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문체에는 그리 많은 과장이 없다. 또한 생경한 어휘들을 사용하지도 않는다. 다만 잊고 살았음직한 단어들이 이 곳 저 곳에서 마구 튀어 나온다. 너무나 가깝기에 사용하지 않았을 잊혀진 과거속 민중과 민속의 언어들이여! 가령, 예를 든다면 이런 식이다. '서캐', '젓국 냄새' 등...

 글을 쓰는 지금 잘은 생각이 나지 않지만 짧은 단문들이 주는 이미지들의 극명함은 분명히 한국인들만이 느낄 수 있는 원초적인 것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 것은 다른 땅, 다른 바다, 다른 대륙의 사람들이라면 분명히 알 수가 없을 것들로 책은 채워져 있다. 문체에 과장이 없음이 오히려 과장이 된다. 그 이유는 짧은 문장, 짧은 사유로 인해 이미지들과 연상이 더욱 극명해 지며 글을 쓴 자의 어떤 결연함이 느껴지게 된다.

  처음 책을 읽은 것은 계간지에 나온 작가, 김 훈에 대한 대담과 작품에 대한 분석이었고 그 이 후에 본 책을 읽게 되었다. 처음 책을 한 번 읽었을 때 느꼈던 소감은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책, 펼치고 싶지 않은 느낌을 주는 책이었다. 그리고 한 동안 책을 저 구석에 처박아 버렸다. 그 것은 이 책이 주는 메세지의 극명함이 소름끼치고 너무나 인간적임을 그 안에서 향수하였기 때문이다. '너무 예리한 송곳에 가장 아픈 곳이 찔려서 다시는 그 고통을 맛보고 싶지 않은 경험.' 처음 이 책을 읽고나서의 인상은. 그 것이 너무도 강렬하였기에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은 그 무엇이었다.

  생생하게 한 인간으로서의 인간이 이 작품 속에서 다가 왔음으로... 그러나 몇달이 지난 후에 다시 이 책을 우연히(?), 또 다시 집어들어 읽게 되었다. 극명함을 넘어서는 그 무엇이 느껴졌다. 처음에 읽었을 때의 느낌과 함께 또 다시 전해지는 인간에 대한 깊고 깊은 향수와 그리움들. 인간이란 존재의 한계성과 역사적, 사회적, 지리적 환경 속에서 제약을 당해야만 하는 인간들의 숙명이여!

 이 땅에 사는 진정한 '남자'. '숫컷'이라는 운명을 짊어지고 태어난 이라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나는 언젠가 또 다시 이 책을 집어들고 또 다시 자연스럽게 읽어 내려 갈 것이다. 약하고 여린 인간이란 존재가 현실에서 강해져야만 할 필요성을 느낄 때. 난 너무나 자연스럽게 이 책의 책장들을 넘길 것이다.

 누군가가 새로이 국어 교과서를 집필 해야만 한다고 한다면, 그리하여 내가 만일에 교육부의 국어 교과서을 엮는 그 누군가라면 난 이 작품의 일부 혹은 불가능 하겠지만 전부를 중학교, 혹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싣고 싶다. (아이들을 국수주의자로 만들려는 의도가 아니라 자신의 열악한 처지에서 진실된 삶의 길을 느끼며 살아가는 인간을 향수하는 인간으로 키우고 싶어서이다.) 

  모르겠다. 여권론자들은 작가, '김 훈'이 여성에 대해 묘사한 부분(작품 속의 여성관)들을 싫어 할지도(이 부분은 당시 시대상을 고려해보면 관용적이 될 수 있다. 유교적인 신분 제도가 아직 강하게 힘을 행사하던 조선 중기가 시대적 배경 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이 문제가 된다고 하더라도 이 작품은 그런 점들을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는 힘과 장점들이 넘쳐나는 작품이다. 김 훈과 그리고 김 훈이 쓰는 작품들에서는 어떤 '겸손함'이 느껴진다. '포용'과 '관용'은 그가 대상과 세계, 인간을 그렇게 하듯이 그와 그의 작품에게도 마당히 적용되어져야만 한다. 그가 인간과 세상을 인간적으로 감싸 안았듯이... 그로 인해서, 그 때문에 그도 그렇게 대해져야만 하며 그래서 사람들이 그를 관대하게 대하는 것 같다.

  모든 부분에서 이 작품이 성공을 거둔 것은 그 것이, 작품이 찾아야 할 위치를 당연히 찾아 갔다는 느낌이 들게한다.

  이 책으로 인해서 이 책을 읽은 이들의 마음 자리가 더욱 올곧이, 곧아져서 오늘 하루 자신이 먹은 한끼 식사에 감사 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 것이 비록 500원 짜리 라면일지라도 혹은 말라 비틀어진 밥에 간장과 김치 한쪽일 지언정... 그런 어둡고 처참한 역사의 한자락을 지키면서 살아온 이 땅의 인간들 때문에 지금의 내 목숨이 이어지고 연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면 그대는 진정, 진실로... 

내가 따뜻하게 안아주고 싶은 정감있는, 의식있는 이땅의 한 인간임이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