혀있다.
박원순 변호사의 지승호 인터뷰집이라 할 수 있다. 두 사람의 대화가 궁금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