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은 왜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아랑 전설'이라는 것을 남들과 똑같이 학교에 다니다 보니! 수업 시간에 선생님의 말씀을 통해서 몇 번 들어본 기억이 있었다.

  원래 김영하란 작가, 인간을 좋아하는 지라! 당연히 책을 집어 들어고 읽어 내려 갔는데, 책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바로 수불석권...

  '김영하 소설 쓰기'의 파격적인 구성적 단면을 극명하게 엿볼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소설의 주제적 내용이 되는 '아랑 살해 사건'을 본격적으로 파헤치기 전에 작가와 등장 할 인물들이 인터뷰를 하는 대목은 연극이나 영화에서 보는 배역 캐스팅 장면을 연상하게 한다.

  이 작품도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경계가 다른 곳을 여기 저기 넘나든다. 경계가 서로 다른 곳을 넘나드는 것이 이 번에는 과거의 사실, 진실과 현재의 구전, 기록이 중심을 이룬다. 

  대다수의 사람들 그 사람들이 민중이든 대중이든... 그 사람들이 평범하게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 '감추어진 사실과 진실'은 얼마나 다른 것인지에 대한 모습을 적나라하게 추적해 들어가 결국 파헤쳐 낸다. 마지막까지 작품을 다 읽어야지만 알게 되는 '아랑의 죽음'에 대한 내막은 '더러운 것', '잘못된 것', '정의에 위배되는 것'이 어떻게 포장이 되고 치장이 되어, 새롭게 가공이 된 채로 갖은자, 기득권 층들의 삶에 유리하게 기여하게 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현실이, 아니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 지를 제대로 알고 있는 작가의 예리함과 직관력에 감탄을 금하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세상은 여러 겹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단순히 세상은 이중적인 것이 아니라 그 보다 더 복잡하고 '다중적'이다. 그러나 결국 아랑의 죽음은 다름 아닌 '기득권을 유지하고 싶은 수구 보수적인 벼슬아치의 성적 욕망'과 '개인적 치부' 라는 가장 원초적이며 유아적인 인간의 속성, 그 것이 원인이었다.

  소설을 읽으면서 감탄하게 되는 또 한가지는 김영하가 바라보는 세상이 참으로 공평하고도 냉정하며, 작가 김영하의 예리한 인간 조직에 대한 통찰을 엿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아랑이 죽은 사인을 집요하게 추적하는 말단 하급 관리가 새로 부임한 수구적 보수 관리에게 죽지 않을 정도로 얻어 맏는 대목에서 그 것을 느끼게 된다. 작가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을 받고 있는 자도 현실에서는 똑같은 사회의 일원으로 예외없이 공평하게 대우를 받는 존재인 것이다. 그것이 독자로서 책을 읽어 내려가는 개인적인 동정심과는 상관없이... 마치 창작을 한 작가 김영하나 그의 책과 글들을 소비하면서 살아가는 그리하여 지금 리뷰를 쓰고 있는 나 자신도... 이 두 사람도 똑같은 공평한 세계에서 살아가는 존재들인 것 처럼... 태어나서 배고프고, 아프며, 죄지으면 벌받고, 감옥에 가기는 매 한가지이며... 저마다 때가 되면 천국이든 지옥이든 어디로든 가긴 갈 것이다. 억울하고 비참하게 살해된 한 많은 삶을 살다 가버린  아랑은, 살인의 진실과 내막과는 상관없이 좋은 곳에서 평안하게 잠들었길  바래본다.

  대다수 모든 인간들이 잘 못된 미화와 과장들에 속아서 살아간다는 것도 이 소설이 주는 교훈 중 한가지 일 것이다. 공식적으로 표명되고 발표 되어지는 역사와 기록이 이처럼 '진실', '사실'과는 다를 수가 있는데 매스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연 얼마나 '거짓의 늪' 속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 알수가 없는 노릇이다. 진실과 사실은 소수의 누군가를 위해서 충분히 은폐가 되고 유기 될수도 있는 것임을 소설은 시사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