뽈랄라 대행진
현태준 지음 / 안그라픽스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인간 '현태준'이란 사람이 쓴 책을 모조리 다 구입해서 읽었다. 이 책, '뽈랄라 대행진'.  '안그라픽스'와 '아저씨의 장난감 일기'. '시지락', '뿌지직 행진곡'. '문학과 지성사', '현태준 이우일의 도쿄 여행기'. '시공사' 등.

 사실, 솔직히 내 심정을 고백한다면,  인간 '현태준'이란 사람처럼 평범하고(?), 소박하게(?) 살고 싶은게 진정한 나의 바램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그렇게 살고 있는, 인간 '현태준'과 비슷한 삶의 철학과 생활 방식으로 생활하는, 나의 모습을 내 주변 사람들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란 '문제'에 대해서...  일단 보수적인, 전통적(?) 유교 가치관에 찌들어 있는 나의 '부모님'들과 피나는 투쟁을 해야만 할 것이고 '주변 친구'들은 예전의 내 모습과 나의 새 삶을 비교해 가면서 손가락질을 할지도 모른다. 명절 때 '친지분들'은 어떻게 만나야 할 것이며, '동창회'에 가서는 번듯한 직업을 소개 할 수 없을 지도 모르고 '친목회'에서는 '왕따'를 당할지도 모를 것이다. 일반적인 우리들의 생각 속에는 '정상성'이라는 이름의 '사람'이 살고 있는데, 그 '인물'은 번듯한 직장에 다니고 있어야 하며, 매일 아침 '정장'에 반드시 '넥타이'를 매야하고, 적당히 상황을 봐 가면서 '체면치레'라는 것들을 해야하며, 또 때로는 근엄하게 세상과 사회를 꾸짖을 줄 아는 '어른의 모습'이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 '현태준'은 그래도, 그의 삶의 모습이 그의 본성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행동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가식과 사회적인 가면이 아니라 보다 본성에 가까운... 아마도 그가 자라오면서 행해 온 모든 일들이 하나의 맥으로 이어짐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중학교 시절부터 미술반 활동을 하였고 또 대학에서는 미대, 공예를 전공한 미술학도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그가 살아온, 그가 놀아온(?) 삶의 역사를 향수할 수가 있다. 어린 시절의 그의 '일기'들을 읽어보면 지금과는 판이하게 다른 순수하고, 예민한 감수성을 소유한 내성적인 학생이었음이 드러난다. 이 글을 쓰는 리뷰어도 '현태준'이란 사람 못지 않게 내성적이며 소심한 성격으로 학창 시절을 보냈었는데, 이 책을 읽고 있자면 지난 날의 비슷했던 추억들이 급물살을 타고서 떠오른다.

 그럼, 왜? 인간 '현태준'은 이런 류의 '회귀성 편집증'을 보이고 있는 것일까? 그는 지나간 모든 것들에 대해서 '추억'하고 '향수'하며 강한 '집착'들을 보인다. 그의 삶에 주어진 새로운 시간들이, 그 지나가고 흘러가 버린 '흔적'들을 위해서만, 대다수 시간과 에너지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우리들과 마찬 가지로 그 속에서 '편안함'과 '안식'을 찾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그가 관심을 갖고 있는 장난감은 세계 초 일류의 요즘, 최근의 주류 - 메인 - 장난감들이 물론 아니다. '건담' 류의 일본 '반다이'제 프라모델도 아니고, '맥스토이'제 '가오가이거'도 아니며, '아오시마'제 '사이버 포뮬러' 프라모델도 당연히 아니며, 먼 바다 건너 '레고' 시리즈나 수입 '바비' 인형들도 그의 '주 관심 대상'은 아니다.

  그가 심하게 '애착'을 보이고 사랑하는 장남감들은... 어찌본다면, 요즘 아이들이 그의 수집품들 본다면 아마도 이런 반응을 하지는 않을까! "아!", "이거!!!", "왜?", "이렇게 못생겼어!", "진짜 웃기게 생겼다!!!!", "내다 버려!", "쓰레기 통에 처 넣어버려!" 라고 이야기를 할 만한 형편없는 옛날의 구식 장난감들이다. 과거 우리나라 아저씨들이 먹고 살려고 만든, 그래서 코흘리개 들의 주머니를 털기 위해서 만든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에 만들어진 한국제 장난감 들이다. 이런 것들이 그의 관심에 '주종목'을 이루고 있다.

  이제는 더 이상 그 누구도 관심을 갖고 있지 않는 버려지고 잊혀진 기억들과 시대의 유품들... 못 살던 그 시절에, 일본의 원작 회사에서 정식 라이센스와는 전혀 무관하게 '야매'로 금형을 복각해서 만들어 낸 '카피품' 프라모델들이 그가 가장 사랑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적어도 이 것들은 한국인이 만든 오리지널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들이다. 그리고 그 시절의 아이들은 그 것들을 가지고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으며 그것들에 대한 아름다운 추억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런 것들이 부끄럽든지 부끄럽지않든지 간에 지금의 경제 성장을 이룩해 오는 동안 한쪽 구탱이에서 한 세대의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놀이 문화의 역사이다. 한 때 우리들이 그렇게 살아온 '진정한 삶'의 한 측면인 것이다. 인간 '현태준'은 이런 한국 사회의 하위 문화에 대한 자료와 모든 역사들을 수집 정리하여 고증을 하려는 방대한 작업을 남몰래 하고 있으며, 그 시작의 끄트머리를 살짝 사람들에게 '맛베기'로 공개한 것일 뿐이다. 이 것은 시작에 지나지 않는다.

