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읽는 세계사 - 거꾸로읽는책 3 거꾸로 읽는 책 3
유시민 지음 / 푸른나무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중학교, 고등 학교의 제도 교육을 받아 오면서 우리는 어떤 세계사와 어떤 역사를 배우면서 성장해 왔는가를 자문해 보자! 세계사와 국사 교과서를 편찬한 사람들은 과연 이 땅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던 분들, 어떤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신 분들 일까를 생각해 보자. 아마도 보수적인 입장에서 이 사회의 안정된 질서를 더욱더 중요하게 여기는 관치적 향기가 깊은 분들은 혹시 아니셨는지?! 우리 사회의 모습이 역동적이고 변화 무쌍하게 바뀌는 변동의 역사적 관점은 좀 거리를 두면서 교과서들을 '안전빵'으로만 저술을 하셨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 어떤 책인지를 알고 싶다면 먼저 이 책의  저자인 '유시민'이란 사람의 삶의 괘적이 어떠했는지를 반대로 추적해 보라! 그럼, 아마도 유시민이란 사람이 왜, 이런 류의 역사 책을 엮어 냈는지를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거꾸로 읽는 세계사' 란 책의 제목이 문제를 제기 하다시피 그간 우리가 배워 온 역사는 편향된 하나의 관점을 갖고서 저술 된 것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이 제목은 표현하고 있다. '거꾸로 읽는 세계사' 란 책은 그간  우리가 '바로 읽은 세계사'가 어떤 것이 었나를 비추어 볼 수 있게 해주는 거울적 역활을 해 주는 책이다. 당연히 이 책은 제도 교육에서 그 동안 등안시 해 왔던 내용들 만을 꼬집어서 한데 모아 저술한 책이라 볼수 있다.

  제도 교육을 맏은 담당자들은, 그래서 역사 교과서를 만들어야만 했던 사람들은 왜? 그 간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던, 엄현히 있었던 사실들을 모두 다가 배우는 제도 교육의 교과서 속에 공평하게 싣지 않은 것인가? 혹은, 싣지 못한 것일까? 바로 책이라는 본질, 역사와 기록이라는 것은 그 책을 쓰는 사람이 자신의 가치관과 세계관에 의해서 취사선택해서 내용을 가려 쓴다는 것을 이 대목에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선배들은 그리고 지금의 우리는 왜, 한정된 역사만을 서술하고 배워야만 하는 것일까? 깊게 고민하면서 사회를 이해하고 바라보는 관점을 선택해야만 할 것이다.

  단적으로 이 책의 서술적 관점을 제시해 본다면 사회적 강자의 입장에서 서술된 책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서술이 되었으며, 민중과 대중, 공중의 입장에서 중요한 역사적 사실, 사건을  뽑아서 엮었다. 또한 맑시즘적으로 이야기를 해 본다면 사회 구조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부루주아의 입장에서 쓰여진 책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프롤레타리아의 역사에 더 중요한 사건, 의미들을 역사의 전체 중에서 뽑아서 저자가 자신의 성향과 관점에 따라서 책을 구성 했다고 보면된다. 그리하여 이 책이 다루는 소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드레퓌스 사건', '피의 일요일', '사라예보 사건', '10월 형명', '대공황', '대장정', '아돌프 히틀러', '거부하는 팔레스타인', '미완의 혁명 4.19', '베트남 전쟁', '검은 이카루스 말콤 X', '일본의 역사 왜곡', '핵과 인간' 등 제도권 역사 교과서에서는 결코 다루어 지지 않는 주제들을 그 주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오래된 책이다. 맨 처음 책이 출판되 이후로 부터 이제는 20년이 다 되어간다. 그런데도 이렇게 오래도록 생명을 유지하면서 다시 책을 찍어 내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년만 지나도 책이 절판되고 다시 볼수가 없는 시절에... 그 만큼 이 책의 가치는 훌륭하다. 

  아마 이 책이 처음 출간 되었던 당시에는 이 책이 '불온 서적', '빨갱이 서적', '판매 금지 서적'으로 찍혔을 지도 모른다. 그 때의 사회 분위기는 그랬다. 그러나 이 책을 요즘 읽으신 분들은 "아니, 그 당시에는 뭣 때문에 이런 책을 무서워 했던 거야!" 라며 실소를 하실지도 모르겠다. 

  여러 다양한 관점에서 과거 사실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평가, 판단 하고 싶은 분들은 이 책을 읽어 보시기를 권한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분들은 이 책의 저자인 '유시민' 이란 인간의 삶의 여정에 또 주목을 하셔야 이 책의 진면목을 이해하 실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그가 비교적 젊은 나이 때에 저술한 책다. 1988년 정도에 초판이 나왔으니 꽤 오래된 책이다. 그 사람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다니는 동안에 학생 운동에 연루되어 투옥의 과거력을 갖었다는 사실을 또한 주목해야 하며, 현재까지의 그 사람이 살아온 삶의 과정과 그 사람이 집필한 여타의 서적과 잡문들을 함께 읽어야만이 이 책과 인간 '유시민'의 진면목을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예전에, 손석희 아나운서가 'MBC 100분 토론'을 진행하기 전에 유시민이 'MBC 100분 토론'을 진행했었는데, 그의 논리적인 언변은 최고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토론과 회의, 대화 시에 논리를 모르는 사람은 공인이 되기가 힘든데, 정말로 말을 잘하는 사람 중에 한분이다. 요즘도 그는 열린 우리당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는 국회 의원으로 'MBC 100토론'에 단골로 등장을 한다. 그리고 최근 언론은 그의 일거수 일투족에 주목한다. 이 자리는 정치적인 것을 말하려고 하는 자리는 아니다. 인간 유시민과 이 책을 올바로 독파하는 것은 독자로 하여금 재미난 경험과 지적 유희, 지적 통찰, 지적 성장, 비판적 사고를 동시에 길러 주는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즐독 하시길..." ^^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