  못살던 그 시절의 내용들에 대해서... 그는 "왜?", "이다지도 너저분한 '쓰레기' 같은 물건들에 강한 '집착'과 '편집증적인 수집벽'을 보이는가?" 아마도 그 것은 자신이 걸어온 혹은, 즐겁고 행복하게 지나온 삶과 자신이 머문 그 자리와 그 주변들, 시간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그 사람의 본 바탕을 이루고 있고, 이러한 행동들은 예술가로서 그 사람의 자연스러운 삶의 표현과 방식일 것이며, 손 떼묻은 물건은 무엇이든지 버리지 못하는 그의 성격적인, 아기자기한 측면들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된다.  

  비단 그가 과거에 집착하고 향수하는 것들은 장난감 뿐만이 아니라 그가 돌아다니면서 사진으로 찍은 것들, 대상들을 통해서도 잘 나타나는데, 그가 찍은 사진의 내용들은 어린 시절에 우리들이 문턱이 닳토록 드나들었던 '문방구'들과 내 집 옆의 맛있기로 소문난 맛깔스러운 떡볶이집, 분식집, 중국집, 순대국집, 갈비집의 가게들이다.

  이 책에는 오래된 간판들이 몇 십년의 세월 동안을 함께한, 푸짐하고 맛깔스런 풍성하게 인심좋은 서민들의 식당들이 나오며, 유치 찬란한 싸구려 물건들이 가득 등장하고, 거리에 아무렇게나 쓰여져 있는 푯말들이 나온다. 이 모든 것들은 학교에서 전문적으로 공부를 한 교수님들, 미대를 나온 전문가들의 예술 창작품이 아니라, 일상 생활 속에서 하루 밥벌이를 위해서 돈 몇푼을 벌기 위해 평범한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이 만들어 낸 '창작품'과 '삶 속의 공예품'들이다. 인간 '현태준'은 이런 지나간 과거 속의 일상과 삶의 진실들을 '자칭 망가졌다고', '인생 "종" 쳤다는 자신'이라는 필터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바라보게해 준다.

  그가 모아서 보여주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주인이 직접 손수 쓴 글쓰로 간판을 자작해서 만든 가게들의 간판들, 이웃집 할아버지가 쓰레기를 버리지 말라는 내용에 글을 푯말로 만들어 세운 것들도 등장을 하며 고압전류를 조심하라는 주의 경고판이나 전봇대나 담벼락의 '사랑' 따위의 낙서들이 책에 등장한다. 또한 자신이 버리지 않고서 담아 두었던 자기 자신의 흔적들이 여기에 함께 버무려진다. 소장품들인 만화 책들과 잡지 책들 그리고 야한 서적들도 함께...

  이 책을 한마디로 평가하자면 '유치 찬란 유치뽕' 이다. 이 책의 '유치 찬란 유치뽕' 을 능가하는 책을 본적이 없으므로 이 책은 이 분야의 '최고 서적' 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이다. 주인공은 한국 사람에게 사발면을 먹는 법을 다시 가르친다. '완전! 물고기에게 헤엄을 가르쳐 주는 격이다.' 바로 '씨발컵'을 만들어서 편하게 자세 잡고 먹는 방법을... 그리고 본인은 인간 '현태준'이 가르쳐 준 방법 대로 라면을 끓인다. 이제 라면을 끓일 때 라면을 반으로 잘라서 끓이지 않는다. 그리고 꼬들꼬들하게 익은 면을 '현태준'이 가르쳐준 방식대로 계란을 넣어서 맛있게 먹고 있다.

  무관심과 내버려진 것들에 대한 향수.. 이발소와 미장원 간판, 창문의 데칼, 군대색으로 다시 리모델링 된 해병대 전우회의 컨테이너 박스와 봉고차, 뽑기 기계, 햄버거 가게의 사람 마네킹, 주차 빵구, 주차 금지, 철조망 속의 하트, 펀치 기계, 버려진 인형, 파리 끈끈이 등 '뭐! 이따위'들이 이 책속에 계속해서 등장한다. 솔직한 '현태준' 식의 만화와 버무려져서 이 책은 한마디로 '초 울트라 캡쏭 슈퍼 콤비네이션 피자 빈대떡 핫도그 팝콘 치킨 샐러드 떡 탕수' 라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라는 세계에 매력을 갖은 세계의 다른 나라 사람들이 진정 한국이란 어떤 나라인가? 를 알고 싶어 할 때 만약 이런 류들의 책을 본다면 어떤 반응을 하게 될까? '아!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매일 국정 홍보처 광고나 관광 오라는 그런 광고들만 보고는 했는데!', '보통 일반적인 서민들은 이런 삶의 역사와 발자취들을 남기면서 살아왔구나!' 란 진실을 알았다는 '감탄'을 하지는 않을까? 일본을 처음 간 한국인들은 그들이 일상적으로 먹고있는 '라멘'과 '모리소바', '스시' 등의 평범한 문화에 대해서 신기해 한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들의 아주 평범한 일상적인 먹거리인 '떡볶이', '라면', '순대', '김밥', '김치' 등을 한국을 관광온 러시아나, 키르키스스탄, 카자흐스탄 혹은 동남아나 중동, 유럽, 북미, 남미, 호주 등지의 사람들이 이 음식들을 먹으면서 과연 어떤 생각에 잠길까? '아!', '참으로 매력적인 문화의 신기함이다!'란 동경을 혹시 하지는 않을까?

  인간 '현태준'은 너무나도 당연하기 때문에 잊어야만 된다고 주장되어지는 '평범함'들에 대해서 '재발견'을 해야만 한다고 '딴지'를 거는 '귀여운', '가소로운(?)' 우리 시대의 '삐딱이' 고고학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